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쟌자니 튜터님의 소중한 2강을 완강하고 후기 남깁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창원이라는 지역을 정말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어떤 가치와 생활권별 특징, 그리고 투자범위와 전략을 세우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방을 처음 알아가는 과정에 있는 저로서는
가본적도 없고 항상 멀게만 느껴졌던 도시..
저곳에 어떤 기회가 있을까? 엄청 흥미진진하게 메모메모 하였습니다.
지방에서는 인구수가 곧 수요라는 말이 있는데요.
창원은 광역시급의 인구수요가 있는 도시이며,
마치 도너츠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남길것. 생활권별 특징을 정리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어디까지 투자할지 투자 범위를 설정한다.
사람들이 어디에 모여살고 싶어 하는지를 알면,
경제활동 인구가 어디에 모이는지를 알 수 있고,
수요가 크다는걸 알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창원의 가치는 직장, 학군, 환경, 공급, 교통의 측면에서
각 요소마다 남겨야 할 것들에 대한 질문 리스트가 인상 깊었고
임보장표에 꼭 정답이 아니더라도,
내가 임장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써보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남길것. 시세지도를 단순히 복붙하면 노동이다! 그리는 것과 읽는 것을 같이 해야 한다.
저 수많은 단지의 시세를 언제 따고 있지.. 라는 생각이 들때쯤
잠이 확 깨는 아주 좋은 인사이트였습니다.
단순히 시세가 보여주는 숫자를 지도에 올려 놓는 것이 아니라,
가격을 읽는 이유에 대해 언급해 주신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번 시세지도를 그릴 때는 연식별 그룹핑을 해보고,
어느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지 적용해 보겠습니다.
남길것. 연식과 평형별로 투자범위를 제대로 설정해야 한다.
지방에서 20평대 투자해도 되나요?
구축은 안되나요?
저 역시 수없이 생각하고 고민했었던 질문들에 대해..
명쾌하게 답변해 주신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20평대라면 수익성을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구축이라면 환금성을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해서 선택 하겠습니다.
마지막에 지방임장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신 것이 인상 깊었는데요.
항상 분위기임장 단지임장 루트를 그려놓고
루트대로 가본 적이 한번도 없는데 .. ㅠㅠ
내가 귀찮다고 생략한 그곳에서
봐야할 것을 보지 못한다면 그 가치를 제대로 알았다고 보기 어렵고
결국엔 선호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번주에 단지임장은 눈에 불을켜고! 마음에 불을 켜고!
소중한 시간 들이는것인만큼 제대로 보고 오겠다는 마음으로
다녀오겠습니다. 튜터님 소중한 강의 너무너무 감사 드립니다. 👍
댓글
안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