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임장과 임장보고서의 모든 것]
우리는 우리가 가진 종잣돈에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을 산다의 목표를 가지고
투자공부를 하고 있다.
서울만해도 25개구, 수도권까지 합한다면 지역의 갯수는 엄청나다.
그 많은 지역을 비교하면서 내가 가진 종잣돈으로 가장 좋은 것을 사야하는데
그럴 때 필요한 것이 입지등급이다.
부동산에서 말하는 입지등급에는 직장,교통,학군,환경이 있다 +호재
조금 더 좋고, 덜 좋은 지역, 조금 더 좋은 단지, 조금 덜 좋은 단지를 평가할 때는
이 4가지의 기준 등급표를 가지고
비교평가를 하게된다.
2강 권유디님의 강의에서는 부동산에서 매우 중요한 입지등급를 평가하는 법
앞마당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처음으로 해야할 분위기 임장에 대해서
루트 짜는 법 부터, 분임 때 무엇을 집중적으로 보고와야하는지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신다
[직장]
직장이 가지는 의미
대기업이 갖고 있는 의미
주요 업무지구의 의미
대기업이 많다는 것의 의미 등 세밀하게 분석해서 알려주시고
[교통]
원하는 지역과 기준을 강남역으로 잡고 왜 강남을 봐야하는지
강남과 주요 업무지구의 이동시간을 통해 입지등급을 평가하는 법
서울, 수도권에서 사람들이 왜 교통을 중요시 여기는지 등
[학군]
해당 지역이 학군을 통해 외부 수요가 있는지 없는지
외부 수요까지 끌어드릴만한 요소인가
혹은 동네에서 선호되는 것인가를 분석하는 법
[환경]
사람들이 선호하는 환경
비선호하는 환경
[공급]
해당 지역과 교류하는 지역 알아보기
순이동 많은 지역이 공급이 많다면?
공급이 많았을 때 대비하는 법
공급 물량이 많을 때 투자를 할지 말지 저울 하는 법
주변지역과 위상 고려해서 공급의 영향력이 더 큰 지역에 대한 실전적 생각 연결하는 법
각 입지등급 카테고리 별로 굉장히 자세하게 설명해주신다.
이러한 기준점이 있기 때문에 지역, 단지를 비교평가할 때
조금 더 좋은 것, 조금 덜 좋은 것에 대한 평가를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거 같다.
개인적으로 인구 파트에서 연령별 특징을 설명해주시는 부분이
평소 긴가민가 했던 부분이 시원하게 해결되었던 거 같다.
20,30대: 교통 편리, 20평대 거주
10,40대: 학군지, 학교 학원가, 30평대 거주
영유아+~9세+30대: 신축
50,60대: 오래된 거주민
이 기준점을 가지고 사전임보를 작성하고 분임을 한다면 좀 더 와닿는 임장이 될 것 같다.
다음은 강의의 핵심
[시세조사]
시세조사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미부터 해당 구, 시를 시세조사하는 법을
아주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신다.
많은 매매/호가 중 어떤 가격을 기준으로 삼아 장표에 넣어야 하는지 부터
전고점 기간, 전고점 대비 -15% 싸다는 기준을 가지고
시세 조사를 통해 나의 투자 물건을 찾아가는 법
또한 늘어나는 앞마당 관리법,
앞마당 시세트래킹에 가격 흐름을 보기 위해서 랜드마크를 넣어야 하는 이유
한달에 1번 앞마당 트래킹을 하면서 나의 투자 물건을 고르는 법 등
임장과 임장보고서 그 후 앞마당 관리까지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2번째 강의이지만 복습 및 추가로 더 장표를 만들어보고 분석해봐야겠다는 깨달음이 있었다.
댓글
새벽조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