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수강후기

우리 나라에 들어오는 쏟아지는 돈을 주머니에 쓸어 담아야함 어떻게? 자산으로!!!!!!

25.09.15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2-1

성과=실력x열정(주당시간)

실력=재능x노력(누적시간)-1만시간의 법칙

1년에 1000시간 약50주(명절뺴고)-주당 20시간

하루2시간+주말 하루

 

만시간을 10년으로, 10년을 1년으로 1년을 일주일로 쪼개면 이런 시간이 나온다.

쪼개니 길이 보인다. 실천해보자.

 

사람들은 대부분 comfortzone에 있음-통제가능, 편안함, 낮은 위험, 안정감

하지만 나는 자산 등 빠르게 성장하고 싶은 사람 그럼 growth zone으로 가야함

 

나는 성장하고 싶은 사람이다. 

과정 속에서 괴로움과 힘듦은 당연하다.

보통이 아닌 결과를 위해서 보통이 아닌 과정과zone에 머물자.

 

우리 나라에 들어오는 쏟아지는 돈을 주머니에 쓸어 담아야함 어떻게? 자산으로!!!!!!

물가가 오르면 전세가 오름. 전세가 오르면 매매가 오름.

 

예대마진 은행이 대출을 안해주면 은행이 망함 망하면 나라가 망함-서브프라임모기지

따라서 대출 규제를 계속할 수 없음! 영원할 수 없음

 

현재 서울 수요량4.8만 but입주량2.8만

이것이 전세가를 올리는 요인

지방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요인1. 인구수2.입주(공급) 물량3. 신축 아파트 미분양이 많이 사라졌을 때 

입주물량 적을 때가 바닥찍고 올라가는 터닝 포인트​

부동산지인 어플 참고-입주 대비 수요가 적정한지 잘 나와 있음(PC편함)

호갱노노 어플 편함

 

-실거주면 입주가 터지면 매수 기회

반면 임대를 뺴야하면 현재 9월, 12월 잔금이면 12월 앞3개월 뒷3개월 입주 물량 확인해야함

입주 물량이 있으면 전세빼기 어렵겠군

전세끼고 살때도 만기 때 입주물량이 어떤지 보는 것도 중요

투자하려는 지역의 입주 물량이 몇천세대 이상이다

근데 2년 뒤를 봤는데 입주물량이 많다(9월)

그럼 계약을 24개월이 아니라 30개월로하는 방법,,ㄷㄷ

 

2-2

<부동산 투자의 원칙 잡기>

1. 저평가(가치>가격)같은 가격인데 더 가치있는 물건을 사는 것,비교,

가치 분석을 할 수 있어야함->임장을 가야함->임장보고서를 작성해야함 

2. 환금성-아파

3. 수익률-72/수익률=원금이 2배가 되는 시간 ex)20%면 3.몇년

실력=10년 동안 평균 수익률

<수익률 높이는 법>

1)수요가 많고, 공급은 없는 곳(서울)-서울, 경기, 인천하면 1500만이 넘음. 전세계적으로 드뭄 탑10

2)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ex)10억/6

3)좋은 타이밍 

바닥 발목 무릎 허리 어깨 꼭지

4)수익률, 수익크기 둘 다 중요

5)인내(투자시장, 가치 신뢰)

시장에는 신호와 소음이 있음,신호는 따라야할 원칙과 기준,일시적인 소음 무시, 본질보
 

4. 원금보존

1)매수시: 이 물건을 통해 내가 겪을 수 있는 최악의 손실은 얼마일까?전세가까지 떨어짐

2)매수시: 적정 전세가율 이상의 부동산을 매수한다. (서울60%, 강남50%, 지방80%)-아 적정전세가율 이하의 부동산 사지말라는 이야기?

3)매수시: 앞으로 전세가가 오를 수 있는 부동산을 매수한다. 원금 보존의 확률이 높으니

4)매수시: 수요가 많고, 입지 독점성이 높은 부동산을 매수한다(가치)

보유: 가치 있는 부동산을 매수했다면 가격이 하락 또는 오르지 않더라도 버틴다. 

5. RISK관리(이걸 투자했을 떄 최악의 상황이 뭐지?)

 

2-3

미래를 아는 것은 불가능의 영역

파도가 때론 우리에게 유리할 수도 있고 

우리한테 불리할 때도 있을 겁니다. 수영을 최대한 능숙하게 하는 방식을 택하는게 좋지 않겠냐는 거죠.

 

상승할 떄의 시나리오

투자 물건이 있어야함

-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

하락할 떄의 시나리오

-내가 가진 자산은 안전한가?

원금보존 가능한가?

자산이 없는 경우는 없음

 

상승장을 대비해서 저평가 물건 매수해놓기

하락장을 대비해서 원금보존을 할 수 있는 물건 가져가는것이 중요

 

규제랑 부동산 가격은 관계가 없다. 걱정 ㄴㄴ. 일시적 현상

 

1.이 물건이 싼지 알아야함. 저평가 여부

2. 물건을 사야함(1년정도봤다. 사야함)

3. 향후 가치가 올라간다는 걸 스스로 확신

4. 팔리는 물건을 사야함

알지만 행동하느냐, 이걸로 수익을 내느냐는 다른 의미

-철학이 담긴 말

진짜 부자의 의미-월급 많은 사람x, 자산이 많은 사람

진짜 부자는 사고팔지 않음, 좋은건 가져감

부자가 되고 싶다면 자산 추적

투자는 원금보존을 할 수 있다할 때 해야한다. 

 

2-4

은행직원이 은행상품을 제일 잘앎. 하지만 그것으로 투자해서 돈버는건 다른 이야기(왤까,?)

 

2019년 공급이 많아지면서 역전세남

많은 사람들이 팜.

너바나는 안오르면 당연히 안팜

너바나 투자원칙-악재에 사서 호재, 호황에 파는 것이 투자 원칙

근데 2019년 거의 다 팔음

2021년도 6억원대로 오름

무릎이하에 사는거 잘함, 싸다는 것 앎

지방5년 수도권10년 가져가야한다고 말하는 이유

무조건 저 시간 맞춰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적정 수익률이 나면 팔면 됨

수익률이 안나면 안팜

저 시기에 드는 생각

1.역전세를 맞았다.

2. 다른건 다 올랐는데 왜 이것만 안올랐지?서울, 분당, 수지, 평촌,,,,, 이것만 안오르니 잘못 투자한거라고 생각

하락장 맞았다가 오르고 있음.

전고점은 당연히 넘을것이라고 생각

두가지 고민

  1. 일단 기다려야한다.

  2. 21년도 버틴 사람이 6억까지 올랐지만 23년도에 또 역전세 맞으면서 큰 위기

싸게 사는게 중요

리스크 관리 중요

10억달성=>하락장 인내, 차분하게 가야한다.

중동가보면 이 정도 쾌적한 환경에 이정도 가격이면 쌈. 의미있다고 생각

이 시기가 지금과 너무 비슷

2015,16,17과 너무 비슷

다음 상승장의 초입기라고 생각, 잘 활용

 

누군가 주저할 때

누군가는 도전한다.

Not  완벽주의

BuT  완료주의

0 to1은 실행하는 것이 훨씬 중요

 

◆적용할 부분: 하루2시간+주말 하루, 가치 있다고 판단 시 기다리기,, 내 것만 안올라도 기다리기. 완료주의, 자산축적


댓글


몽실구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