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지역 하락장이라고 ‘~카더라’ 만 듣고 하락장이구나 라고 생각을 했지, 매/전 지수를 보고 스스로 판단을 해보지 못해서, 오늘 처음으로 지수 그래프를 보는데………………….. 여튼 매/전 지수를 보실 때 전체적으로 지역을 보는건가요? 아니면 시 - 구 로 나누어서 보는건가요? 정답은 없겠지만 대체적으로 ‘시’로 보는지 아니면 ‘구’로 보는지 궁금하면서 현재 예시로는 ‘구’입니다.
시장강도를 통해서, 상승시장인지 하락시장인지 보합시장인지 알 수 있다고 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 값이 0 이라고 하는데, ‘0’ 이상이면 평당가격이 상승이고 ‘0’이하이면 평당가격이 하락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 ‘0’의 기준을 보는 그래프 선이 매매가격이겠죠? 저기 매매/전세 그래프 선을 같이 해석을 하시나요? 아니면
그냥, 매매 선 그래프만 해석을 하시나요?
지금 저 그래프를 봤을 때, 시장침체까……지는…까지인데….그렇게 막 까지는 아닌것 같고…매수우세인것같기도한데…맞을까요?ㅠㅠㅠㅠ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설하님 안녕하세요 :) 지수그래프 보고 계시군요! 우선 지수그래프의 경우 후행지표이기에 현재 보고 있는 시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손바닥 뒤집듯 한번에 바뀌지 않기 때문에, 지금 매매, 전세 가격이 오르고 있구나~ 정도 체크 하고 있습니다~ 말씀해주신 시, 구 의 경우에도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시, 구 를 둘 다 볼 때도 있습니다. 저는 현재 그래프를 보고 판단 하기 보다 과거 시장을 보면서 현재 과거 시점 어느정도 일까? 비교해서 보고 있어요~ 예를 들어 21년 상승장인 시점에서 현재 그래프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정도 보고 있습니다. 지역의 평균값을 낸 그래프이기에 모든 단지가 급격히 오르지 않을 수 있기에, 지역의 전체 흐름만 보고 있습니다:) 설하님 파이팅 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하님~ 부동산지인 그래프가 저는 처음에 너무 어렵더라구요 ㅎㅎ 저는 시장 분위기를 볼 때, KB 매수세/매도세를 확인하는데요~ 그 데이터를 그래프로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아실>매수심리>매도세/매수세 입니다. 매도세가 높으면 매수자 우위이고, 매수세가 높으면 매도자 우위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시장 분위기는 부동산 현장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체감되기에 부동산에 전화나 방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화이팅입니다
설하님 안녕하세요. 앞서 두분이 말씀해주신대로 저도 지표를 보는 편인데요. 아쉽게도 후행지표기에 실제 시장과 지수에는 차이가 조금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동행지표 성격이 있는 아실의 매수심리(우도롱님 방법)를 조금 더 주의깊게 보고요. 현장에서 느끼는 게 제일 빠른기에 궁금한 지역은 전화를 해보거나 찾아가는 것 같습니다. 같은 지역(구)이어도 단지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기에 현장의 중요성 꼭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