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안녕하세요~!!
백년해로!(百年偕老), 함께 나이 들어가며 성장할 수 있는 자산을 찾아나서고 있는 해로입니다!
1주차 필수도서인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의 독서 후기를 아래와 같이 남겨봅니다.
1. 책 제목 :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 너나위 / (주)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 25.09.05
4. 총점 : 10 / 10점
5. 점수를 준 이유 :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게 만든, 변화의 계기가 된 책이기에 10점도 터무니 없이 모자랄 만큼 제게는 가치가 큰 책입니다.
< 챕터별 주요 내용 요약 >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시민으로써 왜 부동산 공부를 해야만 하는지, 어떻게 공부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돈에 관한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등에 대해 저자이신 너나위님께서 본인 스스로 무지로부터 시작해 전문가, 부동산 인플루언써로 성장하기까지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조언을 들려준다.
< 챕터별 주요 내용 요약 >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인플레이션 #자본주의 #통장=밑빠진독
-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를 갉아먹기 때문에, 소득을 통장에만 넣고 묵혀두면 오히려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노후 준비를 위해서라도 투자는 필수이다.
2장: 당신과 돈이 가야 할 방향
#생산자산 #레버리지
-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소비 자산이 아닌 생산 자산에 돈을 써야 한다.
3장: 평범한 직장인도 얻을 수 있는 성과
#부동산은입지 #투자는관계 #저평가
- 돈을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 안목을 키우기 위해서는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는 지역을 넓혀야 한다.
4장: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자본재배치 #시스템투자 #리스크관리
- 자산 규모를 키우는 것보다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게 미리 유동성을 체크하고 과욕을 삼가야 한다.
5장: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투자 매뉴얼
#저평가 #적은투자금 #리스크감당가능여부
- 나만의 투자 기준을 반드시 설정해야 하며, 손품/발품을 통해 지역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더 좋은 투자 대상처를 찾아야 한다.
6장: 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꾸준함 #함께할동료 #선택과집중
- 투자자의 태도와 루틴이 결국 자산의 크기를 결정하므로, 꾸준한 행동과 학습을 통해 자산을 키우는 그릇을 넓혀 나가야 한다.
이 책을 읽고 느낀 점을 작성 해보려다가 지난 5월에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간단히 리뷰를 남겼던 내용들이 생각나서 다시 살펴보았는데 감회가 새로웠습니다.
아래가 1회독 후 남겼던 리뷰입니다.
< 1회독 리뷰 내역 : 25.05.21 >
부동산에 대해 너무 무지했던 나였고, 이 책을 읽은 후에도 사실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그럼에도, 부동산 공부가 정말 필요하구나라는 공부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통감했다는 게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얻은 점이랄까. 아직 먹은 나이에 비해 내 지식이 많이 부족하고, 부동산을 공부하려는 시도 조차 없었다는게 많이 아쉽고 속상하다. 하지만 후회해봐야 남는게 무엇이랴. 올해 목표로 잡았던 '부동산/경제 관련 도서 10권 읽고 독후감 남기기'를 꾸준히 실천하면서 밑바닥을 잘 다져보자고 다짐하게 된다.
저자께서 가장 강조했던 부분이라서 그런지 교훈 하나는 크게 남은 것 같다. 바로 "저평가된 매물을 싸게 사면 이익을 얻는다"는 것. 사실 어떤 부분에도 통용되는 점이긴 하다. 하지만, 저평가된 매물을 찾을 수 있는 '눈'을 갖기가 너무나 어렵다는게 문제지. 내가 그 '눈'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물을 직접 찾아가서 발로 인근 상권과 시설 교통편의 등을 체험해보고, 인근 매물과 비교해 보는 것이 필수다. 결코 쉽게 얻을 수 있는 눈은 아닌 것이다. 부단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지.
불과 3개월 정도 지난 지금이지만,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와 지금은 정말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큰 변화는 ‘월부에 합류'하게 된 것이죠.
이 책을 통해서 얻은 점, 깨달은 점을 딱 하나만 꼽는다면,
‘단순히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행동해야 된다’는 점이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제 자신에 대해서 조금은 메타인지를 할 수 있었고,
이제 정말 달라져야 한다는 결심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작은 시작이었지만, 결심을 행동으로 옮겼구요.
지난 3개월을 돌이켜 봤을 때, 아직까지 크게 성장했다고 말 할 수는 없지만 확실히 이전과는 달라졌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마치 자욱한 안개가 낀 것처럼 불분명했던 삶의 목표가 지금은 명확하게 정립이 되었고, 그 목표를 향해 달려나가는 일상을 꾸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One Thing : “알았다면 행하라.”
배운 바를 꾸준히 행하는 것. 그것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BM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의 저자이신 너나위님을 비롯해서 월부의 튜터님들, 수많은 선배/동료 분들께서 일상의 행동과 습관들이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보여주고 계시기에, 저 또한 더 하루 하루의 루틴을 지키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하루의 노력들이 나에게 목표로 향하는 계단을 만들어 주리라 굳게 믿고 있구요.
독서와 강의, 임장(+언젠가는 투자까지)을 통해 배운 바는 반드시 한 가지라도 실행에 옮기는 습관을 들이고 싶습니다.
적용할 점들
입지 분석 시 일자리 전반 / 세부 정보를 분석해서 타 지역과 비교 평가하자
*일자리 전반 : 국세통계홈페이지 - 시/군/구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지 자료 or 주소지 자료
→ 해당 지역에서 '일하는' 근로자 수와 급여수준(원천징수지)와 해당 지역에서 '거주하는' 근로자 수와 급여수준을 확인하고 싶을 때
*일자리 세부 : 국가통계포털-국내통계-기관별통계- 지방자치단체
→ 지역별 어떤 산업에 해당하는 기업이 얼마나 있는지, 산업분류별 근로자 수는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시간이 흘러도 가치와 가격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생산 자산은 감가상각 외에는 기대할 것이 없는 소비 자산과 정확한 대척점에 있다” (80p)
“투자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그 투자로 얻는 수익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는 수준인가 하는 것이다.” (93p)
“사람들은 통상 본인이 원하는 것만 주장한다. 그러나 협상의 기본은 주는 것에 있다. 내가 상대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느냐에 따라 원하는 것을 얻느냐 얻지 못하느냐가 결정된다” (136p)
“아는 지역을 늘려두면, 저평가된 투자처를 발굴할 때 뿐만 아니라 실제 협상에서도 강력한 무기를 손에 쥘 수 있다.” (157p)
“잃지 않는 부동산 투자를 하고 싶다면, 다음 세 가지를 갖춰야 한다. 첫째는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 둘째는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셋째는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이다.” (161p)
“이미 저평가된 물건이란 확신이 들어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놓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175p)
“부동산 투자는 결국 발로 하는 것” (215p)
“구 단위로 미분양과 입주 물량을 확인해서 공급 물량이 많다 적다를 따지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 시장의 흐름은 권역별로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277p)
“중요한 건 똑같이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라면 그 동네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물건부터 우선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같은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최고의 물건을 사는 게 핵심이다.” (299p)
“가격 협상에서 매수자의 협상력보다 중요한 것은, 매수 시점의 시장 분위기다.” (312p)
“단기 에너지인 ‘의지력’을 장기 에너지인 ‘꾸준함’으로 바꾸려면, 개인의 의지뿐 아니라 타인의 힘도 정말 중요하다.” (341p)
“좋은 투자자가 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반드시 투자에 필요한 절대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351p)
① 투자금이 적게드는 투자를 여러번 하는 것이 옳을지 vs 투자금이 많이 들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은 단지를 투자하는 것이 맞을지 (258~259p)
→ 과거와 현재 상황이 많이 달라졌기는 했지만, 책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투자를 여러번 해봐야 실력이 성장한다’는 부분은 지금도 동일할 것 같습니다. 수익금이 더 클 가능성이 높지만 리스크가 큰 투자 vs 투자금이 적게드는 지방 투자를 1-2회 하면서 경험을 쌓은 뒤 큰 금액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지 논의해보고 싶습니다.
② 소비자산을 줄이고 생산자산을 늘리기 위해 어떤 행동들을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187p)
→ 투자를 위해서는 종잣돈 마련이 필수인데, 그 종잣돈 마련을 위해서 어떤 노력들을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너나위 #월급쟁이부자로은퇴하라 #월부은
댓글
해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