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치평가, 비교평가]

 

*단지가치를 실제 적용하는 것

- 입지가치: 땅, 교통, 직장, 학군, 환경
- 상품가치: 연식, 세대수, 브랜드

 

전세가비교>"실수요가치"를 알 수 있는 부분

 

지방에서 구축인데 비싸다면 체크

지방에서 땅을 본다는 관점
>선호도가 압도적인가
>남녀노소가 계속 거주하고 싶어하나?


10~20년차도 비싼곳 찾기
(ex.해운대 센텀)

 

수도권의 교통이 가지는 힘은 [급지=땅]을 넘어섬

수도권에서는 '단지별'로 '교통'을 상세히 따져봐야 하고
'물리적인 위치'도 같이 봐야함
강남역, 시청역, 여의도역

 

Q. 지방에서 교통의 가치
1기간내 이동이 대부분
>> 직장과 교통 보다는 내가 여기서 살아야 하는 '이유'가 있는 곳을 찾게 됨
>>환경, 학군

직장은 매매가, 전세가에 계속 영향을 줌

 

* 수도권
땅의 가치(강남까지)
직장이 있나?
교통은?

 

Q. 지방에서 직장의 가치
직장이 가깝다는 이유로 선호도가 높지 않음
> 입지요소가 크게 중요하지 않음

 

2.
[내집마련에서 '학군']
초등학교, 중학교까지 안정적인 장기 거주를 희망
>집값 상승의 힘이 강하고, 전세수요도 많음
>면학 분위기 '학업성취도' '학원'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특목고 진학률 체크

 

*초등학교 접근성, 학년별 학생수 증가 체크
어떤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고학년 학생수가 많나?

 

지방 '학군' 정리
지방에서 학군은 '장기거주'를 의미

 

'환경' = 살고 싶은가?와 연결
유해시설이 없고 편의시설이 있는 곳
유해시설- 교도소, 소각장, 화장터, 변전소
편의시설- 백화점, 마트, 병원

 

상품가치=환경

지방에서 상품가치
신축, 대단지, 브랜드가 주는 힘이 수도권보다 강함
구축 한 번 떨어진 가격은 회복하기 쉽지않음
지방을 고를때 학군지 or 신축, 브랜드 대단지
사람들의 선호요소가 쉽게 바뀔 수 있음을 인지(대단지, 신축)


3
단지별 제대로 비교평가 하는 법

 

Q. 지방에서 후보지역 선정
'좋아하는 단지', '비싼 단지들이 몰려 있는 곳' 부터 후보단지 검색
균질성, 연식, 유해시설없고, 아이키우기 좋은곳

 

4.
비교평가

같은 가격이라면, 하나라도 장점이 더 있는것을 선택하면 됨
Q. 연식, 입지 다른경우
주변단지로 파악

 

5.
지방비교평가
지역별 가장 가치가 높은 것부터

200만 도시 환경, 학군+땅

 

광역시 구축
선택의 이유가 명확해야 하고, 투자범위가 좁음

 

도시 규모가 작을수록 '연식'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하나 씩만 해나가보기'

 

1. 강의 제대로 듣기
2. 네이버부동산 보기
3. 부동산 전화해보기
4. 임장가기

 

[적용점]
네이버부동산 보기, 알람등록, 임장가기


댓글


너밖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