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요맘때] 너바나님 추천 도서 '자본주의' 독서 후기

25.09.23

 

  • 도서제목

 

자본주의/ EBS <자본주의> 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 가장 인상깊은 구절은 무엇인가요?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니라 ‘돈을 창조하는 사회’라고 해야 보다 정확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가장 핵심에 바로 ‘은행’이라는 존재가 있다.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21p)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비밀은 바로 ‘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물가가 오르게 된다. > 돈의 양은 계속해서 많아질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의 모습을 깨닫고 거기에 맞게 적절한 준비를 해야겠다.

 

(29p) 예금액 대부분은 은행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 대출되었죠. 은행에 두는 지급준비율은 통상 10% 정도입니다, (31p) 돈이란 우리가 서로 주고받는 그 무언가가 아닌, 은행이 창조해 낸 결과물이다. > 은행이 대출로 먹고 산다는 이야기를 얼핏 듣기는 했지만 실상에서 은행에 보유하고 있는 현금은 10%라는 사실이 신선한 충격이었다.

 

(58p)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어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반복된다. 자본주의 경제 환경에서 위기가 만들어지는 장기순환주기가 있는데 그 주기는 48~60년마다 반복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 주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반복되는 이유가 통화량이 계속 늘어나는 상황 때문이라는 것이 자본주의의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느꼈다. 또 이러한 호황이라는 것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 올렸다는게 무섭기도 했다.

 

(91p) 전문가들이 말하는 기축통화의 조건은 세 가지다. 첫째, 해당 국가의 경제 규모가 세계 경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 둘째, 국제 거래에서 거부감 없이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셋째,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그런점에서 달러를 이을 유일한 화폐는 위안화라는 것이 현 시점에서는 공통적인 의견이다. > 기축 통화로 달러 외에 위안화도 고려되는 세부적인 이유들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어서 경제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115p) 은행은 그저 기업일 뿐이다. 은행은 당신의 친구도 아니고, 조력자도 아니며, 이웃도 아니다. 그저 당신에게 금융상품을 팔고, 그것으로 수익을 올리면 되는 회사일 뿐이라는 이야기다. 이 말은 곧 당신과 은행의 이익이 상충될 때, 은행은 분명 자신의 이익을 먼저 챙길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  은행도 공공 기관이 아닌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이 사실을 잊지 말고 나에게 맞는 상품은 스스로 찾고 공부하자.

 

(168p) 이제는 가정 형편에 대해 쉬쉬하며 숨길 필요가 없다. 가계 경제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는 것이 금융 교육의 첫걸음인 것이다. 송승용희망재무설계 이사는 이를 위해서 먼저 ‘돈은 행복을 위한 수단이다’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한다. > 가정에서 올바른 금융 교육을 하는 방법과 돈은 행복을 위한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시작해야한다는 중요한 맥을 짚을 수 있었다.

 

(197p) 소비 습관은 내가 자발적으로 키운 것이 아니라 바로 마케터들에 의해 ‘길들여진’ 것이다. > 아기가 한 살 반이 되면 최소 백 개의 브랜드를 기억하고, 2개월 때부터 이미 브랜드 영향을 받아 자기 정체성을 브랜드를 통해 묘사한다는게 무서웠다. 

 

(237p) 교육의 과소비, 사교육의 과소비 역시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서 내 아이가 못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한 감정에서 오는 것이다. > 사교육뿐만 아니더라도 다른 소비에 있어서도 불안한 마음에서하는 소비들은 우리를 과소비로 이끌고 가게 된다. 따라서 계획하지 않았던 소비를 할 때 스스로의 마음을 되돌아보는 노력도 해야겠다.

 

  • 나에게 적용할 점

이 책을 읽음으로써 자본주의에 근간이 되는 자본이 어떻게 생산되고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지 실상을 바라다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러한 자본주의에 실상에 대해 외면하지 말고 어떻게 부를 쌓을 것인가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내 자산을 지키면서 불려갈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고 생각되었다.

 


댓글


요맘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