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밥잘사주는 부자마눌입니다.
투자를 시작하려는 분들 중엔 “나는 왜 자꾸 타이밍이 어긋날까?”, “왜 남들은 수익을 내는데 나는 제자리일까?” 하는 분들을 종종 만나게 됩니다. 사실 그런 문제를 들여다보면 그 이유는 돈보다 '행동과 마음의 습관'에 귀결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부동산 해도 결국 결과가 안나오면 어쩌지?" 걱정하고 계시다면 이 글에서 도움을 받으실 겁니다.
1. 완벽 추구형
이런 분들은 모든 정보가 완벽히 정리돼야 움직이려 하고 완벽한 확신을 얻어야만 도전합니다. 그리고 한번에 최고의.결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을 갖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기회를 “확신이 들 때까지” 미루고 → 미루고 미루다 보니 시간이 지나고 → 그러다 보니 시장은 계속 변화하면서 더더욱 실행을 해보지 못합니다. 결국 고민하고 공부하다가 시간이 지나갑니다
사실 투자는 ‘확신’이 아니라 ‘준비된 불안’ 으로 하는 것입니다 그 불확실성이 변동성을 가져오며 변동성이 돈을 불려주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철저히 준비하되 확신을 부여 받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변동성에 대비하며 준비하는게 필요합니다
2.타이밍 추구형
이런 경우 감정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 지금 사면 오를까 “ 떨어지면 어떻게 하지' ‘더오르면 어떻게 하지?' 이시점이 투자하기 좋은 최고의 타이밍인지 고민하고 타이밍을 재는 형입니다. 이런 경우 실질적으로 ‘공포와 탐욕에 휘둘리는 유형' 으로 뉴스에 흔들리고, 주위 말에 쉽게 반응하게됩니다. 남들이 사면 사고, 빠지면 던지게 되니 투자를 해도 돈을 벌지 못합니다. 왜냐면 시장은 예측이 아니라 기준에 의한 판단을 하고 결정하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3. 단기 성과 집착형
3개월 안에 결과 안 나오면 불안에 빠지는 유형인데요 투자를 해서 ‘빨리 돈 벌고 싶은 마음' 이 앞서 기다리지 못하고, 단기 성과에 실패. 성공을 평가하려고 합니다. 부동산 투자가 돈이 되기 위해서는 ‘가치를 찾아가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몇개월만의 등락으로 투자를 평가하고 한방으로 큰 돈을 벌려고 한다면 부동산 투자로 돈을 벌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 단기 실패를 ‘손해’로 여기며 실패를 통해서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반복하는 실수를 합니다
제가 경험한 투자는 단순히 “자본의 유무” 아니라 태도, 사고방식, 감정 조절 능력의 문제에 귀결 됩니다. 투자처나, 투자타이밍, 자본의 크고 작음 보다는 투자자자신이 투자의 가장 중요한 재료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 복기하고, 실천하고, 긴 시선으로 부동산을 바라볼 준비가 되어있으신가요?
아직 그 준비가 되지 않았더라도 이렇게 한번 해보세요
① 마음 정비 – 두려움 대신 배움으로
투자는 변동성을 동반합니다.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투자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입니다. 싸게 사도 떨어질수 있고 생각지 못한 일이 생길 수도 있지만. 두려움으로 떨기 보다는 공부하면서 깊숙이 들여다 보고 실행해보세요
집을 매수하고 계약하고 보유하고, 때로는 임대를 놓는 그런과정들을 한번씩 다 경험해보면 내가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라는 것을 알게될 것입니다. 물이 너무 깊을까봐 들어가지 않는 것 보다 깊숙이 물을 감지하며 발을 넣어보는것이 도움이됩니다. 알게되면 두려움은 줄어듭니다.‘몰라서 무서운 것’과 ‘위험해서 피하는 것’은 다릅니다.공부는 불안을 통제하는 유일한 도구입니다.
② 기준 세우기 – 내 원칙으로 움직이기
남의 말, 뉴스, 유행이 아니라 ‘나의 원칙’을 기준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그 기준은 단순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를 내가 감당가능한 돈으로 아파트를 비싸지 않은 가격에 매수하고 돈이 될때까지 기다렸다가 판다. 입니다 판단 기준이 뚜렷할수록 감정에 덜 흔들립니다.
③ 실행과 복기 – 작게라도 꾸준히
계획만 세우는 사람과 진짜 투자자의 차이는 ‘실행’입니다. 그리고 실행 후 기록하고 복기하는 습관이 쌓이면 그게 곧 경험이 되고, 경험은 확신으로 바뀝니다. 결국 투자자는 ‘행동의 총합’으로 성장합니다.
이미 좋은 아파트는 비싸지고 정책이며 대출이며 이런 상황이 힘들게 해서 포기하고 싶은가요?
잊지말아야 할 것은 부동산으로 돈을 버는 것은 남들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의 인생과 자산구조를 더 좋게 조금씩 가꾸어 나가는 일이며, 그 과정에 나 스스로를 다스리는 일입니다 정책/ 시장의 변동/ 대출/ 금리 보다 더 큰 리스크는 ‘포기하고 멈춘 자신’ 일 겁니다
오늘의 불안을 공부로 바꾸고,
실행으로 다져간다면
시간은 결국 여러분들의 편이 될 것입니다.
오늘도 월부를 찾아오신 모든 분들의 내집마련과 노후준비를 꼭 돕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