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실전 33기 3조야 임장가자 아라메르 울렸어! 성로이] 열반스쿨실전반 1강 수강후기('드라이브를 걸어야하는 시장 속에서의 저환수원리')

25.11.07

 

안녕하세요. 

'열심과 행복이 공존하는' 투자자 성로이입니다.

 

열반스쿨실전반 1주차 강의는 권유디 멘토님께서 

'실전투자자를 위한 투자기준 정립과 현재시장 대응법’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나눠주셨습니다!!

 

멘토님께서도 전세를 내놓고 짜내서 월세를 계획하고 계실만큼

‘드라이브를 걸어야하는’ 시장이라고 해주셨는데요,

멘토님께서도 저렇게 강하게 말씀하시고 적극적으로 행동하시는 것을 보아도,

제가 1호기를 찾는 모든 곳의 부사님들이 ‘오늘이 제일 싼 시장이야~’ 하시는 것을 보아도

성급하진 않지만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시장 속에 있다는걸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강생들의 다양한 고민들에 대해 ‘목표를 생각하지 않고 문제점만 생각하지말 것’에 대해 강조하셨습니다.

투자를 통한 노후준비, 조기은퇴 등 목표를 생각해야지,

상황에 따른 문제점, 서울 단지 자체만 생각하지 말아야겠다!

'상황에 동요하지 않고 해야될 것을 계속 하는 순항’을 하며 나아가야겠다! 

다시 한 번 다짐하며 강의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저는 재수강이기에

‘나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세분화된 목표를 세우고 알고 있는 걸 행동으로 옮기겠습니다!’

 


 <BM>

  • 인사이트 

    '좋은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사는 것이, 평범한 기업을 헐값에 사는 것보다 낫다.'

    - 무주택자의 규제지역 실거주(2년 후 전세주고 나오기) 방안도 적극 검토 필요

    - 상승장의 끝자락에선 하급지가 더 많이 오를 수 있다.

    - 올 가을 이사철 위험! 공급이 없어 아파트가 없는데 전세도 없기에 전세가 앞자리 바뀔 수 있다.

    - 현재 서울 수도권의 큰 수요는 갈아타기. 규제 후 수요(수요세)는 큰 차이 없다. 

    - 역사적으로 이런 우왕좌왕 시기가 기회! 이전 실거래가 정도면 괜찮은 가격!

    - 지금 25년 11월과 비슷한 2017년! 상승장 폭발 직전! 좋은거만 올랐을 때!

    - 서울,경기 특히 강남 1시간 내라면 전세가는 앞으로도 우상향 가능성. 저가치는 없음. 투자 우선순위만 있을 뿐!

    - 최고 전세가율 = 부동산 관심없는 사람도 참여하는 시기 → 이후 대세상승이 펼쳐질 가능성 높음

    - 과거의 U자 사이클은 안나옴. 과거와 달리 부동산이 투자재로서의 기능이 약화돼서

    - 부동산을 투자재로 보며, 전세가율은 시장흐름 설명의 지표X. 같은 투자금 대비 가치가 좋은 부동산을!

  • 저환수원리

    - 저평가 : 등수를 없애고 바로 차선책으로 가야해. 

    전고 이하 = 적절한 가격 = 절대적 저평가 → 같은 투자금으로 좋은 단지!(상대적 저평가) 

    무엇이 더 가치있는지 식별하는 통찰력 필요

    - 환금성 : 새로운 기준) 주변 비슷한 가치의 단지가격이 움직일 때 같이 움직일만한 단지인지?

    전저점 형성 시점을 기준으로 파악. 하락장에선 시장이 식으면 가격이 아닌, 거래 절벽 사태.

    - 수익성 : 얼마나 오를지 예측보단 투자금 범위 내 가치있는 물건을 사는 것.

    - 원금보존성 : 최악의 경우 매매가가 23년 초반(전저점)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 리스크 : 신규세입자 받기 어려우니 잔금리스크 낮은 물건 위주. 

  • 행동화

    - 월세 낀 물건의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물건도 잘 살펴보기


 

투자란, 내가 가진 자본의 효율을 생각하는 것. 내가 할 수 있는 것 중에 최선을 다하는 것!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사두었을 뿐인데, 시간이 흘러 가격이 가치를 따라왔다!

 

★권유디 멘토님★

 

 

 

저마다의 이유가 있지만, 그럼에도 해내야하는 이유를 잊지않고

꼭 투자를 통해서 실력을 쌓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11월 30일까지(수정22)


댓글


11월 30일까지 해낸다!!! 조장님 빠이팅!!!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