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실전 33하게 22억 달성하고 파이어족 고고! 다카s] 비교평가 잘하고싶나?

25.11.14

안녕하세요 다카입니다 :)

 

이번 실전반 2강에는 용용맘맘 강사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제목에서부터 느껴지나요? 비교평가 잘하고 싶으면 이렇게만 해 !! 요런 느낌입니다 ㅎㅎ

용맘님을 처음 뵙는데 강의를 수강하고 느낀 결론은 임장 하실 때 생각이나 임보 작성 하실때

 뽑아내는 인사이트가 다르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하나씩 복기해보겠습니다 ㅎㅎ

 

단지임장

첫 번째로 단지임장입니다.

단지임장은 이미 우리가 분위기 임장을 통해 생활권 선호 요소를 파악했고, 그 요소들을 바탕으로

단지들을 느껴보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교통’이 중요한 생활권의 대단지A라고 해볼때

대단지의 경우 반드시 동마다 가격 차이가 나게 됩니다.

특히 교통이 중요한 생활권이라면 더욱 그러할 것입니다.

특정 역에 내려 해당 단지까지 가는 시간을 느껴보고, 걸어 가기에 충분히 멀지 않다는 느낌을 받는지가

우선적으로 생각해보아야합니다.

단지에 들어왔다면 역과 가까운 단지를 제외한 뒷동의 경우 얼마나 거리가 먼지

뒷 동은 어떤 장점이 있는지 등등을 직접가서 느끼고 와야 합니다.

그동안 그냥 눈으로 보고 음~~ 좋네~ 하고 왔던 저.. 반성합니다..

앞으로 단지임장 제대로 느껴보자!

 

 

비교평가

두 번째는 비교평가입니다.

그동안 지방 위주로 앞마당을 늘려왔기 때문에

지역간 비교평가까지 해오고 있었는데요

수도권 앞마당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지역간 비교평가보다는 임장지 내에서 해보자는게 목표였습니다.

우선,

생활권 별 선호요소를 잘 파악해놓아야 합니다.

생활권 선호요소가 ‘환경’일 경우

무작정 연식이 좋다고 해당 단지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단지 내부 상태, 주변 환경, 세대수, 거주만족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환경’입니다.

이런 부분은 특히 임장할 때 잘 느껴봐야겠습니다.

 

가장 어려운 비교평가가

가치와 가격 모두 다른 경우일 듯 합니다.

해당 비교평가는 현 레벨에서 어지러울 듯 하여..

가치가 상이한데, 가격이 비슷할 경우를 해보겠습니다.ㅋㅋ

음 이 부분에서 꼭 적용해야겠다고 느낀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개인적 상황 대입입니다.

수도권의 특성은 전세가가 우상향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내가 실거주 목적인지, 투자 목적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실거주 목적이라면 가치가 더 높은 쪽을 선택하는 게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그러나

전 투자자이므로 매매가 상승도 중요하지만

전세가 상승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전세금이 회수된다면 다음 투자를 계속해서 이어나갈 수 있으니까요

따라서, 가치가 있다는 가정하에

땅의 가치가 좀 덜하더라도 전세 수요가 있는 ‘신축’이 좋은 투자 방향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실전반 모의투자 계획과 방향성은 가치가 상이할때, 가격이 비슷한 경우의 예를

적용해서 1등 뽑기를 해 볼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용맘 강사님께서

다른 사람 다 서울 투자 할 때 나는 못 할 때

임장과 임보에 집중했다고 하셨는데요

저도 그렇게 모의투자하고 실력을 키워나가야겠습니다.

그리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행동을 만들고 결과를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강사님께서도 결국 서울에 투자 하셨듯이

저 또한 지금은 힘들지 몰라도 언젠가 서울에 꼭 등기 칠 날이 올 것이라 생각하고

오늘도 해내겠습니다. 

나는 한다. 해낸다. 할 수 있다.

그럼 화이팅 ~~

 

 


댓글


다카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