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추천도서후기

[열중47기 1십억 달성위해 5늘부터 달리조 정예부]부의인문학_두번째_투자의 행방을 가르쳐 주는 질문_ #12독후_no58

25.09.15

[열중43기 우리서로 다독다독해주며 47권 읽조 정예부]부의 인문학_#20독서후기


책의 개요

1. 책 제목: 부의 인문학

2. 저자 및 출판사: 우서, 오픈마인드

3. 읽은 날짜: 250913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5. 느낌점

 이번 재독에서는 독서에 대한 중요성과 더불어 투자의 가림길에 한 번 생각해보고 질문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

지난 1호기가 너무 서툴렀고 나는  안다고 했지만 정작 모르는 것이 투성이였고 책을 읽고나서 드는 생각은 제대로 알지도 못 하고 투자를 했구나 였다. 성공의 길을 가는 중요한 판단은 결국 내가 얼마나 하나하나 투자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에 달려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기억하고 싶은 문구

p32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은 항상 부분적이고 왜곡되어 정확하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중략)투자와 관련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금융시장에 참가한 투자자들의 믿음은 대체로 엉터리이며 착각이라는 것이다.

-깨달은 것

 나의 관점이 항상 부분적이고 왜곡되어 본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는 알지만 실제로 내가 투자를 할게 되었을 때 정말 내가 보는 것 말고는 안 보였던 것 같다. 그리고 그것이 나를 더욱 초조하게 만들었다. 저자는 이런 믿음이 엉터리이면 착각이라고 말한다. 내가 이 투자를 통해서 돈을 벌수 있다라는 믿음 도 의심해야하고 왜곡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나의 논리를 부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의 투자를 부정하는 것 또한 어려울 것이다. 내가 이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와 더불어 하면 안 되는 이유도 같이 봄으로써 투자에 대한 믿음이 오히려 더욱 두터워질 것 같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원칙에 근거한 투자와 더불어 내가 이 투자를 하면 안되는 이유를 3자의 입장에서 봐야 할 것 같다. 훈수는 쉽지만 내가 직접 참여하는 게임은 시야가 좁아지는 것처럼.


-기억하고 싶은 문구

p45나는 이런 정신적 모형을 모두 통과한 주식에 한해서만 투자한다.(중략)멍거는 평생 독서를 통해서 정신적 모형을 추구하려고 노력했다. (중략) 그래서 독서가 중요한 것이다.

-깨달은 것

 올해는 월부의 추천도서만을 읽어나나고 있지만 내년에는 좀 더 다양하게 책을 읽어나가고 싶다. 부동산, 주식, 자기개발 뿐만 아니라 소설과 인문학 등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책을 읽음으로써 나의 정식적 모형을 넓혀가고 싶은 마음이 크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올해 모든 투자도서를 다 읽고 나서 정신적 모형을 넓힐 수 있는 독서를 시작하자.


-기억하고 싶은 문구

p53사람은 자기가 이해한 것을 함으로써 필요한 걸 구할수 있고 성공도 누릴 수 있어. 또 사람은 자기가 이해하지 못한 것을 하지 않음으로써 실수를 저지르는 걸 피하고 불행을 피할 수 있지.

p59 열심히 노력만 한다고 성공하는 게 절대 아니다. 빨리 망할 뿐이다.(중략) 투자의 성공도 자기 자신을 아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깨달은 것

 투자를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마지막 선택의 순간에 이 질문으로 인해 결정될 것 같다. 내가 진정 이 투자를 이해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 투자는 하면 안 되는 투자이다. 내 투자에 대해 내가 잘 모른다면 불행으로 이어지는 투자가 될 것 같다. 그렇다면 투자를 하지 않음으로써 손해를 보지 않는 편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도 있을 것 같다. 

‘나 자신을 알라’ 명언은 어릴 때 부터 들어왔지만 이것이 성인되고나서 인생의 성공을 이끌어주는 주요한 말임을 이책을 통해서 알게 된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투자의 마지막 YES or NO의 단계에서 비교평가와 저환수원리와 더불어 나는 이 투자를 알고 있는가에 대해 질문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 투자물건에 대한 확신은 결국 자신에 대한 이해도에 달려있는 것 같다.


댓글


정예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