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하락장에도 매매가 활발했던지 보려면 이걸 보면될지 질문드려요~

2시간 전

안녕하세요, 단지의 환금성을 보려면 21말 - 22초 하락장에서도 매매가 활발했냐를 봐야된다는 얘기를 들어서 

네이버 부동산과 아실에서 관심단지 두 개의 실거래 그래프를 한번 봤습니다. 

단지 두개 다 용인 수지 역세권 아파트에요~

 

근데 환금성이 좋다고 보려면 실제로 하락장 진행중에 거래가 많아야되는건지, 

아니면 하락장이 끝나고 횡보시기(?)인 22년 - 23년 사이에 거래가 많아야되는건지, 

그래프를 어떻게 봐야되는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그래프만 보면 단지B가 거래가 활발한데요. 

반대로 A를 보면 21년 꼭대기 가격일때 거래가 몇 개 있다가, 하락중일땐 거래가 드문드문 있고, 

22년 23년 사이에 거래가 다시 활발했는데요.

 

이게 저는 하락장이 끝나고 매매가 활발한걸로 해석이 되는데, 이렇게 보는게 맞나요?

맞다면, 이 단지는 하락장에서도 매매가 활발했던건 아니고, 그냥 하락이 다 끝나고 싼 가격일때 거래가 활발했던거면, 

A 단지는 환금성이 나쁘다고 해석해야되는걸까요?

아니면 세대수 대비 환금성이 좋은걸까요?

 

 

단지A - 84이상 단지 위주 600세대

 

단지B - 59 단일 평수 1200세대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허씨허씨creator badge
25. 10. 09. 01:06N

안녕하세요 기린잉님~! 저도 이 고민을 정말 많이 했어서 너무너무 공감이 되는 질문입니다 :) 환금성에 대해 세대수 대비 거래 개수를 세어본 적도 있고, 비율로 보는 것이 맞나 혼자서 머리를 끙끙 싸매기도 했습니다.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긴 한데요. 저는 2023년 1월이 전국이 하락했던 저점으로 보고 그 이후에 회복을 하는 거래를 보면서 환금성을 체크해보곤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단지는 2023년에 세대수는 많지만 거래가 진짜 1~2건 밖에 안되는 단지가 있고요. 어떤 단지는 2023년 초 가격이 확 내려가니까 거래가 찍히면서 가격을 점차 회복하는 단지들이 있었습니다. 캡쳐해주신 두 단지는 네이버로만 보면 환금성이 나빠 보이지는 않습니다. 수지구 내에서도 역세권이 아니거나 선호도가 낮다고 생각하는 단지를 눌러보시면 2023년 초부터 확연한 차이를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