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3줄 요약

11월 5일, 홈택스에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가 드디어 열렀습니다.
하지만… 막상 들어가서 이것저것 클릭해보면
“그래서 어쩌라는 걸까?” “이걸로 뭘 해야 되는 걸까?” 싶은 경우가 많을 거예요.
사실 이 미리보기 서비스는 단순한 구경용이 아니예요.
올해 내가 환급을 받을지, 아니면 추가 납부 대상인지
지금부터 어떤 소비, 납입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그 핵심을 미리 정확하게 알려주는 거의 유일한 도구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사용법부터
어디를 어떻게 봐야 환급을 크게 만들 수 있는지
핵심 포인트만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이 글 하나면 남은 2025년,
'연말정산은 뭘 준비해야 하지?’라는 고민이 바로 정리될 거예요.
추가로 남은 연말정산 일정이 궁금하다면 바로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해요.😉
(▶︎2026 연말정산 일정은? 지금 바로 자세히 보기)
그럼 이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톺아보기. 바로 시작해볼까요?

홈 > 장려금ㆍ연말정산ㆍ전자기부금 > 편리한 연말정산 > (근로자용) 연말정산 미리보기
로 들어가면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이용할 수 있어요.
아니면 간단히 검색창에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검색해도 된답니다.
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하면 아래 같이 창이 뜨는데요.
그 창에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과정이 짜잔 하고 나와 있어요.

각 단계를 간단히 확인하고 클릭하면 돼요.
로그인 후에는 1단계인 전년도 지급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근무처 정보 팝업창이 뜨는데요.
이때, 근무처를 선택하고 반영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에 있던 연말정산 과정에
급여 및 기납부세액까지 자동적으로 반영돼요!

내 급여와 미리 낸 소득 세금을 알았으니, 이제는 내가 얼마나 썼는지 알아야겠죠?
바로 신용카드 사용 현황을 알기 위해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은 창이 밑에 뜨는데요.
이때 1번 불러오기를 누르면,

2025년 1월~9월의 사용금액란이 자동으로 채워져요.
이때,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는건 1월~9월 금액만이에요.
10월~12월은 아직 날짜가 다 지나지도 않았고,
국세청이 자료를 갖고 있지도 않아서 내가 따로 예상액을 아래란에 입력해야 해요.
확인이 끝났다면, 2번 반영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그런데 잠깐! 여기서 예상할 수 있는 절세 tip하나를 미리보기 서비스가 알려주는데요.
바로 오른쪽 분홍색 네모박스가 처진 구역,
“예상절감세액 및 절세Tip”부분입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총급여의 25% 초과를 써야 공제가 가능해요.
예를 들어, 총급여가 5,000만원이라면
신용카드로 5,000만원의 25%인 1,250만원 초과를 쓴 금액부터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거죠.
만약 올해 신용카드로 1,800만원을 썼다면
신용카드 소득공제액은?
총사용액 1,800만 원 – 기준 1,250만 원 = 550만 원 (공제 대상 금액)
이 됩니다.
(추가로 여기서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이름만 ‘신용카드’ 소득공제이지,
실제로는 신용/체크/현금영수증/전통시장 등 다양한 계산을 포함해요.)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은 아래와 같이 달라요.
| 사용 수단 | 공제율 |
|---|---|
| 신용카드 | 15% |
| 체크카드·현금영수증 | 30% |
| 전통시장·대중교통 | 40% |
그래서 위에 예시를 그대로 가져와서,
공제 대상 금액이 550만원일 때,
그 금액을 모두 신용카드로 썼다면
550만 원 × 15% = 82만 5,000원이 공제되고요.
체크카드로 썼다면
550만 원 × 30% = 165만 원 공제이 공제됩니다.
이렇게 보니 체크카드 사용이 공제액이 2배가 되죠? 공제율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결론적으로 공제 대상 금액이 같다면,
12월에는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이 신용카드 사용보다 훨씬 유리해요.

이렇게 5가지를 알려주고,
위의 분홍색 네모박스에서는 예상 절감세액은 5번을 핵심으로 알려주는 거랍니다.
그럼 다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어가 볼까요?
신용카드 사용 현황까지 반영하고 나면
공제항목별 지출명세를 볼 수 있어요.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각 항목별로 얼마나 받는지 볼 수 있는 부분이죠.
아래 화면처럼 나오고, 예상 세액공제 결과로
환급은 얼마나 받는지, 지방소득세는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 있어요.

환급액이 나오는데 지방세가 왜 나오지? 싶은데요.
연말정산 미리보기에서 지방소득세가 나오는 이유는,
지방세는 근로소득세의 10%로 자동 계산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환급, 추징 금액과 지방세가 세트로 움직이는 거고요.
정리히자면, 예상환급액에는 국세 + 지방세가 합쳐나오는 것이고,
10%인 지방세는 정확히 얼마인지 따로 알려주는 거랍니다.

여기까지 하면 총 5단계 중 4단계를 모두 마무리했어요.
마지막 항목별 추이 및 유의사항만 조회하면 되는데요,
이때는 최근 3년 동안 나의 연말정산 내역을 그래프, 표 등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랍니다.

여기까지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의 전체 흐름을 살펴봤어요.
“생각보다 클릭 몇 번으로 간단하잖아?”싶지만,
정확히 내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이해하고 활용하면
올해 환급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핵심 과정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미리보기 사용법과 공제 계산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드렸고,
앞으로는 환급액을 실제로 키우는 구체적인 소비 전략,
공제 항목별 체크리스트, 마지막 순간에 환급을 늘릴 수 있는 팁들을 더 깊게 다룰 예정이에요.
연말정산은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다음 콘텐츠도 꼭 기대해 주세요.
남은 2025년, 13월의 월급을 만드는 방법을 월부에서 계속 함께해요.
📌 연말정산 더 알아보기
❶ 연말정산이란? 2026년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