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월부학교 가을학기 ㅈ1금 ㅇ1순간, 진심 담아 성장하는 우리♥ 딩동댕2] 2강 후기 - 투자는 행동이 많아지면 됩니다 (밥잘 튜터님)

25.10.31
대문사진.png

 

안녕하세요~

투자, 인생 2가지 정답을 찾아

워킹맘/대디 투자자의 등대가 되고 싶은

딩동댕2입니다~

ogq_5db7974fe12cc-13

밥잘 튜터님의 눈물 젖은...

오프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어

너무나 큰 영광이었습니다.

 

강의 후기 정리해보겠습니다.

 


 

30억이 현실이 되는 방법

 

 

평범한 월급쟁이로 살았을 때

30억? 은 그저 로또가 되지 않는 이상

절대 불가능한 수치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게 당연히 가능할 것이란

강한 확신이 듭니다.

 

밥잘 튜터님께서

30억 자산을 가기 위한 로드맵을

자세하고 현실적으로 말씀해주셨습니다.

 

여러분 이상은 다주택자인데,

행동과 감정은 1주택자에요

 

최근 규제가 터지고 나서

좌절하고 포기하는 사람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배 투자자들이 걸어온 길 역시

규제, 세금, 회사, 가족 등등

100% 똑같은 어려움이 공존했을 겁니다.

 

원래 그 길은 어려운 길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려운 것은 당연합니다.

 

그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끊임 없이 고민하며

좌절이 아닌 해결책을 찾는 마인드가

30억으로 가는 부자 마인드임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순자산 -> 현금흐름

1~2채 -> 다주택 자산

순자산 30억 -> 매년 전세 1억

 

최종적으로 전세금 20억을

5% 올려 매년 1억의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목표!

 

부자가 되는 길은

다주택의 길음을

다시한번 머릿속에 새기고

타협하지 않고

기준에 맞는 투자를

꾸준히 반복해보겠습니다.

 

 

현장 투자자

 

 

이번 강의에서 너무 좋았던 부분은

밥잘 튜터님께서

투자할 당시 느꼈었던

현장에서의 느낌을

생생하게 전해주신 부분과

그 경험을 통해 배웠던

현장에서 깨달아야할 시그널들을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1. 겨울 -> 봄 시그널

1) 대규모 공급 마무리

2) 대장의 가격 반등

3) 전세 매물 갯수 (사라지는 전세)

 

2. 이 단지를 왜 사는가? (수요)

생활권, 단지 하나하나

-> 같은 돈으로 더 좋은 것을 사기 위해

 

3. 전고 뿐만 아니라 과거 흐름까지

매매/전세 흐름으로

공급, 수요 등 가치, 상황 판단하기

 

4. 가치판단 > 우선순위 (장기/투자금회수) > 보유기간

단순히 수익,리스크 측면이 아닌

상황 별 우선순위 및 보유/매도 전략까지

자산 측면에서 고민하기

 

 

가장 적용해야할 부분은

단지 간 비교할 때,

단순히 가치와 가격으로만

즉, 저평가로만 비교할 것이 아니라

과거에 더너 가격 흐름이 있었고

어떤 가치를 갖고 있는지

그래서 자산을 취득했을 때

어떤 편익과 비용을 치를 수 있는지

다주택자의 포트폴리오를 고려하여

매수 결정을 해야함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매도 의사결정

 

 

튜터님께서 매도의 원칙에 대해

여러 케이스들을 말씀해주시면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으로 대응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셨습니다.

 

무엇보다 상승장도 모르듯

하락장도 모르기 떄문에

언제나 대응할 줄 아는 실력을

갖춰야한다는 부분이 기억에 남습니다.

 

매도를 하더라도

항상 다음의 자산을 고려해

확실한 기준으로 매도하는 것

가능한 더 좋은 자산을

지키는 방향으로 매수하는 것

기억해보겠습니다.

 

 

급매는 중요하지 않다

 

 

급매는 엄청 중요하지 않아요.

급매보다 중요한 건 순서대로 사는 것이에요

 

 

우리가 사야할 물건은 급매가 아니라

나에게 유리한 물건을 사야함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었습니다.

 

결론을 내릴 때도

보통 내 상황을 간과할 때가 많은데,

내 상황이 없다면

TOP3 물건은 반쪽짜리 물건입니다.

 

여러 동료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은

같은 물건이더라도

사람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입니다.

 

1)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것

2) 덜 오른 것

3) 내게 유리한 투자

 

그럼에도 대전제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덜 오른 것을 먼저 고려하고

그 다음에 나에게 유리한 투자를 하는 것.

이 순서를 꼭 지켜서

기준에 맞는 투자를 하겠습니다.

 

투자는 행동이 많아지면 쉽다

행동을 많이 해야 나에게 맞는 투자를 할 수 있다

 

어느 순간 행동보다

분석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오만한 적도 있었습니다.

 

투자자는 결국

현장에서 그 수요를 파악하고

물건의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래야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행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좋은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댓글


딩동댕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