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 3삼오오 다같ㅇ1 가자 부산으로=33 푸른노을] 2주차 강의 후기

25.10.21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푸른노을입니다.

 

2주차 강의는 잔쟈님 튜터님께서 창원 지역 분석을 해주셨는데요.

울산에서 광역시에서의 선호요소와 특징을 보았다면,

창원에서는 중소도시에서의 선호요소와 특징을 좀더 알아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사실 창원은 실제로 제 첫 투자 동료 중 한 분이 투자를 했던 곳이라 호기심이 생겼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 창원, 마산, 진해가 합쳐진 창원의 모습은 이런 곳이구나를 알 수 있었습니다.

 

창원의 인구는 100만으로 울산과 비슷한 규모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 중소도시입니다.

현재 창원에서는 다소 많은 공급의 시기를 지나 공급이 줄어드는 시기로 가고 있는데요!

이전 강의에서 공급량에 따라 전세가, 매매가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배우면서, 창원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1. 창원의 가치

 

창원은 창원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해있는 성산구가 메인 업무지구인데요!

산과 바다로 둘러쌓인 특성 상 중소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중심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었습니다.

이런 점을 보면서 확실히 지방 도시들은 개별성이 강하다는걸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확실히 지방 도시에서는 신축 택지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최고가 단지들을 보면 성산구 용지 생활권의 신축 단지들,

의창구 유니시티의 신축 택지, 그리고 성산구 가음 생활권의 신축 단지들의 가격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지방에서 중요한 공급인데요..!

창원은 매매, 전세가가 공급에 정직하게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공급이 없으니.. 이후로 어떻게 될지는 상상에 맡겨보겠습니다 ㅎㅎ

 

2. 창원의 가격

 

선호 신축 단지들 몇몇을 제외하고는 아직 창원의 가격도 회복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지방 투자에서 가격을 읽는 법을 적용해서 현재 창원의 가격 흐름을 보면 어느 정도의 단계인지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선호 신축 / 선호 구축, 중간 신축 / 후순위 구축 의 가격 흐름에 따라

현재 시기가 어떤 상태인지, 보유해야 할 시기인지, 팔아야 할 시기인지 등을 잘 판단해서

투자 방향성을 정하는데 참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투자 범위 설정

 

마지막으로 투자 범위 설정에 관련된 부분..!

확실히 지방에서는 앞으로 안오를 단지들도 많기 때문에 어디까지 투자를 해도 되는지.

투자 범위 설정에 대한 부분도 중요한데요! 

하지만 이 부분에서도 개인의 상황에 따라 좁게 볼지, 넓게 볼지 설정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수요가 풍부한 광역시의 경우에는 조금 더 넓게 보고, 수요가 더 적은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조금 더 좁게 보면서

투자금의 차이에 따라서 투자 마지노선을 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마무리

 

이번 강의를 통해서 창원이라는 지역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투자 범위 설정에 대한 부분, 그리고 투자 전략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투자자로 성장하는 동안 많은 문제를 겪게 되지만 해결 방법과 과정은 비슷하다는 말씀과 함께,

내가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모두 같지만, 투자를 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수백가지라는 이야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해내야 하는 이유를 붙잡고 오랫동안 시장에 살아남는 투자자가 되도록 해보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잔쟈니 튜터님.

감사드립니다.

 

 


댓글


푸른 노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