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시너지리스트
2. 저자 및 출판사: 레스 맥케온/21세기 북스
3. 읽은 날짜: 2025.06.15~07.02
4. 총점 (10점 만점): / 8점
굉장히 새로운 개념인 데 모든 성공한 팀에는 “시너지리스트”라고 불리는 Keyman 있고,
조직 내 구성원들을 세 가지 기본 유형
“1. 대단한 몽상사(비저너리), 2. 실리적인 현실주의자(오퍼레이터), 3.시스템 설계자(프로세서)”들을 리드하여 하나의 팀으로 작용하게 만든다고 하다.
대다수의 리더십 책들이 팀워크를 개선할 때 불신, 열악한 의사소통,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문제점을 원인으로
보지만 이 책에서는 근본원인을 원천적으로 비저너리-오퍼레이터=프로세서의 삼각구조의 불안정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다. 이 세가지 타입들은 동기-관점-목표가 상충되기 때문에 시너지스트가 팀 내 있어야 공동이 목표를 향해
팀이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한다.
Visionary(비저너리): 큰 그림을 그리고 혁신을 추구하며 빠른 의사결정을 선호
Operator(오퍼레이터): 실행과 결과 중심, 당장 눈앞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척을 중요시
Processor(프로세서): 체계적, 절차적, 분석적 접근으로 리스크를 줄이고 품질을 보장
Synergist(시너지스트): 팀원들 간의 이해와 갈등을 조율하며, 공통된 목표와 협업을 이끌어냄
이 책은 개인이 집단을 성공으로 이끄는 방법을 보여주는 데 월부 시스템에도 시너지리스트가 있는 거 같다.
내가 볼 때 시너지리스트는 집단 내 핵심 역할(조장)이며 집단(조별모임)을 성공으로 이끄는 역할을 하는 사람인 데
각기 다른 구성원들의 소통방식, 언어를 해석해서 각 개인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여 최고의 성과를
끌어내며 결국 조직의 대표가 아니라 조직 구성원 개개인이 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개인적인 필요성에 따라 읽어본 것으로 조직 구성에 고민이 있는 직책자라면 한번쯤 읽어볼만하고
시너지스트를 어떻게 하면 확보하거나 내가 시너지스트가 될 수 있을 지 생각해볼 수 있다.
p.301
모든 성공한 팀이나 조직에는 숨겨진 패턴이 있다.
p.306
팀을 기반으로 한 고급 의사 결정에서 지적 엄격함은 이렇게 정의할 수 있다. '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살펴보기 위해 최대한 많은 질문을 할 의무'
댓글
난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