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람숲 입니다 :)
오랜만에 임장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인구'를, 오늘은 '학군'을 살펴보고 있는데요!
'이거 하나면 다른 것은 볼 필요 없어!!'할 만하게 정리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ㅎㅎ
사실 서울의 학군지, 지방의 대표 학군은 정해져 있기에
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
해당 지역에서 '학군'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따라
임장보고서에서도 그만큼 힘을 더 주거나 빼고 있습니다.
그래도 공통적으로는
1) 초등학교 : 위치, 학급당학생수, 총학생수, 학년별 학생수, 학년에 따른 학생수 증감
2) 중학교 : 위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2016년), 특목고 진학수(2016, 현재)
3) 고등학교 : 위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2016년), 서울대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 합격수(2020~현재)
정도 살펴보고
지역내 커뮤니티 검색, 기사 검색, 전임 등으로 수요를 파악하고 있어요.
그리고 현장에서 그 수요를 확인하는 것이지요 :)
유의할 점은,
이런 데이터는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A면 반드시 B이다'라는 규칙은 없습니다.
데이터를 보고 지역에 대한 선호와 수요를 생각해보고
현장에서 그것을 확인하는 것이지요.
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는
위치, 학급당학생수, 총학생수, 학년별 학생수, 학년에 따른 학생수 증감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부모님 입장에선 어린 자녀가 홀로 먼 학교를 등교하는 것이 불안할 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초품아는 의미가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경우 자녀가 안전하게 등교할 수 있는 위치/거리인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학급당 학생수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학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학생이 너무 적어 반이 몇개 없어서 등의 이유로
학급당 학생수 지표가 높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총 학생수를 함께 확인합니다.
1,000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하고 있으면 의미 있게 보고 있고,
500명이 안되는 학생이라면
아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는 지역일 수 있다고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 수가 증가한다면
좋은 중학교에 배정되는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고학년에 접어들 때 전학을 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입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학년 학생 수가 더 많은 것일 수 있고
변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보조지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학교
중학교에서는
위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2016년), 특목고 진학수(2016, 현재)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모님들은 자녀가 고생하지 않고 행복하길 바라고,
그러기 위해 좋은 학교에 진학하길 바라십니다.
(좋은 학교의 정의와, 그곳에의 진학과 행복의 상관관계는 일단 접어두고..ㅎㅎ)
좋은 대학에 가려면
좋은 고등학교에 가야하고
좋은 고등학교에 가려면
좋은 중학교, 그 고등학교에 배정되는 중학교에 가야하죠.
(그리고 그 중학교에 가려면 좋은 초등학교를....ㅋㅋㅋ)
2016년까지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보통학력의 학생들이 얼마나 되는가를 의미합니다.
즉 이 지표의 값이 높으면
보통 수준 이상의 학생들이 많은 것이고,
그만큼 면학분위기가 안정적일 확률이 높습니다.
한편 특목고 진학수/진학률은
해당 고교에서 과학고, 외고, 국제고를 얼마나 보냈는가에 대한 지표입니다.
외고, 국제고보다는 과학고를 좀 더 의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의 서울대,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진학수를 살펴보면
특목고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학군지의 학원가를 가보면,
대입은 물론 이런 특목고를 진학하기 위한 고입 학원도 많지요.
제 경우특목고 진학수/진학률은 2016년 자료 옆에
2024년(최신) 결과를 찾아서 넣습니다.
전국을 다 넣진 못해서..(가내수공업 ㅠㅠ)
앞마당을 늘릴 때 해당 임장지만 작성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찾는 경로는 파일 안에 써두었습니다.
만약 어떤 중학교가
학업성취도 수준도 높고 특목고 진학수도 많다면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준이나 면학분위기도 좋고
상위권 학생들의 관리나 지도가 잘 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학업성취도 수준은 그리 높지 않지만 특목고 진학수가 많다면
보통 수준의 학생들이 많진 않아도
학교에서 상위권 학생들의 관리나 지도를 잘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해볼 수 있겠죠.
아참,
2016년 아실 자료는
학교의 목록 역시 2016년에 머물러 있습니다.
거의 10년 전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새롭게 개교한 학교도, 폐교한 학교도 있습니다.
2025년 7월 7일 기준의
전국 중학교 목록을 옆에 넣어두었으니
참고하세요 :)
고등학교
고등학교에서는
위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2016년), 서울대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 합격수(2020~현재)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주로 어떤 학교가 어디에 있고
어떤 학교가 좋은 대학을 많이 보내는지를
확인합니다.
대학진학에 관한 자료는
전국의 모든 대학에 대한 전수조사는 아니지만
각 고등학교들이 공개한 선에서
베리스타스알파 라는 교육전문신문에서
자료를 취합하였습니다.
보통 학군을 볼 때
고등학교는 엄청 자세하게 보는 편은 아니지만
임장지가 학군지라면
고등학교가지도 자세하게 살펴봅니다.
2025년 7월 제가 조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신 학군 자료를 하나로 모은 파일입니다.
자료를 찾는 시간은 줄이고
투자와 연결짓는 생각을 확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학군_전국 초중고 학군_20250707_바람숲.xls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