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꾸준히해보자입니다.
2주차 강의 후기에 대해
정리하러 왔습니다.
2주차 강의에서는
부동산 투자 시
기준이 되는 입지를 보는 방법
그리고 시세트래킹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항상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 분야인데
막상 다시 한번 강의를 들어보니
그동안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지만
놓치고 있었던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놓치고 있었던
부분들을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투자를 하기 위한 임장보고서
임장보고서.
사실 가끔은
이렇게까지 보고서를 만들면서까지
보고서를 써야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마음속 깊이
이런 임장보고서를 쓰고
스스로 지역에 대해
정리를 하면서
지역에 대해 더 잘 알게 되고
이런 과정을 거쳐야만
저평가된 단지를
잘 매수할 수 있음을 압니다.
그런데 어느순간
투자를 하기 위한 임장보고서라기보다는
과제를 하기 위한,
타성에 젖은 임장보고서를
쓰는 것 같습니다.
기존에 만들었던 임장보고서를
재탕하고
큰 생각을 거치지 않은체
형식에 맞춰서 임장보고서를
쓰는 것 같습니다.
지역마다 특색이 다르고
그에 따라
투자기준도 조금씩은 다를 수 있는데
일편단율적으로 쓰는
습관은 조금 버려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입지 기준에는 이유가 있다
강의를 들으면서
어쩔 수 없이 현재
임장지인 강서구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운좋게도 이번에
권유디 튜터님께서
강의해주신 지역이 바로 강서구였습니다.
강서구를 돌다보면
임대단지를 많이 볼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가장 선호도가 높은 지역인
마곡을 돌면서도
임대단지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임대단지는
민간단지들보다는 선호도가 떨어지기에
임대 단지가 많으니
마곡도 어느정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고민이 조금 있었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임대가 많은 부분은 다소 아쉽지만
우리가 가장 중요시 봐야할 것은
입지기준 5가지이기에
비록 임대부분이 아쉬워도
입지 기준 5가지가 훌륭하다면
충분히 투자가치가 있다는 점
그리고 마곡도 그런점에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시세트래킹 방법을 바꿔볼까
강의 마지막 부분에서
튜터님께서
시세 트래킹 관련 얘기도 해주셨습니다.
공급이 부족하기에
향후 서울의 매매가는 몰라도
전세가는 분명 오르면서
기회는 주어질 것이니
트래킹을 확실히 해둬야 한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앞마당이 많아지면서
현재 트래킹을 매일한다고 하지만
매번 보던 단지만 보고
전수조사라던지
지역을 깊게 파보려는 노력은
최근 조금 덜하는 것 같습니다.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투자금에 맞춰
조금 더 심도 깊게 지역을 파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앞마다 중에서
투자금에 맞지 않은 지역은
지금 처럼 조금 느슨하게 해도되겠지만
투자가 가능하거나
투자영향권 +1억에 들어오는 단지들은
전수조사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진정 투자기회를 잡으려면
전수조사는 꼭하기!!
댓글
꾸준히해보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