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단지 생활권 공급
공급 수요 포트폴리오
대표적인 전세 셋팅 유형 3가지
1. 대체적인 매수 후 N개월 뒤 매매잔금 치르는 투자
2. 매도자가 전세입자가 되는 것 주인전세로 사는 투자
3. 이미 임차인이 살고 있는 전세낀 물것에 투자
전세 셋팅 유형과 프로세스를 안다는 것은 집을 사기 전부터 매수 후 해야 할 일들을 내가 미리 알고 대비하는 위한 것이다.
투자는 집을 산다라고만 생각하기 쉬운데 사서 전세 놓은 것까지가 투자다.
그래서 이 물건을 사면 ’어떻게 전세를 빼야 되지‘라는 과정을 그려야, 잔금기간과 전세 못맞춰을 때 비용까지 미리 계산해 볼 수 있다.
만약에 내가 진금이 어려운 경우라면, 나는 잔금 안치를 수 있는 전세 셋팅으로 가거나 투자 할지를 결정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집을 사면 ’나는 앞으로 이런 과정들이 펼쳐지고 요런 부분들을 조심해야 되겠구나‘. 그래서 대응할 수 있는 물건을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적정 전세가 설정하는 방법 : 단지 – 생활권 – 공급
단지 가격부터 비교하고 생활권을 넓히고 공급도 체크해야 된다
단지 안에서 상위평형 하위평형 보면서 적절한 가격인지 확인 한다.
생활권 안에서 가격 흐름을 같이 한 단지들 사이에서 적절한 가격인지 확인 한다.
신축 단지의 하위평형 전세가랑 같이 비교한다.
우리가 매수하고 나서 전세 세팅에 따라서 총 투자금이 달라진다.
그래서 초반에 매수할 때부터 얼마 정도 전세가가 나가는지 세밀하게 계산을 해야 한다.
임대 기간 설정하는 방법 : 공급 – 수요 – 포트폴리오
임대 기간 설정할 때 첫 번째 공급 두 번째 수요 세 번째 포트폴리오를 체크 한다.
우리가 임대기간을 공급, 수요, 등을 확인하여 설정하지 않으면 역전세로 돈을 돌려주는 리스크가 생길 수 있고, 늘어난 투자금으로 인하여 재투자 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임대 만료일 이거는 투자자 본인이 조절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영역이다.
우리가 미리 파악하여 임대 기간을 늘리거나 해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이번 강의로 전세 관련해서는 잘 대처해 나갈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양파링 튜터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튼튼하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