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시드s] 진정한 행복의 7가지 조건

25.11.08

 

 

진정한 행복의 7가지 조건 | 채정호 | 인플루엔셜 - 예스24

 

STEP 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진정한 행복의 7가지 조건

2. 저자 및 출판사: 채정호/인플루엔셜

3. 읽은 날짜: 2025.10.20 ~ 25.10.31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 2. 📌 책에서 본 것 / ➡️ 깨달은 것 / ✅적용할 것

[프롤로그]

📌 잃어버린 삶의 빛 찾기

고통 속에 있는 사람들은 어둡고 음침한 터널을 지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사실 어둠은 실체가 없다. 그냥 빛이 없는 상태일 뿐이다.

아주 작은 빛줄기만 있어도 어둠은 바로 사라진다.

➡️ 어둠은 실체가 없다. 아주 작은 빛은 어둠을 물리친다.

✅ 힘든 상황이나 환경을 밀어낼 수 있는 “빛”을 찾아내기

✅ 가족, 함께하는 동료, 멘토님 튜터님

 

📌 행복의 3가지 관점

주관적 :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즐거움, 편안함, 안락함 같은 긍정 정서가 높은 상태

→ 내가 사는 삶이 꽤 괜찮네!

심리적 : 꾸준히 성장하고 자율성을 갖고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상태

사회적 : 소속감을 느끼고 기여하며 사회의 일원으로 잘 살아가는 상태

→ 나를 둘러싼 경험, 성취한 것들, 미래에 대한 기대, 유대감 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흡족할 때

➡️ 행복은 내 사람이 참 괜찮네! 라는 느낌에서 출발한다.

 

📌 존재의 가치

잘 있으려면 먼저 있어야 한다.

존재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아이를 잃고 나서야 깨닫는다.

우리 대부분은 존재의 소중함을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존재의 삶을 사는 사람은 자기 저신이 어떤 존재인지, 어떤 존재로 살 것인지 관심을 기울인다.

소유한 것이나 성취한 것으로 자기 삶을 평가하지 않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 감사하고 만족한다.

➡️ 존재의 감사함

✅ 11살 고양이들과 함께함에 감사합니다.

 

[수용]

📌 수용의 의미

수용은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허용하는 것이다. (=받아들임)

받아들이는 것은 체념하거나 포기하는 수동적 행위가 아니다.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이해하고 경험하며 잡아내는 매우 능동적인 행위이다.

수용은 능동적 긍정. 즉 기꺼이 경험하는 것이다.

저항이 강할 수록 에너지 손실이 크다.

수용은 모든 것을 지나치게 함으로써 어떠한 마찰도 없이 그대로 통과시켜

고통으로부터 해방된 기적의 삶을 살 수 있게 한다.

➡️ 수용은 ‘기꺼이’ 경험하는 것이다.

✅ 수용하는 것은 포기나 체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를 인정하고 감내하기로 결정하는 것이다.

 

📌 진정한 수용의 3단계

정상화 : 내 모든 행동은 정상이며, 나 말고 어떤 누구라도 이럴 수 있음을 받아들이기

타당화 : 다른 사람은 몰라도 적어도 나는 이럴수 있다고 받아들이기

자기 확신 : 부족하더라도 나 자체로 소중한 존재임을 받아들이기

 

📌 긍정 경험

건강한 수용을 하려면 고통을 저항없이 잘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것을 상쇄할 긍적적인 경험을 많이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우울증 환자는 삶의 좋은 점을 발견하는 능력을 상실한 상태이다.

삶에서 좋은 것을 발견하고 경험하려면 상당한 의식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같은 일을 하면서도 서로 전혀 다른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은

단지 세상의 아름다움을 알아차리는 것 뿐이다.

 

📌 감사하기

긍정 경험을 늘리려면 일상에서 주어진 것들을 발견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주어진 것이며 선물이라는 점을 깨닫고 감사함을 표하고 싶을 때 생각이 일어난다.

감사는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에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알아차리는

의식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다른 사람의 기여를 알아차리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미 가진 것들에 대한 만족감과 감사하는 마음.

진정한 감사는 내가 가진 모든 것들이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니라

무언가 엄청나고 대단한 것들의 집결체라는 것을 깨달을 때 이루어진다.

➡️ 감사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에서 온다.

✅ 감사일기 쓰기. 길게, 자주!

 

[변화]

📌 변화의 의미

나아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변화해야한다.

매일 조금씩 더 나아지기 위해서는

매일 조금씩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해야한다.

 

📌 지속성

변화에서 우선 중요한 것은 충분한 시간과 제대로 된 방향이다.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긍정적 행동을 루틴으로 습관으로 만들면 삶도 더 나은 쪽으로 변화한다.

우리 사람에 방조제를 쌓을 때 충분히 높이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느 한쪽으로 빈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전체를 균일하게 쌓는 것도 중요하다.

방조제를 높이 쌓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시간이다.

변화는 결코 한번에 뚝딱 이룰 수 없다.

➡️ 변화에는 지속성이 필요하다.

✅ 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독강임투

 

[연결]

📌 연결의 의미

사람 간 관계를 맺는 것은 인간의 원초적인 욕구이다.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지 못할 때 인간은 고통을 느낀다.

행복은 부와 명예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데 있지 않다.

사람들 간의 좋은 관계가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 행복을 위해서는 나-나와 나-다른 사람간의 연결이 필요하다.

✅ 좋은 사람들과 함께하기. 내가 좋은 사람이 되기.

 

[강점]

📌 강점의 의미

나를 나답게하고, 세상의 변화에 맞설 내면의 힘

강점대로 산다는 것은 내가 가진 좋은 점에 집중해서 산다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활용함으로써 자기 자신만의 삶의 지도를 완성할 수 있다.

 

📌 강점의 특징

  1. 행복하고 가치있는 삶을 향한 자기 충족과 자기 실현에 기여한다.
  2. 그 자제로 도덕적 가치가 있고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3. 개인의 독특성을 반영하여 자기 이해를 높인다.
  4. 사고-감정-행동의 범위에서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5. 복합적 성격을 띈다.
  6. 합의된 본보기로 구체화 된다 (미래지향, 친절, 소통 등)
  7. 훈련을 통해 개발할 수 있다.

➡️ 강점은 개발이 가능하다.

 

[지혜]

📌 지혜의 의미

노력하고 계획한대로 삶은 이뤄지지 않는다.

우리는 필연적으로 실패와 고난, 고독, 상실, 죽음을 만난다.

이때 좌절하지 않고 일어나게 해주는 것이 지혜다.

삶의 문제들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로 풀어야한다.

즉, 어려운 문제를 푸는 능력이 아니라 대처하는 능력이다.

➡️ 지혜는 푸는 것이 아니라 대처하는 능력이다.

 

📌 지혜 기르기

지혜의 기반은 지식이다.

지식과 지혜는 다르지만,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지혜로워질 수 있다.

공자 - 면면장(免面牆, 면할 면/마주할 면/담장 장)

면장 (담장을 마주하는 답답한 상황) 을 면하려면 공부를 해야한다.

자기 경험과 지식만 믿고 그 프레임 안에서만 판단하면 어리석은 행동을 저지를 가능성이 크다.

 

[몸, 마음에서 빠져나오기]

📌 몸의 의미

모든 살아있는 것은 움직인다.

잘 산다는 것은 잘 움직인다는 것이다.

상황이나 마음이 달라지지 않더라도 몸과 마음이 하나처럼 움직인다.

억지로 몸을 움직이게하면 우울 증상이 조금씩 나아진다.

➡️ 마음이 힘들 땐, 몸을 움직이자.

✅ 누워만 있지 말고 몸을 일으키기!

 

[영성, 삶의 의미와 그 너머]

📌 영성의 의미

인생을 살다 보면 지금까지의 내 능력으로는 더이상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에 부딪힌다.

영성은 이런 순간에 필요하다.

인간이 내면에 지니는 모든 내적 자원의 총체이자 존재 그 자체 (=실재)

내가 나를 뛰어넘는 능력, 자기를 초월하는 능력이 영성이다.

 

📌 목적과 목표

목표를 이루면 행복할까? 그 행복은 1년이 못간다.

목표와 목적은 다르다.

목표는 이루면 좋은 것이지만 그것을 위해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목적은 비록 이루지 못하더라도 그것을 위해 살 수 있는 것이다.

➡️ 목표가 아닌 목적을 위해 살기.

목표 그 너머를 봐야한다.

 

STEP 3.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age 6. 사람이라면 누구나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다. 아무 문제 없이 속 편하게 사는 사람은 없다.

Page 7. 안녕하세요의 안녕은 아무탈 없이 편안함 이다.

Page16. 행복(happen : 일어나다, 발생하다) 은 우연히 일어나는 좋은 일이다.

Page16. 행복은 주관적이어서 행복한 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Page19. 웰빙은 말 그대로 잘 존재하는 것이다. 어떠한 결핍없이 잘 산다는 것이다.

Page23. 존재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아이를 잃고 나서야 깨닫는다. 우리 대부분은 존재의 소중함을 인지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Page 28. 긍정의 참 뜻은 그렇다고 인정하는 것이다.

Page 40. 고통에 저항하거나 회피하면 할수록 괴로움은 배가 된다.

Page 55. 나를 온화하게 바라봐주는 존재가 있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도 버텨낼 수 있다.

Page 74. 어떤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고 정서적 균형을 잡으려면 3배 이상의 긍정 경험을 해야한다.

Page 76. 감사하는 마음 근력이 생기면 절망 속에서도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Page 80. 괜찮아. 별일 아니야. 그럴 수 있어

Page 91. 우리가 변화한다고해서 반드시 더 나아진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러나 더 나아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변화해야 한다.

Page 160.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낼 때, 우리는 자신과 안녕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Page 241. 우리는 끊임없이 선택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그 모든 선택의 순간에 지혜가 필요하다.

Page 276. 지혜란 앞의 현실에 매몰되어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다.

Page 289. 꼰대는 나이들어 공감과 수용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Page 296. 일원론, 몸과 마음은 하나다.

Page 330. 현실을 초월하여 앞으로 나아가려면 현실 너머를 봐야한다

Page 346. 살아갈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참고 견뎌 나갈 수 있다.

Page 351. 우리는 영적인 경험을 하는 인간 존재가 아니라 인간적인 경험을 하는 영적인 존재다.

 

 

 


댓글


0카이0
25.11.08 20:35

감사합니다 시드님~~읽으려고 담아두기만 했던 책이에요

돼지엄마
25.11.08 21:40

시드님~ 독서후기까지~~ 멋져요~~!!!!!!

따봉하는 월부기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