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대기만성 흙수저
대흙입니다.
제가 예전에 임보를 작성하면서
가장 애먹었던 게 뭐냐 돌이켜보면
단연코, 시세지도라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 서기반을 수강중인 분들도
공감이 많이 갈텐데요.
서기반의 기초템플릿 가형, 나형만으로도
충분히 그 활용을 할 수 있지만
조금 더 욕심이 나시는 분들을 위해
월부 5년차의 시세지도 작성법을 알려드리고
시세지도에서 어떤 부분을 중시해야할지 말씀드려보겠습니다.
먼저 왜 굳이 굳이
이 번거로운 일을 하는 걸까요?
그냥 네이버부동산 보면 안되는 걸까요?
맞습니다. 네이버부동산만 봐도 됩니다. ㅎㅎ
다만, 지금 말고 앞마당으로 만들고 난 후에는요
처음 접하는 곳이라면 시세지도를 그리는 것이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그 이유는 2가지입니다.
1. 직접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에 남습니다.
2. 흩어진 시세를 정리하면 뭐가 더 좋은지 보입니다.
저희는 가진 돈으로 가장 좋은 것을 사기 위한
목적을 가졌기에, 단순히 네이버부동산만 슥 보고
지역을 눈대중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A단지와 B단지와 비교평가를 통해
가치대비 저평가된 곳을 고를 줄 알아야만 합니다.
따라서, 그 가치와 가격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시세지도를 꼭 그릴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럼 하나씩 시세지도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https://cafe.naver.com/wecando7/10495951
[푸버리지 2024년 디렉토리] 전국 최근 단지 정보 반영(~26년까지) 푸버리지 엑셀시세표 원하는 지역 한 번에 찾으세요 ☆
먼저, 저는 푸르니푸님의 엑셀시세표를 사용하는데요.
몇몇 분들은 엑셀을 다루기가 좀 어려워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막상 글을 따라서 해보면 어려운 건 사실 별로 없습니다.
(참고 링크)
https://cafe.naver.com/wecando7/9291082
[푸버리지 FAQ] 푸버리지 (전국 엑셀시세표) 자주 묻는 질문 및 각종 오류 해결방법 BEST 5
또한 위 링크에 FAQ도 잘 나와있으니 천천히
따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푸르니푸를 쓰는 이유는 2가지인데요.
1. 모든 단지를 빠짐없이 볼 수 있다.
(모든 단지의 시세를 따지 않더라도,
어떤 단지가 임대인지, 대형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시세그룹핑이 원활하다.
시세그룹핑 매크로가 가능해서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기가 수월합니다.
이후, 동대문구를 예시로 들어 계속 말씀드리자면
위 1번 링크에 들어가
동대문구가 속해 있는 행을 확인 후
링크를 클릭해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후엔 매크로 차단이 되어있다면
FAQ 글을 참고하셔서 매크로 차단해제 해주시고
네이버 부동산을 보며 동별로, 단지별로 시세를
하나 하나 넣어줍니다.
이 과정에서
모든 타입 모든 평형의 시세를
딸 필요는 없습니다.
위에 제가 한 걸 보아도 공란이 더 많죠?
저는 보통 아래와 같은 것만 시세를 땁니다.
1. 24평, 33평 등 대표적인 평형만 시세 따기
2. 유사 평형이 많다면 세대수가 가장 많은 타입만 따기
3. 같은 평형 내에서 계단식, 복도식이 나뉜다면 둘 다 따기
(선호도에 따른 가격차이가 있기 때문)
4. 신축의 경우 판상형, 타워형 각각 따기
(3번과 같은 이유)
https://cafe.naver.com/wecando7/11362470
[루시퍼홍] 18탄 네이버 부동산 매물 가격 필터 (based on 모느나님) (2025-07-25 업데이트)
https://cafe.naver.com/wecando7/11444475
[루시퍼홍] 홍님 갑자기 몽키가 안돼요ㅠㅠ
해당 단계는 선택사항인데요.
사실 하면 너무 좋음... (갓시퍼홍님 사랑합니다...)
이렇게 저층제외 타입별 최저가를
알려주기 때문에, 시세를 한 번에
파악하기가 좋습니다.
물론, 최저가 매물만이 투자할 수 있는
매물은 아닙니다.
실제 투자를 할 때는 네고와 협상여부까지
생각해 모든 매물을 투자 후보로 보는 것이 맞지만
시세지도를 그리는 단계에서는
대략적인 시세를 확인하고, 큰 관점에서
단지의 저평가 여부를 파악하기에
해당 툴을 써도 충분하다는 생각입니다.
해당 툴 사용법 또한 나눔글을 찬찬히
읽어보면 작성이 잘 되어있기에
시간을 두시고 적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으로 엑셀시세표를 통해
딴 시세를 지도에 올려야 하는데요.
여기선, 크게 다음과 같은 디테일을 챙기면 좋습니다.
1. 연식, 세대수
2. 주요 평형 시세 (구조, 타입)
3. 초등학교, 중학교 정보 및 배정
https://cafe.naver.com/wecando7/11471402
[루시퍼홍] 26탄 시세지도 Ver.2 (2025-07-07 업데이트)
이 또한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갓시퍼홍님의 해당 글이 가장 간편합니다.
사용법과 같이 시세지도를 그리고
캡처하면 위와 같은데요.
해당 지도에 이미
연식, 세대수, 가격, 초등학교, 중학교 정보
및 백화점, 스타벅스 등 환경요소까지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채워줘야할 부분은
1. 초등학교 배정 범위
(학생수/학급당학생수가 많은 선호초만)
2. 구조에 따른 가격차이
위와 같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요.
위 예시처럼
투자에 대한 나의 생각과
매임으로 어떤 단지를 볼 것인지
아웃풋이 반드시 나와야 합니다.
예시는 간단히 적었지만
어떠한 생각도 상관없고, 맞는지 틀린지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그것들을
확인해보면 됩니다.
그 시행착오 또한 현재 이 시장에서만
배울 수 있는 인사이트가 되고
앞으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이 될 겁니다.
https://cafe.naver.com/wecando7/10922676
푸버리지 시세 파일 내마중 과제 양식으로 한번에 변환하기! [내마중8기 7ㅣ회는 준비된 우리에게 5조 일꿈]
마지막으로
1번에서 작성한 푸버리지 엑셀표를
활용해 위의 나눔글의 엑셀양식으로
내마중 전수조사 시트 (전고점 표기 양식)으로
변환까지 한다면, 나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올라운드 양식이 됩니다.
시세지도와 전수조사를 따로 하는 것이
시간적으로 굉장히 오래 걸리는 일이라
이 부분에 대해 고민이 많으셨을텐데
아마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꿈님 감사합니다.)
시세지도는 한 번만 그리면
이후에는 다시 그릴 일이 거의 없지만
이미 앞마당으로 만든 후
투자를 검토할 때는 전수조사 시트를
활용하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위와 같이
초보단계에서 조금 더 발전한
시세지도 작성법을 말씀드려보았는데요.
시간이 조금 더 오래 걸릴지라도
향후에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에 추천드려보았습니다.
또한, 해당 방법을 꼭 하지 않더라도
시세지도의 본질은
처음 말씀드린 바와 같이
1. 직접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에 남습니다.
2. 흩어진 시세를 정리하면 뭐가 더 좋은지 보입니다.
위의 2가지를 통해
저평가된 단지를 파악해보는 것이기에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작성해보심이 좋습니다.
(손으로 백지도에 그리는 것 또한 좋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양식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임보를 작성할 수 잇게 되엇습니다!! 양식에 생각을 넣는 방법, 좀 더 뾰족하게 볼 수잇는 방법을 알게되어 너무 감사드립니다.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