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호기 진행 예정 중에, 법무사비에 대해 궁금하여 글 작성합니다.
부사님께서 잘 모른다고 하여 추천해주신 사무장님 번호를 받고 연락을 드렸습니다.
법무사비는 45만원이고, 인지세 15만원, 증지세 1만 8천원, 채권 30-40만원으로 대략 계산해보면 총 90-100만원이 나옵니다.
이렇게 진행되는게 맞는지 확인차 여쭤봅니다!
“취득세(교육세, 농특세 포함) + 채권료 + 인지세 + 등기신청수수료” 4가지를 제외한 금액 모두 합쳐서 순수 법무사 수수료로 보면 된다. → 해당 내용이 위에 기재된 법무사비 45만원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첫 투자라 모르는 거 투성인데 항상 내 일처럼 생각하고 답글 달아주셔 감사합니다.
소중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호두님 안녕하세요 :) 법무사비에 대해서 명확한 기준이 없지만, 보통 법무사비가 45만원이면 조금 비싼 편이라 느껴집니다. 명확한 지역 및 단지 등을 알 수 없어 답변드리기 어렵지만 '법무통'이라는 어플을 통해 견적을 받아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호두님 안녕하세요! 험블님 말씀처럼 저 역시 법무사비 45만원은 좀 비싼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법무통 어플 보시면 더 저렴한 곳 찾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지세, 중지세, 채권 등 잘 알고 계시네요. 채권은 당일마다 가격이 변동되는 금액입니다. 보통 법무사비가 30만원이다 라고 고지는 하지만 내역서를 보면, 대중교통비, 출장비 등 덕지덕지 더 가격이 붙는 경우도 많아요. 법무사님께는 30만원이 (인지세, 중지세, 채권, 취득세 등) 세금 제외하고 수수료만 30만원등이 맞는지 재확인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파이팅입니다!
호두님 안녕하세요. 법무사비용 관련하여 쓴 글이 있어서 공유 드려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https://weolbu.com/s/D6IuEv6k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