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의 개요 | |
책 제목 | 진정한 행복의 7가지 조건 |
저자 및 출판사 | 채정호 |
읽은 날짜 | 2025. 9.16 ~ 9.17. |
총점 (10점 만점) | 10점/10점 |
책 속의 내용 본깨적 | |
P. |
|
P9 | (본) 기적처럼 한순간에 변하는 건 아니지만 그들은 매일 조금씩 진정으로 잘 사는 삶을 향해 성장하고 있다. (깨) 모든 일은 한순간에 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면 굉장히 불행해지는 것 같다. 성공한 사람들이 어느 한 순간 깨닫고 짠 성공을 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 조금씩 성장하며 성공으로 도달했다. |
P17 | (본) 스스로 삶이 괜찮다고 여기는 상태를 행복이라고 한다. (깨) 아무리 돈이 많고 재산이 많아도 스스로의 삶이 괜찮지 않으면 그 삶이 행복하다고 하기는 힘든 것 같다. 요즘 나도 주변의 행복을 느끼기 위해서 노력을 하는 편인데 결국 이 행복은 객관적인 조건이 아닌 주관적인 요소이다. |
P23 | (본) 대부분은 존재의 소중함을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그저 눈앞에 닥친 목적, 당장 쟁취해야 할 무엇에 급급한 나머지 해야 하는 일에만 몰두한 채 살아가는 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깨) 사람은 본인이 가지고 누리고 있는 부분은 당연하게 생각하고 인지를 잘 못하는 것 같다. 그저 더 좋아지기 위해 앞만 보고 달리게 되면서 주변의 소중함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너무 앞만 보며 달리기 보다는 주변의 소중함을 인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이 필요한 것 같다. |
P24 | (본) 소유와 성취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스스로 어떤 존재가 될지, 어떤 의미를 추구할지 고민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많은 것을 가지고 이루었다 한들 행복하고 건강한 삶으로 갈 수 있을까? (깨) 대부분 행복의 조건을 어떤 물건을 가지고 성취하는데만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행복은 이런 물질적이고 소유가 아닌 내가 어떤 존재고 왜 일을 하며 거기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아는 데서 오는 것 같다 |
P25 | (본) 자기 존재를 중심에 둔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행복하고 건강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 (깨) 위와 같은 이야기인데 결국 내가 왜 존재하고 어떤 삶의 가치를 가지는지가 행복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적)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나아가기 위해서는 결국 존재의 의미를 알아야 하고 내가 하는 일에 대해서 왜 하는지, 나에게 그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야하니 나의 존재에 대한 고민을 해보자 |
P28 | (본) 긍정은 삶에서 일어난 일을 현실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그런 중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하는 것이다. (깨) 긍정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말만 긍정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기 보다는 내가 처한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 중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을 말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 불평과 불만을 가지고 있고 이는 긍정의 반대인 부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
P37 | (본) 현실은 외면한 채 막연한 희망을 품는 것과 현실적인 상황은 힘들지만 그럼에도 삶을 받아들이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건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깨) 결국 긍정적이고 멘탈이 강한 사람들은 어떤 문제가 생겼을때 외면하기 보다는 그런 문제가 생긴것을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그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행동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P40 | (본) 우리는 살면서 고통이라는 첫 번째 화살은 피할 수 없지만 고통으로 인한 괴로움이라는 두번째 화살은 피할 수 있다. (깨) 고통은 누구에게나 온다. 항상 행복한 일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고통이 왔을 때 단순히 이 고통을 괴로움으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해서 괴로움을 이겨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필요한 것 같다. |
P42 | (본) 수용은 내 삶이 완벽하고 마음에 들어서 예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지 않고 마음에도 안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스라고 하는 것이다. (깨) 사람의 모든 일은 내 뜻대로 되지 않는다. 사람은 완벽할수 없고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 그러니 뭔가 100 확신이 들어서 예스를 하기보다는 조금 부족한데 그럼에도 긍정적으로 말하며 받아들이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 |
p47 | (본) 우리는 모두 완전한 존재가 아니며 그것이 삶의 목표일 수 없다. (깨) 내가 어떤 일을 잘 못하고 실패를 했을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책을 하게 된다. 즉 고통에 따른 괴로움을 스스로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괴로움을 줄이기 위해서는 나는 완벽한 사람이 아님을 먼저 인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완벽을 추구하는건 불가능한데 완벽을 추구하다 보니 거기서 스트레스를 받고 스스로가 흠들어 하게 된다. |
P50 | (본) 어느날 갑자기 닥쳐오는 불행을 미리 피할 수도 바꿀 수도 없다. 어차피 피할 수 없다면 그것과 잘 지내는 법을 배우는 것이 현명하다. (깨) 어떤 문제나 어려움이 생길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왜 나에게만 이런 어려움이 오는지 보통 환경을 탓하며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은 이미 벌어진 일은 어쩔수 없고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행동한다. 피하기 보다는 어떻게 하면 잘 극복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게 훨씬 더 중요하다. |
P75 | (본) 긍정적인 경험을 늘리려면 일상에서 주어진 좋은 것들을 발견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깨) 주변에 작은 행복을 찾고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행복이란 대단한 것이 아니고 충분히 일상에서도 찾을 수 있는 것들인데 나는 과거에 대학을 합격하고 취업을 하는 등 큰 성과가 있는 것만 행복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
P77 | (본) 이미 가진 것들에 대한 만족감과 감사하는 마음보다는 갖지 못하고 이루지 못할 것들에 대한 결핍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 같다. (깨) 정말 공감되는데 이미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크게 감사해하지 않고 항상 내가 부족한 부분, 가지고 있지 못한 부분에 중점을 두고 생각을 하는 것 같다. 그러니 주변에 대한 감사함, 이미 가진 것들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가지자 |
P83 | (본) 작은 성취라도 기뻐하고 축하하면 뇌에서 성공호르몬이 흐르고 이는 성취감과 의욕을 높힌다. (깨) 성공을 위해서는 이런 작은 성취들을 행하고 느끼는게 필수다. 한번에 큰 성공은 할 수 없고 이러한 작은 성취들이 모여야 오래할 수 있다. 한방에 모든 게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
P86 | (본) 우리는 바다에 파도가 치는 것을 멈추게 할 수는 없지만, 파도를 잘 타면서 험한 바다를 헤쳐 앞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깨) 바다에 파도는 언제나 친다. 우리는 파도를 잘 타는 법을 배워서 앞으로 나가면 된다. 파도가 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것을 일단 받아들여야 한다. |
P91 | (본) 주변 환경과 조건의 변화에 보폭을 맞추지 않으면 우리 삶은 정체되는 것이 아니라 도태된다. 매일 조금씩 더 나아지기 위해서는 매일 조금씩이라도 다른 생각과 다른 행동을 해야한다. 이런 것들이 변화다 (깨) 성공을 위해서는 이런 작은 성취들을 행하고 느끼는게 필수다. 한번에 큰 성공은 할 수 없고 이러한 작은 성취들이 모여야 오래할 수 있다. 한방에 모든 게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
P92 | (본) 변화해야 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나은 사람이 되거나 더 잘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깨) 누군가를 이기기 위해서 변화를 하는 것은 오래가지도 못하고 큰 의미도 없다. 내 자신에 초점을 맞추고 스스로 더 의미있고 성장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누군가를 이기기 위한게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
P93 | (본) 하루아침에 달라지는 거창반 변화를 꿈꾸지 말자. 매일 조금씩 더 나아지는 것이 우리가 하려는 변화다 (깨) 하루아침에 달라질 수 없다. 그런 변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성공할 수도 없고. 성공한 사람들은 결국 매일 조금씩 더 나아지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다. |
P99 | (본) 삶 자체는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다. 내가 만일 행복하지 않다면 그것은 삶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삶을 대하는 내 마음이 부정적인 프레임에 갇힌 것이다. (깨) 삶 자체를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달려있다. 행복을 위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이 아닌 긍정적인 생각이 필요하고 그것 또한 내 자신한테 달려있음을 잊지말자. |
댓글
여유로운리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