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은 ㄷㅈ VS ㄷㅈ로 봐야한다
'1순위생활권 구축 VS 3순위생활권 신축' 이런식으로 비교를 많이 하지만 결론은 ㄷㅈvsㄷㅈ로 봐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생활권 선호도,ㄷㅈ 선호도가 파악 되어야 한다
아실그래프로 데이터로만 비교하는 전문가가 아닌 직관,데이터 2가지를 활용하는 투자자가 되자!
#ㄱㄱ이 전부가 아니다
프메퍼님의 투자 사례를 보고 깜짝 놀랬습니다
당연히 ㄱㄱ이 적은 지역에 투자 했을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습니다
사실 지투실 임장지 배정 받았을때도 “왜? 이 지역은 ㄱㄱ이 많은데??” 라는 생각을 했지만
찐투자자는 ㄱㄱ이 많다고 제외시키는게 아니라 ㅈㄱ을 길게 설정한다던가
오히려 ㅁㅁ가를 더욱 낮출수 있어서 기회라고 생각하는 프메퍼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적용할 것 : ㄱㄱ많은 지역을 제외시키지 않고 세부적으로 ㄱㄱ이 어디에 집 중되어있는데
몇 월에 집중되어 있는지 깊게 임보에 작성하기
#ㅅㅎㄷ 파악
1강에서도 나왔던 ㅅㅎㄷ 파악이 되어야 가치가 판단이 되고, 해당 지역내 어느정도 순위를 가지는 단지인지 파악이 된다
그다음 ㄱㄱ을 비교해서 "같은 ㄱㅊ면 오히려 더 싼 이 단지를 골라야지"라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ㄱㄱ을 네이버부동산으로 바로 알 수 있지만,ㅅㅎㄷ는 임장,임보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내가 주말에 기차를 타고 가는 이유이기도 하기때문에 임장,임보를 통해 ㅅㅎㄷ파악하는데 집중해보자
적용할 것 : 분임,단임때 생활권 ㅅㅎㄷ,단지 ㅅㅎㄷ 파악에 집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