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내가 투자하는 물건이 있는 지역의 입지는 어떠한가?
내가 투자하는 단지의 입지는 어떠한가?
투자할 수 있는 지역 중 가장 좋은 지역인가?
투자할 수 있는 단지 중 가장 좋은 단지인가?
-→ 10년째 전세가가 안오르는 단지
-→ 외곽 (의정부, 파주 등)
1. 지도를 보고 단지 선호도를 매겨본다.
2.가격을 붙여본다
3. 투자범위 안에 넣을 것과,후순위로 넣을 것을 분명하게 구분한다.
4. 1등 뽑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투자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투자 하는것이 중요하다.
위치 중요 (메인생활관(중심지)랑 머냐, 가깝다)
(중심지와 멀어도) 신축인 것, 연식이 좋은 곳. 세대수가 많은 곳
(중심지와 멀어도) 학교랑 가까움
20-40평대가 섞여있는 단지를 선호한다. (10-20평대만 있는 단지보다)
1. 단지가치 → 투자범위→선호도파악
2. 저평가된 물건 고르기→ 가격대
3. 내 투자금에 맞는 것
4. 매물임장
지역 내 비교를 끝내야 (가치 대비 저평가 된게 무엇인지)
지역 간 비교를 할수있다.
둘을 비교해서 단지 선호도를 평가한다.
내 투자금 + 5천만원까지의 단지들 중 후보단지 리스트업 마무리하기
6. 수리가 되어있는 물건을 전세끼고 사는게 제일 좋다. (퇴거자 대출 한도가 1억이므로)
인상 깊었던 점과 적용할 점.
단지 분석 이후에 해야할일,
1. 지도를 보고 생활권 별로 단지 선호도 매기는 것.
2. 투자범위에 넣을 곳과 후순위로 넣을곳을 분명히 구분하는것.
3. 1등 뽑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투자범위에 넣을 곳을 지속적으로 한달에 한번씩 트레킹 하며 간극이 좁혀지는지 아는것이 중요.
하루 30분씩 시세 따는걸 생활화 해라
2. 의문이나 궁금한 점.
최근 실거래 건수가 현저하게 적은 경우, 그 단지는 거래가 잘 안되므로, 투자 후순위로 두는게 좋은건지?
특히 봉산뜨란채 24평 최근 거래 아예 없음.
---> 저환수원리로 봤을때 떨어지는 것. 사면 안되는 단지.
매매 물량이 많은 단지와, 전세물량이 많은 단지를 어떻게 해석하고 넘어가야 하는지?
---> 의미 없다. 저환수원리 위주로 생각해라
3. TOP3
투자금 +5천까지 해서 지켜볼 단지.
25평 기준 3억 7천정도 하는 단지중 생활권/교통/학군/환경 빠지지 않는 TOP4
1) 남산역 화성파크드림 (415^18y)
2) 극동 스탁클래스 남산 (946^14y)
3) 삼덕 청아람 리슈빌 (730^13y)
4) 대봉 태왕 아너스 (410^15y)
5) 월배 아이파크 2차 (2134^16y) 용천초 1700명/28명
상대적으로 동인과 대봉 생활권 전세가율이 더 높아서 투자금 범위내로 더 빨리 진입할것 같지만, 남산이 먼저 들어온다면 남산을 투자하고 싶다.
4. 자모님이 반마당을 앞마당으로 만드는 팁을 라이브 통해서 말해줌.
시세를 다 딴다.
단지분석 한다.
투자금 (+5천만원) 내의 단지를 1달에 한번씩 시세트레킹 한다.
8월) 대구 동구/북구, 울산 남구, 북구 앞마당 만들고,
9월) 열중 듣고
10월) 지방실전 또는 지투기 들어면서 천안, 청주를 추가로 공부하고 싶다. ㅁ
댓글
월루얄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