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 기억할 것
1. 지역 분석
-도시의 구조: 물리적 도시와 정서적 도시.
-지형의 영향: 교통 주거 인프라의 확장과 단절
2. 입지 분석
(1) 직장
-주요 일자리 위치
-양 & 질: 수, 대기업수, 산업유형, 월소득
-고소득 직종 종사자들의 선호 주거지는?
*특징적 중소도시 - 젊은 경제인구 / 대기업 종사자의 구매력
(2) 학군
-압도적 학군지인가?
-지역내 선호 학군지인가?
-학군이 가격에 영향?
(3) 환경
-어디가 제일 큰 상권?
-어떤 환경을 좋아할까?
-편의성과 쾌적성
-신축의 힘은 어느 정도일까?
(4) 공급
-공급으로 입지 위상이 바뀔까?
-리스크 점검을 어떻게 해야할까?
-공급 더이상 밖으로퍼져나가지 못하면 중심으로 들어온다!
-재개발 재건축 진행된다면?
(5) 교통
-지하철 중요도는?
-지하철 없는 곳에서 교통 평하다고 생각하는 건?
1.분임: 생활권 파악
-사람이 어디에 모일까?
-큰 도로 외 이면도로!
-단지 사이만 돌아다니지 말 것
2.단임: 개별 단지 특징 파악
-분임 때 가지 않았던 곳 엮어서 볼 것!
-생활권 순위랑 일치할까?
-특출난 상품성 있는 단지인가? 초교 먼데, 상가도 별로, 그런데 비싸네. 왜?
-거주 선호도 떨어지는 단지인가?
-땅의 가치 vs 실거주자의 거주 선호도
3.시세지도: 가격 결정 요소 파악
(1) 생활권 우선순위 - 생활권 간의 대표 단지 가격은? 분임 단임 때 내 생각이랑 맞을까 =-?
(2) 가격 결정 영향 요인 - 생활권 내 단지 간 가격은? 이 생활권 안에서 가격을 좌우하는 건 뭘까?
"투자"를 위한 지역 분석
연식: 거주만족도의 영향 정도
중심 접근성: 지하철 외 교통망!
학군: 교육열과 부의 상관관계
>> 적용할 점
- 유사한 성격의 입지 요소 지닌 다른 도시/지역/생활권과의 비교
- 질문하라. 해석하라. 투자와 연결하라. 수요와 연결하라!
댓글
로사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