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키워드)
-행복
-빈도
(다시보고싶은 문구)
214p
‘많이 갖는 것이 행복은 아니다’라는 결론을 뒷받침하는 연구는 끝없이 많다.
(물질적인 풍요가 행복을 주지 않는다. 경제적 자유만이 먹표여서는 안된다.)
224.
대학생들이 일상에서 겪는 좋은 일들(새로 생긴 남자 친구, 대학원 입학 등)과 나쁜 일들(결별, F 학점 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약 3개월이었다. 다시 말해, 작년에 벌어진 이런저런 사건들은 그들이 4월 1일에 느끼는 행복감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시간은 기쁜 일도 슬픈 일도 생각보다 빨리 지운다.
(3개월만 지나보자, 당장의 힘듬도 시간이 약이란 말은 속설이 아니라 연구결과.)
229
행복은 복권 같은 큰 사건으로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초콜릿 같은 소소한 즐거움의 가랑비에 젖는 것이다.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
233
객관적으로 얼마나 많이 가졌느냐보다 이미 가진 것을 얼마나 좋아하느냐가 행복과 더 깊은 관련이 있다.
(내가 가진것에 얼마나 감사 할 줄 아냐에 따라 나의 행복의 빈도가 높아진다. 감사일기 놓치지 말고 쓰자.)
241.
성공하면 당연히 행복해지리라는 기대를 하지만, 실상 행복에 큰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살면서 깨닫게 된다. 그제야 당황한다. 축하 잔치의 짧은 여흥만을 생각했지, 잔치 뒤의 긴 시간에 대해서는 제대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제독립하고 어떤것에 몰입할 지, 끈임없이 고민하고. 그릇을 넓혀가자.)
421.
나의 즐거움에 다른 사람들이 박수를 치든 안 치든, 그리 중요하지 않다. 짧게는 일상 속에, 길게는 인생 여정에 그것을 많이 던져 놓는 것이 중요하다. 행복은 숭고한 인생 미션이 아니다.
(행복해질거야. 라는 다짐은 숭고한 인생 미션으로 행복을 여긴다고 볼 수 있다. 행복은 그때그때 누리고 만끽해야 하는것이다. 작은것에도 감사하고 받은 것을 나누며 스스로에게 몰입 하고 나를 알아가면서 행복을 달성의 대상이 아닌 공존의 대상이란 마음을 가지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