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실준71기 3번 찍어도 안 넘어가면 4번 찍는조 마머미] 임장보고서 쓰고 단지임장하면서 중요한 것

25.10.14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2주차 강의에서는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는 체계적인 방법과 단지임장의 실제 접근 방식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임장을 다니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판단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1. 임장보고서 체계

임장보고서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분석 보고서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임장보고서 작성 순서 ① 지역 개요 → ② 입지 분석 → ③ 시세 분석 → ④ 단지 분석 → ⑤ 투자 결론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며, 결국 모든 과정이 ‘무엇을 먼저 살 것인가’라는 우선순위 판단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는 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기보다

“같은 값이라면 어떤 선택이 더 나은가”라는 관점으로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지역별 입지 중요도 이해

서울, 경기, 인천, 광역시, 중소도시 등 지역별로 입지 요소의 중요도가 다르다는 부분이 특히 유익했습니다.

  • 서울·경기: 직장, 교통, 환경, 학군
  • 인천: 직장, 교통, 환경
  • 5대 광역시: 인구수, 직장, 학군
  • 중소도시: 인구수, 직장, 환경

이렇게 구체적으로 구분해주셔서,

앞으로 앞마당을 만들어갈 때 어떤 기준에 집중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3. 호재 분석과 실전 적용

호재 파트에서는 단순히 ‘있다/없다’가 아니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가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 교통 호재: 주요업무지구 접근성 등급이 개선되는지를 확인

    >>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통해 노선별 강남 접근성 변화를 체크

  • 재개발 지역의 경우, 거주환경 개선으로 인한 지역 가치 상승 가능성 고려

특히, 호재를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입지 등급 재평가의 요소로 보는 관점이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앞으로 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 이 방법을 적용해 지역과 단지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재평가해보려 합니다.

 

4. 느낀 점과 적용점

이번 강의를 통해 임장보고서가 단순한 양식이 아니라, 투자의 관점을 훈련하는 도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입지분석과 단지분석을 통해 단순히 ‘좋은 곳’을 찾는 것이 아니라, 수요를 끌어당길 수 있는 요인을 가진 단지를 우선순위로 두며 판단하려 합니다.

앞마당을 채워나가며, 실제로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는 임장보고서를 꾸준히 작성해가겠습니다.


댓글


마머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