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의 전략 수업
폴 포돌스키 지음
277.하지만 인간이 가진 가장 희소한 자원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 돈을 벌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결국 우리는 늘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나 될까?’
“돈 걱정하지 마라” 이는 분명 잘못된 조언이다. 돈을 걱정하되, 현명하게 걱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금융지식을 늘리는데 굉장히 도움이 될 것 같은 책이다.
다양한 투자방법을 알려주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법을 알려준다.
제목 그대로 돈에 휘둘리지 않고 살아남는 15가지 시스템이 담겨져있었다.
읽으며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어 속도가 더뎌지기도 했지만,
완독 후 나 스스로 금융지식 +1 된 것 같아 뿌듯해졌던 책이었다.
보면서 깨달음을 줬던 문장, 나에게 적용하고 싶던 문장들과 내 생각을 남긴다.
.
.
.
90.사람은 결코 모든 위험을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확률을 유리하게 만들 수는 있다.
>>전체적인 경제의 흐름도 계절처럼 일정 사이클이 있다. 물론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영역이지만
일정 수준 대비해야한다. 부동산도 똑같다. 세상에 100%는 없다. 확률을 높이고, 리스크에 대비해야한다.
81.부란 자신이 지불하는 가격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서 시작된다.
돈을 알려면 가격을 이해해야한다. 내가 받는 돈과 지출하는 돈을 모두 파악해야한다.
>>급여를 받게된다면, 수입을 잘 나누고 지출 상황을 살펴가며 조정하며 투자금을 늘리자 .
투자는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이다. 투자를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투자 방법을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투자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마음과 몸을 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기도 한다.
꾸준히 공부하고 몰입해서 언젠간 독립적 투자자가 되고 싶다. 나이가 들어서도 투자와 금융 경제에 대해 공부하고 깨어있자. 그리고 몸과 마음을 훈련하자. 스트레스 받으며 할 일은 아니다. 건강이 더 중요해!!
277.하지만 인간이 가진 가장 희소한 자원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 돈을 벌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결국 우리는 늘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나 될까?’
“돈 걱정하지 마라” 이는 분명 잘못된 조언이다. 돈을 걱정하되, 현명하게 걱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우리에게 무한한 시간이 있는 것이 아니다. 현명하게 걱정하고 투자해야한다. 돈에 과도한 집착을 하지 말자. 돈은 수단일 뿐이다. 이 또한 확률에 대한 부분 같다. 언제까지 살지 모르니 현재의 삶도 귀하고 행복하게 지내야하고, 언제까지 살지 모르지만 나의 노후 또한 행복해야하기 때문에 , 노후를 대비하는 것 또한 너무나 중요하다.
돈은 나의 걱정을 덜어주고 선택지를 넓혀준다. 귀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서 하고 있는 이 공부가 결국엔 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다만 돈이 나의 삶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302.오래 지속되는 죄책감은 이유 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를 바른길로 이끌어주는 신호이다. 303 .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꿈을 주의 깊게 살펴라. 거기에는 분명한 지혜가 있다.
우리는 대부분 더 나은 자신이 되기 위해 애쓴다. 매일이 도전이다. 그리고 그 노력이 결국 보상을 가져다준다. 때로는 넘어질지라도, 시간이 흐르면 쌓여간다. 마치 돈이 복리로 증식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니 자신의 발목을 잡을 만한 실수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바른길로 이끌어줄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가자. (지금 그렇게 하고 있는 것 같아 어깨가 펴진다 ㅎㅎ ) 복리로 나의 가치를 올려나가고 있는 지금 발목잡을 실수를 조심하자.
308 . 나는 행복한가? 돈이 행복을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돈은 자율성을 준다. 그리고 자율성은 나를 훨씬 더 행복하게 만든다. - 나는 늘 행복의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나는 현재를 행복하게 살아가고 , 돈으로 행복한 게 아니라 자율성을 갖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이다.
308. ‘ 아 지금 내가 불안하구나’ 감정을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자. 그러면 불안에 휘둘리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하나의 감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현재의 내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줄 아는 눈이 필요하다.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매달리지 말고,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명상을 통해 이부분을 개선하고 싶은데, 쉽지는 않다. 늘 지나고 나서 아 , 그렇게 했어야했는데, 또 그 순간에 매몰되어 행동했구나, 후회하는 순간이 많다. 여유를 갖고 , 나의 감정을 들여다 보자.
적용할 점
댓글
나는내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