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사면 집값 말고도 나가는 부대비용이 있는데요, 특히 집을 살 때는 취득세가 나가요.
취득세 계산에 필요한 계산기, 계산 방법, 예시까지 소개드릴게요.
게다가 취득세 납부할 때 필요한 무이자할부 카드까지 모두 모았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목차
부동산 취득세란? 주택 취득세 알아보기
2025 최신 아파트 취득세율 요약 정리
아파트 취등록세 계산해보기
주택 취득세 카드납부 방법(무이자 할부)
취득세 많이 묻는 질문 Top3 (Q&A)
집 한 번 사면 집 사는데만 돈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중개 수수료, 법무사비 뿐만 아니라 세금까지!
내야 할 부대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꼭 미리 준비해두어야 하는데요.
많은 세금 중, 집을 사면(취득하면) 꼭 내야 하는 세금을 바로 ‘취득세’라고 합니다.
오늘 글에서는 바로 집을 사면
취득세를 얼마나, 어떻게, 카드 납부도 무이자할부로 가능한지까지! 전부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란 부동산, 토지, 건축물, 차량, 기계장비, 항공기, 선박, 콘도미니엄 회원권, 골프회원권, 요트회원권 등등을 취득한 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이에요. 대부분 우리가 살기 위해(living) 구입하는 주택, 아파트는 ‘부동산’에 해당하므로 취득세를 내야 합니다.
(출처 : 취득세란? 취득의 개념 생활법령정보)
취득세 계산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과세표준 x 취득세 표준세율]이에요.
이렇게 나오면 과세표준? 표준세율?
용어가 어려워서 응? 무슨 소리지? 싶을 수도 있어서 에디터가 풀어볼게요.
그럼 한 번 아래에서 취득세율표를 볼까요?
취득세율은 우선 부동산 취득세율부터 보면 아래와 같아요.
부동산 취득세율표에는 상속의 경우나 농지, 공유물 등의 세율도 모두 포함돼 있어요.
(출처 : 서울시이택스 부동산 취득시 취득세)
구 분 | 세 율 | |||
---|---|---|---|---|
부동산 | 주택 유상 거래 | 조정지역 1주택, 비조정지역 2주택 | 1~3% | |
조정지역 2주택, 비조정지역 3주택 | 8% | |||
조정지역 3주택 이상, 법인 취득 또는 비조정지역 4주택 이상 | 12% | |||
상속 | 농지 | 2.3% | ||
농지 외 | 2.8% | |||
상속 외 무상취득 | 일반납세자 | 3.5% | ||
비영리사업자 취득 | 2.8% | |||
원시취득 | 2.8% | |||
공유물의 분할 등의 취득 | 2.3% | |||
합유·총유물의 분할 취득 | 2.3% | |||
그 밖의 원인으로 인한 취득 | 농지 | 3.0% | ||
농지 외 | 4.0% |
반면 주택 취득세율은 주택의 세율만 포함돼 있습니다.
그래서 아파트, 주택 취득하신 분은 아래 세율표를 보시면 되는데요.
내가 1주택자냐, 2주택자냐에 따라 취득세율이 달라지고
또 조정대상지역이냐 아니냐에 따라서도 취득세율이 달라진다는 점 확인해주세요!
(2025년 현재 조정대상지역 :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
주택 구분 | 취득가액 | 취득세율 |
---|---|---|
1주택자 | 6억 이하 | 1% |
6억 초과 ~ 9억 이하 | (취득가액 × 2/3억원 - 3) × 1/100 | |
9억 초과 | 3% | |
2주택자 | 조정대상지역 | 8% |
조정대상지역 외 6억 이하 | 1% | |
조정대상지역 외 6억 초과 ~ 9억 이하 | (취득가액 × 2/3억원 - 3) × 1/100 | |
조정대상지역 외 9억 초과 | 3% | |
3주택자 | 조정대상지역 | 12% |
조정대상지역 외 | 8% | |
4주택 이상 | 조정대상지역 | 12% |
조정대상지역 외 | 12% |
아파트 취등록세와 주택 취득세율을 좀 더 쉽게 이해해보기 위해 예를 들어,
1주택자고 5억 짜리 아파트를 비조정지역에서 매수한다고 할게요.
(예시로 나온 아파트는 모두 전용 85m2 면적이라고 볼게요!)
그럼 취득가액 6억이하니까 취득세율은 1%예요.
그리고 만약 이 집이 생애최초 첫집이라면? 취득세를 감면 받을 수도 있어요.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생애최초 첫 주택 취득세 감면 조건, 혜택 신청 방법 후기, 서류까지!)
또다른 예로, 2주택자고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7억짜리 아파트를 산다고 볼게요.
아까 예시에서는 1%였는데, 갑자기 8%가 됐죠?
조정대상지역인데다가 2주택자였기 때문에
“중과세율”이란 게 붙어서 취득세가 올라간 것이에요.
(*중과세율 : 집을 여러 채 사면 세금을 더 매기는 것)
이런 계산은 간단하게 부동산 계산기나 네이버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참고로 계산기를 보면 지방교육세와 농어촌특별세가 취득세 외에 또 붙은 것을 볼 수 있죠?
아파트 취등록세에는 이 두 개의 부가세금이 꼭 붙기 때문에
이 부과세금에 대해서도 고려를 해줘야 한답니다.
자세한 사항은 부동산 세금 종류 언제 뭐 내지? 살 때 보유할 때 팔 때(매매, 매도) 세금 1분 정리에
완벽정리 돼 있어요!
주택 취득세 납부방법은 세 가지 예요.
꼭 유의할 점은 취득세는 지방세이기 때문에
세무서에 가서 낸다거나 하시면 안되고 꼭 구청이나 시청으로 가서 납부하셔야 해요.
그리고 기한 내 내지 않으면 가산세가 붙으니 주의하세요!
부동산 취득세 카드납부 방법은 간단합니다.
법무사를 통한다면 “카드로 납부할 예정이에요.”라고 말하기만 하면 돼요.
그럼 전자납부번호나 위택스 납부내역 확인만 하면 되거든요.
아파트 취등록세를 납부하기 위해
이택스에서 공개한 무이자할부 되는 카드는 아래와 같아요.
인데요, 이 중 신한, 현대, 비씨, 하나, 국민카드는
무이자할부 행사기한이 25년 9월 30일까지로
농협카드 한 가지만! 올해 12월 31일까지 무이자 할부가 가능합니다!
카드사 | 행사기간 | 행사대상 | 제외 카드 |
---|---|---|---|
신한카드 | 2025.09.01 ~ 2025.09.30 | 신한카드 개인 신용카드 | 신한BC 제외, 법인카드 제외 |
현대카드 | 2025.09.01 ~ 2025.09.30 | 현대카드 (신용) | 법인, 체크, 하이브리드, 선불, Gift카드 제외 |
비씨카드 | 2025.07.01 ~ 2025.09.30 | BC카드 개인 신용카드 | 개인사업자, 법인, 체크, 기프트카드 제외 |
하나카드 | 2025.09.01 ~ 2025.09.30 | 하나 개인 신용카드 | 하나LBC, 토스카드 제외 |
국민카드 | 2025.09.01 ~ 2025.09.30 | KB국민카드 개인 신용카드 | 체크, 기업, 비씨, 선불카드, KB국민카드 대행업무(PA)카드 제외 |
농협카드 | 2025.01.01 ~ 2025.12.31 | NH농협카드 개인 신용카드 | 개인사업자, 기업카드, 기프트카드 제외 |
그리고 각 카드마다 제외카드가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출처 : 이택스 공지사항 지방세 납부 무이자 할부 안내)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한 날(잔금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납부가 원칙이에요. 만약 하지 않으면,
이렇게 가산세가 붙어서 원래 세금보다 훨씬 더 내야 합니다! 실제로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백만원까지 더 내야 할 수 있으니, 혹 떼려다 혹 붙이게 되는 셈이죠. 그러니 꼭 잊지 말고 신고와 납부하세요.
보통은 분양권이 아직 집 자체를 완전히 소유권을 가진 시점은 아니어서 분양권 계약을 했다고 바로 취득세를 내지는 않아요. 취득세 납부 시점은 소유권이 완전히 이전된, 소유권이전등기 시점입니다. (잔금 치르고!)
하지만 입주권과 분양권 전매나나 증여, 상속의 경우는 취득세 부과가 다르니 꼭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
생애최초로 첫 주택을 구입하는 무주택 세대주라면 조건에 따라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 주택 취득가액에 따라 감면 금액이 달라진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생애최초 첫 주택 취득세 감면 조건, 혜택 신청 방법 후기, 서류까지!)
오늘은 집 살 때 반드시 내야 하는 취득세 계산과
납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무이자할부 카드까지! 꼼꼼하게 알아봤는데요.
이제 막 매매를 앞두고 세금으로 머리가 복잡하신 분들께 오늘 이 글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혹여나 실전에서 세금 납부를 진행하려니 너무 어려우신 분,
세금 외에 부동산 실전이 막히신 분,
내 상황과 경우에 따라 투자도 내집마련도 마냥 어렵기만 하신 분… 너무 많으실텐데요!
잠깐!
지금 월부 커뮤니티에서는
세무사, 부동산 실전투자자, 변호사 분들의 전문적인 정보와 의견까지
모두 무료로 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부동산 세금, 전문가의 다이렉트 답변을 모았습니다.
(사진 출처 : AI 활용 생성이미지(Chat GPT), 위택스, 이택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