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수도권과 기준이 다르다. 문주를 기억하라.

25.10.13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1. 지방투자 기준 3가지

   - 수요가 많은 지역 : 인구가 곧 수요다.

   - 건물 가치가 큰 단지 : 빈 땅이 많은 곳은 안된다.

   - 선호도 고려 : 이유없이 수요가 많은 단지도 있다. 그냥 그 지역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이다.

 

2.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다. 보통 직장에 자차로 30분 내로 출퇴근이 가능하여 환경을 중요시 한다.

  - 입지 : 학군, 환경, 커뮤티니

   - 상품성 : 연식, 브랜드, 가치

 

3. 지방은 업무지구 접근성(대중교통) 비중을 줄이지만 부산, 대구, 대전 같은 대도시는 대중교통도 중요하다.

 

4. 지방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흐름이 정직하게 가는 경우가 많다.

   - 공급이 적어 전세가격이 오르면 매매가격도 따라 오르는 흐름

 

5. 지방투자 우선순위

  - 학군지+신축

  - 신도시 느낌 환경+신축

  - 1등 학군지 선호하는 구축

  - 신축

  - 지역의 중간 이상 입지 선호하는 구축

  - 그 외 투자X

 

6. 강의후기 : 이번 지투기 1강은 이전에 들었던 어느 강의보다 권유디 튜터님께서 자세히 이해하기 쉽게 강의해주셨단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지방투자의 기회가 와서 그런지 몰라도 권유디 튜터님 강의 여러번 들었지만 선호도 별로 구분해서 순위를 메기며 레이어를 쌓아 생활권 우선순위를 부분이 특히 좋았습니다. 기억에 많이 남는 건 신도시 느낌이 나는 단지를 선호하고(문주!) 학군이 중요하단 걸 배웠습니다.

그리고 지방투자 우선순위를 알려주셔서 앞으로 단지 검토할 때 매뉴얼처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댓글


홍드림
25.10.14 06:37

리치프리님 강의 수강 고생하셨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