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쟈니님 강의후기입니다.
이번 지투반은 재수강이지만 확실히 들을때마다 내용이 새롭게 들리고
더구나 1강에서는 항상 현시장에 대한 진단?을 해주시기 때문에 좋았습니다.
알고 있지만 제가 하지 않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지
이 부분을 조금더 생각하면서 강의를 들었던 것 같아요.
지방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아직 지방은 여전히 싸고 일부지역에서는
공급이 정리가 되면서 전세가 오르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강의에서도 지방의 A광역시를 예시로 많이 말씀해주셨고
아직도 기회가 있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저는
‘이미 투자자들 다 들어가고 매매가 올라갔는데...
그럼 비싼거 아니야? 다른 지역 봐야겠다.’
라는 생각으로 A광역시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기회가 있다고 말씀해주셨고
기회를 떠나 A광역시를 잘 봐야지
다음 주자인 B,C광역시를 이해하고 먼저 들어갈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정말 잘 이해하고 분석해보겠습니다.
지방 주요도시 시장상황에 대해 분석을 해주셧습니다.
광역시부터 중소도시까지 ^^
대략적인 지역분석 강의를 듣는 느낌이었습니다.
한판에 정리가 되는 것 같아 좋았고 레버리지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감사합니다.
내가 가진 종잣돈으로 지방? 수도권?
솔직히 저는 이미 잔쟈니님께 개인적인 질문을 예전에 드려서
제가 가진 종잣돈과 매년 모을 수 있는 금액으로
투자방향에 대해서 대략적인 가이드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그래도 만약 제가 소액으로 투자를 할 기회가 생긴다면?
어디를 어떻게 봐야되지?
그리고 저는 원래 지방사람이라 실거주집을 매도하고 갈아타기를 할 때
‘어디로 가야되지?’
이런 생각를 하면서 수도권투자와 지방투자의 차이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특히 지금 1호기는 지방에 있기 때문에
보유기간과 이후 제 앞마당 중에서 어떻게 갈아타기를 하면되는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넓게 보세요
실제 경험했던 단지를 예시로 말씀해주시면서
‘넓게 보세요’라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려주셨습니다.
임장하셨을때의 모습이 떠오르면서 몰입이 되었어요
코칭할때마다 ‘넓게 보세요’라는 말을 자주 듣고 강의에서도 자주 말씀해주셔서 그런지
이제는
같은 매매가나 투자금으로 이게 최선인지를 먼저 파악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투자결정프로세스
시세트래킹이 정말 어렵고 잘 되지 않습니다.
근데 제가 투자를 했을때는 트래킹을 하면서 찾았던 것이라
얼마나 중요한지도 아는데 왜 잘되지 않을까요ㅠㅠ
강사님께서 실제 시세트래킹을 통해 어떻게 후보군을 추리고
투자로 이어지는 설명해주셨습니다.
하나의 표로 정리해주셨는데 시세트래킹을
습관처럼 하도록 루틴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BM
부산, 대구 앞마당 관리 잘하기(전세물량까지)
시세트래킹을 선호신축, 선호구축, 중간신축, 후순위로 나눠서 하기
단지 선호도파악할 때 비슷한 단지들의 거래량 확인해보기(꾸준히 거래 되는지, 2-3달에 한건씩 되는지)
댓글
마음비우기34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