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양가상한제가 있는 이유
2.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
3.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2025년 기준)
4.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 확인방법
청약으로 내 집을 마련하려면,
분양가상한제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이 제도는 ‘이 가격 이상은 못 판다’는 정부의 가격 상한선으로,
주변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아파트를 분양받을 기회를 주는데요!
특히 2025년 현재 적용 지역과 예정 아파트를 알아두면,
경쟁이 치열한 청약 시장에서 유리한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분양가상한제가 있는 이유부터 적용·제외 지역,
그리고 2025년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까지 총정리했습니다.
분양가상한제, 흔히 ‘분상제’라고 부르는 제도는 주택 분양가격에 상한선을 두어 일정 금액 이상으로는 분양하지 못하게 하는 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정부가 “이 가격 이상은 안 된다”라고 기준을 정해두는 것이죠.
이 제도의 목적은 집값 상승 억제와 실수요자 보호입니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경우가 많아 청약 당첨 시 수억 원의 차익이 가능해 ‘청약 로또’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요. 실제로 강남·서초·송파 등 인기 지역에서 상한제 적용 단지가 분양에 나서면 수백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 곳에서는 땅값(택지비) + 공사비(건축비) 외 마진이나 각종 비용이 더 들어가는데요.
분양가 상한제는 땅값(택지비)와 공사비(건축비) 만으로 분양가를 책정합니다.
그래서 주변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게 돼요.
분양가상한제는 집값 안정화와 실수요자 보호라는 장점과 함께 청약 과열·공급 축소라는 부작용이 공존하는 제도입니다.
분양가상한제 장점
분양가상한제 단점
분양가가 낮다 보니 청약 과열과 ‘묻지마 청약’이 늘어나고, 전매제한 등으로 거래가 제한되면서 시장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는 수익성이 악화돼 공급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지역은 어디일까요?
2025년 기준 현재 적용 지역과 적용 제외 지역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분양가상한제는 가격 상승 우려 지역과 공공택지개발지구에 적용됩니다.
2023년 이전에는 서울 대부분 지역, 과천, 하남, 광명 등이 분양가상한제였지만,
2023년 1월 5일 이후 지정 해제되어
현재는 4곳만이 분양가 상한제 지역에 해당됩니다.
2025년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
그럼 2025년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에서
어떤 아파트들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었을까요?
이어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분양 예정인 아파트 중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지역의 아파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양 기간이 2025년 하반기 또는 2026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는 아파트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파트명 | 잠실 르엘 |
---|---|
위치 | 서울 송파구 신천동 17-6번지 일대 |
총 세대 수 | 1,865세대 |
일반 분양 세대 수 | 216세대 |
예상 분양가 | 17억~18억 (전용 74㎡ 기준, 잠실에 나온 ‘10억 로또’ 216가구 참고) |
아파트명 | 아크로드 서초 |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33번지 |
총 세대 수 | 1,161세대 |
일반 분양 세대 수 | 56세대 |
인근 시세(서초 래미안 리더스원) | 37억원 (전용 84㎡ 기준, 호갱노노 래미안리더스원 참고) |
아파트명 | 래미안 트리니원 |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1109번지 일대 |
총 세대 수 | 2,091세대 |
일반 분양 세대 수 | 506세대 |
예상 분양가 | 23억~25억 (전용 74㎡ 기준, 반포 더블역세권에 20억 시세차익 참고) |
아파트명 | 용산 아세아아파트 |
---|---|
위치 |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65-1번지 일원 |
총 세대 수 | 997세대 |
일반 분양 세대 수 | 일반분양 847세대, 공공기여(미국 대사관 직원 숙소) 150세대 |
인근 시세 | 38억 (전용 114㎡기준, 호갱노노 용산센트럴파크 참고) |
아파트명 |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810번지 일대 |
총 세대 수 | 5,002세대 |
일반 분양 세대 수 | 약 2,450세대 예정 |
예상 분양가 | 30억 (전용 84㎡ 기준, '시세차익 25억' 단군 이래 최대 로또 청약 뜬다 참고) |
이번 글에서는 분양가상한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2025년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지역과 아파트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분양가상한제 아파트는 당첨만 되면 수억 원의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는 ‘청약 로또’가 될 수 있지만,
공급 축소, 청약 과열 같은 부작용도 분명 존재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로또 청약’이라는 기대감만으로 접근하기보다
제도의 특징과 변화 가능성을 잘 파악한 뒤 나에게 맞는 청약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양가상한제 관련 최신 뉴스, 그리고 적용 예정 아파트를 꾸준히 확인하며
내 집 마련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길 바랍니다.
청약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 아래 칼럼에서 청약 꿀팁 알아가세요!
로또 청약 무순위 줍줍할 때 반드시 알아둬야 하는 5가지
사진 출처 : 비즈워치, 카카오맵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지정해제 고시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