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원천징수 뜻부터 소득공제 개념까지 1페이지로 쉽게 이해하기

22시간 전

매년 하는데도 헷갈리는 연말정산.

사실은 용어만 알아도 구조가 눈에 딱 보입니다.

하지만 산출세액? 결정세액? 뭘 결정한다는 걸까? 머리가 띵 할 수 밖에 없는 주요 용어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연말정산 구조를 담은 핵심 정리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 풀이까지!

 

이거 한 번 저장해두고 보면, 연말정산 흐름이 단숨에 잡힐 거예요. 

 

바로 볼까요? 

 


연말정산, 원천징수, 산출세액… 1페이지로 뽀개보자

 

원천징수 뜻과 소득공제 개념

 

연말정산 구조 80% 이해하는 핵심 용어

  1. 총급여 = 💰 회사로 받은 모든 돈
                  (월급 + 상여 + 야근수당 등 각종 과세수당) / 식대, 교통비, 육아수당 등 비과세 수당 제외

  2. 소득공제 = 💸 세금 매기기 전에 소득을 빼줘서
                     세금을 적게 내도록 해주는 단계

  3. 과세표준 = 📊 총급여 - 소득공제
                     (세금을 매기기 위해 최종 결정한 소득 금액)

  4. 산출세액 = 💵 최종 세금 결정 전, 중간값.
                     세금 계산 돌려서 처음 나온 원래 세금

  5. 세액공제 = 💸 원래 세금에서 일부를 빼줘서 세금을 적게 내도록 해주는 단계

  6. 결정세액 = 👍 연말정산 최종 세금

  7. 환급 = 미리 많이 냈던 세금을 돌려받는 것

  8. 추징 = 덜 낸 세금을 추가로 내는 것

  9. 미리 낸 세금 > 결정세액 → 환급 😉

    미리 낸 세금 < 결정세액 → 추징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연말정산 구조 요약

  1. 총급여 = 📦 내 지갑에 들어오는 돈 상자 (비과세는 애초에 빼고 시작!)
  2. 소득공제 = 💸 세금 매기기 전에 돈 상자 다이어트

  3. 과세표준 = 🧑‍⚖️ “이거 세금 매길게요!” 정한 금액

  4. 산출세액 = 📄 원래 계산된 세금_1차(초안)

  5. 세액공제 = 💲 1차 초안에서 쿠폰 할인 들어간 단계

  6. 결정세액 = 💵 “내야 할 세금은 딱 이만큼이에요!”

  7. 환급 = ➡️ “어머, 너무 많이 냈네~ 돌려줄게.”

  8. 추징 = ⬅️ “어머, 좀 덜 냈네~ 더 줘!”

 

 

1분만에 보는 연말정산 5단계

  1. 총급여
    → 2) 소득공제

    → 3) 과세표준

    → 여기에 세율을 곱하면 = 산출세액

    → 4) 세액공제 적용

    → 5) 결정세액(최종 세금)

 


앞으로도 계속 연말정산 체크리스트나 절세 팁도 시기에 맞게 전달드릴게요.

우리 함께 월부에서

13월의 공포를 13월의 월급으로 바꿔봐요!

 

 

📌연말정산 더 알아보기

▶︎연말정산 뜻부터 소득공제 뜻까지, 2026년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댓글


탑슈크란
21시간 전

용어가 어려워 어려웠는데 깔끔하게 한판 정리해주셔서 잘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