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투자를 쉽게 하는게 아니라 잘 하는게 목표라면
효율이 아닌 효과를 추구하세요 - 강의 교안 중 -
안녕하세요. 열반스쿨중급반을 재수강(? 몇회째인지는 세보지 않음)중인 별바람햇살나무입니다.
임장하기도 책 읽기도 너무 좋은 계절입니다.
이번 달에는 정규강의로 열중반이 있어서이기도 했지만 열중강의를 듣고, 책을 읽으면서
후속투자를 위한 방향을 재설정하고, 우선순위에 집중하기 위해
열중반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3주차에는 쟌자니 튜터님이 ‘실전투자로 이어지는 단계별 비교평가 전략’이라는 주제로
비교평가만을 위해 장장 7시간의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그 동안 정규강의에서 비교평가를 이렇게 구체적이고, 집요하게 한 단계 더 들어가서
강의를 들어본적이 있을까 생각이 들만큼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방법론적으로는 동일하겠지만, 비교평가를 해나가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미리 예상하신 듯
길목길목마다 무엇이 중요한지를 잘 짚어주셔서 다른 강의에서 들었던 내용들을
다시 복기하는 차원에서도 아주 유용한 강의였다고 생각됩니다.
그만큼 강의교안도 촘촘하게 내용도 많아서 첨 딱 보고서는 복잡해보였지만
하나 하나 듣다보니 고개가 끄덕여져서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단지내에서 물건별 비교평가가 애매하다 생각되었는데
기준을 어디에 두고 봐야할지 잘 정리가 되어서 좋았습니다.
실전투자를 위한 단계별 비교평가 전략
사실상 이번 강의의 핵심이자 거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될 부분인데
지역 내, 지역 간, 물건 별 비교평가라는 큰 범위에서부터 좁은 범위로
투자물건을 구체화해가는 과정을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설명해주셨습니다.
지역내 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서는 ㅇㅇㅇㅇ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임장과 임보를 통해 앞마당을 선명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볼 수 있었습니다.
비교평가는 1등 맞추기 게임이 아니라 가치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투자에 확신을 더해 가는 과정으로 모두가 다 싼 시기와 싼 것 비싼 것이 섞여있는
시장에서 투자의 범위도 그에 맞춰서 봐야한다는 점도 잘 인지했습니다.
지역 간 비교평가는 소위 ‘가르마 타기’를 해야하는데 oo을 고정해서 가치를 비교평가해야함을
말씀해주셨는데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비교평가는 1등 뽑기 게임이 아니라 투자의 장단점을 알고, 우선순위를 매긴 후
내게 맞는 집을 선택하는것이라는 점을 강조해주셨는데,
수도권에서는 중장기적으로 가치있는 단지라면 가격은 가치에 수렴하게 된다는
간명한 논리에 따라 의사결정을 미루지말고, 할 수 있을때 반드시 해야겠다는
다짐을 한 번 더 해 볼 수 있었습니다.
물건 별 비교평가는 개인적으로 가장 애매하다고 생각해온 부분인데, 실제 비용이
얼마나 드느냐에 따라 고민해봐야 하며, 동층향 선호도, 수리상태, 점유자 조건같은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요즘같은 규제상황에서 인테리어에 대한 벽이 크게 다가와서 쉬운 물건위주로
매임을 해왔는데 그래서는 안되겠다라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비교평가를 적용한 실전 투자사례
튜터님의 실제 투자사례를 엿볼 수 있었는데, 앞마당 3개인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범위를 좁혀가는 과정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비교평가 기법도 그렇게 촘촘하지 않았을텐데도 지역의 선호도를 고려해서
더 좋은 물건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매물을 진짜 많이 보셨겠구나하는 생각을 하게했습니다.
결국 정답은 현장에서 찾아야 하고, 많은 물건들을 보다보면 내 상황에 적합한 물건을
고를 확률이 더 높아질 수 있겠다는 점을 새겼습니다.
실전투자자의 독서후기 작성법
독서후기를 써는데 무슨 비법이 있으랴싶지만, 강의 교안을 보면서 중요한 것은
적용할 점을 찾아서 정리해보는 것,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보았고, 같은 책이라도 회독을 반복할 수록 보이는 것,
느끼는 점이 달라지므로 독서를 더 가까이 루틴화해야겠다는 다짐으로 마무리해보았습니다.
BM
지역 내 비교평가는 핵심가치를 위주로, 지역 간 비교평가는 가격을 고정해서 보기, 물건 별
비교평가는 투입되는 비용을 기준으로 보되, 내 상황에 맞는 물건이 무엇일지 한번 더 깊숙이
들여다 보는 연습 하기
댓글
별바람햇살나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