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적소성대(積小成大)의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 나아가는 루마v 입니다.
이번 2주 차 강의에서는 ‘지방 비교평가를 통해 투자로 연결짓는 법’을 배웠습니다.
수도권, 특히 서울 아파트는 ‘땅의 가치’와 ‘상품성’ 중에서도 땅의 가치 비중이 높다고 느꼈습니다.
위치(강남과 한강과의 거리)와 교통(주요 업무지구, 특히 강남 접근성)이라는 
명확한 입지 가치 기준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교평가의 큰 방향을 잡는 데 상대적으로 수월한 편이었죠.
반면 지방의 경우는 각 지역마다 개별적인 성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가치 판단의 기준점 자체를 설정하는 것부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같은 지방이라도 도시마다 선호 요소가 다르고, 
입지보다 상품성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곳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이런 부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 방법,
그리고 그것을 실제 투자로 연결하는 과정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은 ‘지방 투자’가 막연하게만 느껴졌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선호도 있는 단지를 찾아내고, 
그 가치를 객관적으로 비교평가하는 방법을 조금씩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그 감이 잡히기 시작한 것이 이번 주차의 가장 큰 성과였습니다.

<비교 평가>
 
비교평가는 결국 사람들의 수요(지역 선호도)와 투자 우선순위를 파악해,
본질적 가치가 높은 단지에 투자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강의에서는 지방 투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세 가지 핵심 요소를 다루었습니다.
바로 신축(공급 영향과 상대적 선호도), 환경(희소성과 선호 요소), 지역 선호도(인구 유입 요인) 입니다.
이 세 요소의 교집합을 찾는 것이 지방 비교평가의 핵심 포인트였습니다.
또한 ‘땅의 가치가 중요한 지역인지’부터 파악해야 한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땅(입지)의 가치가 크게 반영되는 지역이라면, 
비교평가 시 그 비중을 더 높게 반영해야 합리적인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지역별 특징과 희소한 선호 요소가 있는지를 스스로 질문하는 습관도 강조되었습니다.
그 지역만의 핵심 선호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곧 그 지역의 진짜 가치 판단 기준이 됩니다.
‘싸게 사는 게 핵심이 아니라, 좋은 것을 적정한 가격에 사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장은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 투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했습니다.
단순히 ‘싸게 사야 한다’는 생각에 매몰되기보다는, 
가치와 가격의 균형을 보는 시각이 훨씬 중요하다는 점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또한 시세 그래프를 맹신하지 말라는 조언도 깊이 남았습니다.
예를 들어 입주 물량이 많았던 시기에는 거래 공백기가 발생해 전고점을 찍지 못한 단지들도 있기 때문에,
결국 데이터보다 현장(임장과 임보)을 통해 실제 수요와 선호도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느꼈습니다.

<투자에 적용하기>
이번 강의에서는 배운 내용을 실제 투자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임장지 앞마당 만들면서 투자 적용하기
매물임장 결과 남기기 (모의 투자)
매물은 ‘정리’에서 끝나면 안되고,
반드시 비교 평가 후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결과까지 완료해야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를 남겨서 복기하면 실력이 된다.
가설 검증 (주장 - 근거 - 결론 - 적용)
궁금증이 있다면, 과거 시장의 유사한 케이스(근거)를 찾아서 검증해보고, 현재 투자에 적용해보자.
기존 앞마당을 투자에 적용하기
앞마당 정리 요약 (가치와 가격정리)
시세트래킹을 통한 저평가 단지를 정리하고,
공급과 전세물량 확인하여 기록해보자.
투자 그룹핑 (5분위 시세표 활용)
절대가 Top 5 / 투자금 Top 5 / 절대가, 투자금 위아래 비교 / 투자 우선순위 / 기준 투자 물건과 비교
단계를 하나씩 차근차근 밟아 작성하면, 투자할 대상이 훨씬 명확해진다.
![이희우의 쫄지마! 인생] 40. 연재를 마치며... - 플래텀](https://cdn.weolbu.com/data_file/347ccdc8-fbd4-4cc0-917e-bef496795c81.jpg)
<마치며>
이번 강의를 통해 비교평가, 가설 검증, 투자 그룹핑 등 단계별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하며,
실제 투자 판단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 시간이었습니다.
단계를 하나하나 밟아가며 자료를 분석하고 검증하다 보면, 
결국 투자 대상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적정한 가격에 좀 더 가치가 좋은 단지를 선택할 수 있는 실력을 갖게 된다는 점이 가장 큰 수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