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성공 경험을 쌓아가는 과정 (월부학교 3강 오하튜터님 강의후기) [에이스1반 갱지지]

25.11.13

안녕하세요 

2030 싱글들의 희망이 되고싶은 투자자 갱지지입니다 ✨

 

오늘은 월부학교 3강 오하튜터님의 강의였습니다!

10월에 시장이 급변했지만

여전히 우리의 목표는 바뀌지않았습니다

다주택자로 자산을 쌓아서 목표한 금액을 달성한다

 

그러기위해서 

현재의 상황(서울, 수도권, 지방) 

현재의 기회 (비규제지역과 지방에 대한 기회들) 

현재의 방법 (그래서 비교해서 뭐살래?!)

에 대해 낱낱이 비교분석해주셨습니다

지금 현 상황에서 완전 나침반같은 강의였습니다. 

 

적용할 점 위주로 정리해보면서

투자에 꼭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수도권, 지방 현재 시장상황

 

튜터님께서 현재 시장 상황을 서울부터 한판으로 정리해주셨습니다. 

상급지라고 말할 수 있는 곳부터 

서울 하급지 그리고 경기도, 지방광역시 중소도시까지 

전고 기준으로 가격 수준이 어느정도 많이 올라왔는지

그리고 그 아파트들의 비율에 대해서도 정리해주셨습니다. 

 

그러다보니, 아 상급지는 진짜 많이 올랐구나

그런데, 아직 하급지에는 기회가 너무나 많구나

많은데도 지금 규제로 묶여서 더 눌리는 애들이 많구나..

풀리기만하면 여전히 싼 기회를 아는 사람이 

돈을 많이 벌겠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서 우리가 비규제 지역에 대한 관심이 많은데

이럴때일수록 비규제 시세만 보는게 아니라

서울에 대한 시세도 잘 봐야하는데요!

 

왜냐하면 수도권같은 경우는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기때문입니다. 

상급지가 오르지않는데, 절대 하급지가 오를 수 없듯이

상급지의 시세 흐름을 잘 파악하면서 비규제 시장에 대한

면밀한 관찰도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 BM) 이번달 임장지 전고이상 / 20%이내 / 단계별로 비율 파악하기 

 

그리고 이제 메인 강의 내용이었습니다

우리가관심있어하는 비규제 지역에 대한 지역분석!

정말 매매가로 고민되는 부분, 투자금으로 고민되는부분들

의사결정하는 사고의 과정을 시원하게 남겨주셨습니다

 

정말정말 명쾌했어요 ㅎㅎ

이부분은 다시 복습하면서 더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12월 자율임장지에서 더 깊게 적용해보겠습니다.

 

 

수도권 vs 지방 의사결정 과정 

 

세번째 파트는 그래서 둘중에 어디할래?

이 의살결정에 대한 시간이었습니다. 

 

이 두가지의 고민.. 이제는 더이상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가치적인 부분에서는 두 단지중에

어디가 더 좋을 것 같다는 것을 이야기 해볼 수 있겠지만

 

개개인의 상황과, 그리고 시장 상황들이 다르기때문에

무자르듯이 정답은 없지만 이제는 내 선택을 최고로 만들어가는 시간이 더해져야합니다

스스로 결정하고 감당을 하기위해서는

내 상황을 잘 알고있어야하고, 그리고 뭘 살 수 있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나야합니다. 

그리고 매물을 미친듯이 봐야하고, 그리고 검토해서 계약까지 가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튜터님께서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를 해주셨는데요. 

투자를 하다보면 주변에서 반대하는 이야기를 너무 많이합니다. 

부정적인 이야기도요. 여기 안돼요. 그돈으로안돼. 투자자 안보여줘 등등 

그런데 이런 것들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은 작은 성공경험을 해보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마음이 어려운 이유는  성공경험이 없어서 그래요 

주변에서 다 힘들다고해도, 내가 경험이 있으면 “아닌데? 될거같은데?”
라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지금 어려운데도 하라는 이유는 이런 경험을 쌓기 위함이에요.

-오하튜터님-

 

이제는 고민에 고민에서 끝내는 것이 아닌

실제로 결정하고, 그것을 감당해가는

시간들로 축적하는 투자자가 되어보겠습니다. 

 


 

끝으로 유리공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투자, 회사, 가족, 건강 등등

이번달에는 회사가 갑자기 커지기도하구요 (실제로 큰일났습니다,,)

갑자기 어떤 달에는 건강이 악화되기도합니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크기는 달라지더라도 갯수를 줄이지 말자라는 것입니다. 

4개를 계속 저글링하면서 해나가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실제로 튜터님께서도 갯수를 줄여본적이 있었는데

2-3개에서 4개가 되는 순간 더 힘들어짐을 경험하셨다고합니다. 

저 또한, 크기의 변화를 감당해나가며 

투자자로서 저글링도 잘 해나가는 단단한 투자자가 되어보겠습니다

 

오하튜터님 긴 시간 엄청난 인사이트

그리고 해야할 방향성과 마음가짐까지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해태방방
25.11.13 08:11

유리공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어도 줄이지는 말자!! 좋은 글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