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열중47기 8지 않을 좋을 자산만 사조 패션] 3주차 강의후기 - 잔쟈니

25.09.22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안녕하세요

패션입니다.

 

우선순위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마법의 강의.

 

1강의를 통채로 비교평가만 투까 패는 강의.

 

열중반의 비교평가 강의 입니다.

 

비교평가를 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한정된 돈으로 최고의 효과, 최선의 투자를 하고 싶기 때문이죠.

절대적이든 상대적이든 저평가는 당연하고, 

그 저평가된 투자대상들 속에서도 비교평가를 통해 더욱 뾰족하게 투자대상을 만들어가는 것이

 

바로 비교평가.

 

몇번이나 들었던 문장, 애가 재보다 더 좋은데 가격은 싸네?

 

말은 쉬운데 숨어있는 가치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것이 참 어려운 과제 였습니다.

 

특히나 임장중인 지역내에 비교평가면 전임이나 비슷한 입지요소속에서 우열을 가릴 수 있는데,

 

저 멀리 서울4급지와 수도권, 광역시 끼리 비교하게되면 참 헤메게되죠.

 

이럴때 필요한 것이 비교지역에 맞는 입지요소별 우선순위 였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헤깔리는 부분은 24년과는 또 달라진 우선순위 때문입니다.

24년에는 아마도 강동구 고덕의 가격상승을 보며, 위치보다는 환경요소에 대한 영향력을 높게 보고 강남접근성,환경,학군으로 보았는데,

25년이된 지금은 환경보다는 다시 강남까지의 절대적 거리인 위치가 부각되며, 교통,위치>>직장,학군,환경 으로

우선순위가 변화된점이 혼동스럽다.

 

이 또한 원칙이 아닌 기준인 것인지. 우선순위인 요소와 기타요소로 크내 나뉘는거지, 기타요소 내에서는 우열이 없는 건지.

 

아직 시장 안에서 내 돈을 잃어가며 고뇌하고 터득한 우선요소에 대한 이해와 인사이트가 부족한 듯 싶다.

일단 올해는 위치… 를 우선순위로 보는 걸로.

 

 

지역간 비교평가도 조금은 쉬운 접근법, 가치고정 비교법이었다.

 

비교평가에는 여러 방법 이 있겠다. 

배운 비교평가 방법으로는.

 1. 가격을 통일하고 가치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고,

 2. 가치가 비슷한 단지의 가격을 비교하는 방법,

 3. 입지 가치를 먼저 비교한 뒤 단지 선호도를 비교하는 하이브리드 방법 도 있었다.

 

역시 초보인 나에게는 가격 고정이 비교대상을 특정하기 가장 쉽고, 정확하지는 않아도 손쉬은 방법인듯하다.

 

 


댓글


디그로그
25. 09. 23. 13:10

아하 강동구 고덕은 위치가 먼데 왜 먼저 올랐는가~~~!! 곰곰히 생각해볼 대목이네요. 저도 한번 질문드려보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