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성취 = 몰입 = 즐거움, 이 공식이 통하는 단 한 가지 투자법

25.11.10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안)한가해보이입니다.

 

“최고의 성취는 일과 놀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것이다.”
『거인을 읽다』 중에서

 

이 문장은 단순히 멋진 말이 아니라, 삶과 투자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일과 놀이가 구분되지 않을 때 진정한 성취와 행복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육아를 예로 들어, 사랑과 의무의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부모가 헌신할 수 있다고 설명하죠.

 

결국 성취 = 몰입 = 즐거움 이라는 구조로 요약됩니다.
 

그리고 이 철학은 ‘투자’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투자, ‘일처럼’ 해야 한다

 

투자는 취미가 아닙니다.
단순한 부업도 아닙니다.

 

투자는 ‘내 인생의 또 다른 일’입니다.

 

회사를 다니며 감기에 걸렸다고 아무 이유 없이 결근하지 않듯,
중요한 회의를 마음대로 빠지지 않듯,
투자도 선택적으로 해서는 안 됩니다.

 

몸이 아파서 정말 움직이지 못하거나,
개인적으로 큰 이슈가 있지 않은 이상
투자는 매일 꾸준히 출근하듯이 해야 합니다.

 

뉴스를 읽고, 시장을 점검하고, 공부하고,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일이 ‘업무’처럼 습관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귀찮아서 안 볼래…”
“지금 시장이 재미없으니까 좀 쉬자…”
이런 태도로는 절대 실력이 쌓이지 않습니다.

 

투자는 출근처럼 해야 합니다.
꾸준함이 결국 복리처럼 쌓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만으로’는 오래가지 않는다

 

아무리 성실한 직장인도,
일에서 의미와 재미를 잃으면 결국 버티지 못합니다.

 

출근은 하지만 마음은 무겁고,
성과는 나는데 행복하지 않고,
결국 지쳐버리죠.

 

투자도 똑같습니다.
‘돈을 벌겠다’는 목적만으로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초반엔 열정적으로 하다가
손실 몇 번이면 마음이 무너져버립니다.

 

의미 없는 투자는 버틸 힘이 없습니다.

 

 

투자에 ‘의미’와 ‘재미’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진짜 투자자는 일과 놀이의 경계를 허뭅니다.
공부를 공부처럼 하지 않고,
시장을 읽는 걸 퍼즐 맞추듯 즐깁니다.

 

“이 기업은 왜 성장할까?”
“이 지역의 흐름은 왜 이렇게 바뀌고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곧 재미가 됩니다.

 

그때부터 투자는 더 이상 의무가 아닙니다.


몰입이 즐거움으로 바뀌는 순간, 성취와 행복이 함께 옵니다.

 

 

의미 → 성장 → 재미 → 보상

 

이 순서를 꼭 기억하세요.

 

의미를 찾으면
성장이 시작되고
재미가 생기고
보상(자산)이 따라옵니다.

 

많은 사람이 순서를 거꾸로 합니다.


‘보상’을 먼저 바라보다가,
결국 의미도 성장도 재미도 잃어버립니다.

 

하지만 의미와 성장을 우선하면
재미는 자연스럽게 생기고,
보상은 반드시 따라옵니다.

 

 

진짜 행복한 투자자의 비밀

 

진짜 투자자는
‘열심히 하는 사람’이 아니라
‘즐겁게 계속하는 사람’입니다.

 

누구보다 성실하지만, 억지로 하지 않습니다.


그에게 투자는 ‘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하고 싶은 놀이’가 되어 있습니다.

 

결국 최고의 성취는
일과 놀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성취 = 몰입 = 즐거움’을 찾는 것입니다.

 

 

“투자는 일처럼 꾸준히,
 놀이처럼 즐겁게.”

 

그때 비로소 성취와 행복이 함께 옵니다.

 

 


댓글


힘꾸천
25.11.10 07:01

투자는 일처럼 꾸준히, 재밌게!! 감사합니다 멘토님!

험블creator badge
25.11.10 07:03

의미, 성장, 재미, 보상을 통해 성취와 행복을 찾아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멘토님❤️

워렌부핏
25.11.10 07:06

너무나도 공감되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투자자를 업으로 생각하지만, 이걸 일이라고만 생각하면 절대 오래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꾸준히 하되 이 안에서 의미와 재미를 찾아 행복을 느끼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ㅎㅎ!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