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기다릴까'가 아닌 서울/수도권 자산을 갖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서투기29기 잼먹고 잼먹고 잼잼 먹고먹고 너 먹고 나 먹고 2집 4고 저집 사고 후라이팬 후라이팬팬 엄빠가 규제시장에서 무얼사올까 채비아]]

25.11.13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채비아입니다.

 

1015대책이 터진 이후,

서울과 주요 경기지역이 토허제로 묶여 ‘규제 풀릴 때까지 기다릴까’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데요.

투자금이 많았다면 저라도 그렇게 고민할 것 같아 충분히 이해되는 시장 상황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양파링 멘토님 강의를 들으면서

A지역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기는 하지만,

지금도

'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방향을 정해 살 수 있는 것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선택할 만한 상황인 건 동일하구나'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A지역을 봐야 하는 이유 / 지역분석

 

마침 A지역이 앞마당 중 하나라 강의를 더 재미있게 들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앞마당이 너무 적어서 모든 강의가 한 귀에서 다른 귀로 빠져나가는 느낌이었는데… 감회가 새롭군요)

 

이미 아는 지역이라서 그런 지

‘내가 어떤 부분을 놓쳤는지'

‘멘토님은 지역을 분석할 때 어떻게 하시는지’

‘이걸 어떻게 내가 BM해야 할 지’

에 대해서 많이 포커스를 맞춰 들었는데요.

 

Q. ~단점.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사는 이유는?

Q. 평균연봉 생활권별 편차가 있지 않을까?

 

이런 질문들을 지역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하시는 게 한 층 더 깊이 Q마크를 던지는 느낌이라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인구이동 파트에서도 손품을 판 데이터가 거의 맞다고 생각하고 넘어갔다면

멘토님은 (데이터) 와 (현장)으로 나누어 실제로 이 지역 사람들이 매수하는 곳 / 전월세로 거주하는 곳+이유를

따로 정리하는 것도 깊이가 다름을 느꼈습니다.

 

이런 예시를 든 부분과 디테일이

앞으로 앞마당을 만들 때,

그리고 임보를 쓸 때

적용하고 보완해 나가야 할 부분이구나를 깨달았던 파트였습니다.

 

  BM  

  1. 동일한 강남 접근성을 가진 지역들과 비교하기
  2. 데이터와 현장의 차이를 끊임없이 질문하고 남겨놓기(ex. 인구이동)
  3. 장/단점을 생각하며 단점을 씹어 먹을 수 있는 장점 focus. 그럼 그 단지가 이 장점도 가지고 있는가.

     

 

 

매수전략 및 자산활용법

 

결국 핵심은 ‘각자의 상황에 맞게 할 수 있는 투자’를 하자는 것.

(물론 토허제는 실거주가 필요 - 무주택/ 1주택/ 2주택 이상에 따라 다른 전략)

 

그렇다면 ‘내가 살 수 있는 집은 어떤 집일까?’를 봤을 때 해야할 일.

  1. 단지정보 리스트업
  2. 대출가능 금액 추가
  3. 감당가능 예산 확인
  4. 예산 안에서 가치 보고 판단.

 

하지만 이게 말이 쉽지,,

입주하는 투자를 하려면 매월 원리금 상환, 시장 분위기에 따라 예산보다 달라질 수 있고

가치와 가격도 비교하면서 검토해야 한다는 것..!ㅎㅎㅎ

 

매수 후에 벌어질 편익과 비용을 따져보면서

실거주 입주 후에도 자산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시기별로 할 일과 이유까지

하나부터 열까지 디테일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좋았던 강의였습니다.

 

 

  BM  

내가 살 수 있는 집은 어떤 집일까 프로세스 나에게 적용해 점검.

 

 

"

우리는 지금 비전보드를 현실로 만들어 가는 중이다.

해야 할 일들을 그저 해 나가자.

"

 

 

말씀 주신 것 하면서

현재 상황에 절망하지 않고, 앞을 보면서 계속해서 나아가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양파링멘토님께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댓글


채비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