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쟌쟈니튜터님 감사합니다.
현재 부산앞마당 만들고 있는데 임장 전 수업을 다 듣고 임장을 하였다면 좀더 많은 도움이 되었을거 같아요.
알려주신 내용 시세그룹핑 해서 전임과 매임 때 적용 해 보겠습니다.
튜터님의 교재을 자주 들려다 보며 적용해 꼭 투자에 연결 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강의 마무리에 투자자로 성장하는 동안 겪는 문제들
"그래서 이젠 How to가 아니라 What to를 생각 하고 있습니다." 라고 하신 부분 생각 하며 꾸준히 해 나가겠습니다.
아래 부분은 강의교안 중 일부분 기억 하고 싶은 내용을 기재 해보았습니다.
지방의 특징
직장>학군>환경(단지 환경+생활권 환경)>공급>교통
가치를 먼저 보고 가격을 보아야 된다.
시세그룹핑
가치분석:: 지역개요 =위치, 사람
입지= 직장, 학군, 환경, 공급, 교통
[위치를 보는 이유]
도시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 지역을 분석 할 때 주안점을 파악
생활권별 특징, 선호요소 파악
직장 접근성이 거주민에게 선호 요소 인지 파악
[직장]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창원 사람들의 주요 일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소득도 좋은가?
구매력 잇는 고소득자들은 어디에 살고 싶어 할까?
[학군]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때 창원의 학군수준이 우수한가?
창원에서 학군지 역할을 하는 곳은 어디인가?
학군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가?
[환경] 분석에서 꼭 확인 해야 하는 점
상권 및 편의시설 ::주요상권은 어디인가? [구 별로 중심지 상권의 양은 충분(최대상권은 ㅇㅇ) 그러나 구매력을 요하는 고급 상권은 아님]
거주 환경 :: 쾌적한 거주환경을 갖춘 생활권이 어디인가? [신축 대단지가 모여 있는 곳]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환경요소는 무엇인가? [신축 대단지가 모여 있는곳]
[공급]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투자 지역 내, 투자 인근 공급상황과 추세는 어떤가?
언제 어디에 몇 세대가 들오오고, 그 공급이 향후 입지순위를 바꿀 정도 인가
투자했을때 리스크가 있을까?(역전세 등)
[교통] 입지 분석 하는 기준
지방 도시에서 [교통] 입지 분석하는 기준 지역을 대표하는 주요직장이 애매한 경우 지역 내 상권 중심 또는 부촌과의 접근성과의 거리를 본
지방에 투자해서 돈 벌고 싶다면 투자 범위를 제대로 설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