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선착순] 12월 돈버는 독서모임 - 인간관계론
독서멘토, 독서리더

| 1. 책의 개요 | ||
책 제목 | 이나모리 가즈오, 부러지지 않는 마음 | |
저자 및 출판사 | 이나모리 가즈오/21세기북스 | |
읽은 날짜 | 2025.11.13. ~ 11.14. | |
총점 (10점 만점) | 10점/10점 | |
| 2. 책에서 본 것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1장.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된다. | ||
Key words: #남을 위하여 #성공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남을 위하여 성공하는게 가장 의미 있다고 책에서 이야기 하는데 나도 그런 삶을 느껴보고 그런 가치를 생각해보면서 돈이 아닌 명예가 아닌 나 자산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고 나라를 위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인지 생각해보고 더 잘 되는 방향으로 노력해보자 | ||
| 4. 책에서 적용할 점 | ||
[적용할 점] - 누군가를 위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하자.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20 | 스포츠 세계를 떠올려 봅시다. 강한 팀은 언제나 강합니다. 이기는 습관을 길들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는 것을 애초에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때가지 쌓아온 실적이 있고, 이길 것이라는 강한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적이 없다면 어떨까요.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면 그 팀은 반드시 강해집니다. 매번 지는 팀은 사우기도 전에 이번에도 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실상은 그 생각 때문에 백 퍼센트 지고 맙니다. 이기는 습관과 지는 습관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너무나도 강력합니다. | |
| P. 29 | 더 이상 안 된다고 생각하면 정말로 그것으로 끝나버리는 게 사람의 마음이니까요. 즉, 자신이 목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두 배라니 말도 안 돼’라고 생각하면 그 마음 역시 고스란히 직원들에게 스며듭니다. 그리고 직원들이 ‘될 리 없지’라는 마음으로 손님들을 대한다면 당연하게도 매출은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게 될 것입니다. | |
| P. 34 | “ 새로운 계획의 성취는 오로지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는 마음에 달려 있다. 고로 마음을 다해 고고한 이상과 드높은 상상을 강렬하게 품어라.(중략) 오로지 열망하라, 고고하게, 굳세게, 한결같이/” -<연심초>, 나카무라 덴푸 지음, 재단법인 덴푸카이 출판 | |
| P. 37 | 많은 사람들이 ‘나만 잘되면 된다., 어쨌든 부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경영자들 또한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사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제대로 된 경영자라면 사업을 번창시켜 직원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어 합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도, 자신의 가족들도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 |
| P. 38 | 자신, 혹은 자신의 가족만이 아닌 모두가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 직원들이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 회사가 성장해서 지역 사회와도 이익을 나누어 지역민들도 함께 행복해졌으면 하는 마음. | |
| P. 39 | 어떤 소망이든 강렬하게 원하면 이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마음으로 그린 소망일수록 성공할 확률이 더욱더 높습니다. “위대한 인물을 성공으로 이끄는 요인은, 결국 수단보다는 그 순수한 마음에 있다.” -베다 철학- | |
| P. 40 | 베다 철학에서 말하는 ‘순수한 마음’이란 바로 ‘부처님의 마음인’;인 것입니다. 기도교에서는 이것을 ‘사랑’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아름답고 순수한 마음으로 더 큰 것을 소망하는 기업은 반드시 성공할 수밖에 없습니다. | |
| P. 44 | 남을 위하여 아름다운 마음으로 임하고,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을 노력을 거듭하다 보면 성공할 수밖에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 |
| P. 46 | “청렴한 사람일수록 다양한 면에서 더 유능하고, 부패한 사람보다 눈앞의 목표나 인생의 목적을 훨씬 쉽게 달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정한 사람이 패배가 두려워 발을 들이지 않는 곳에도 청렴한 사람은 아무렇지 않게 도전해서 간단히 승리를 거머쥐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원인과 결과의 법칙3>, 제임스 알렌 지음, 사카모토 고이치 옮김, 선마크 출판 | |
2장 노력의 진짜의미 | ||
Key words: #잡초 #죽을 힘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잡초가 아스팔트 틈사이로 나올 정도로 열심히 사는데 나는? 그 정도로 살고 있다고 자신있나? 그렇지 않는 것 같다.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노력을 하지 않는 것 같다는 나에게 말한다면 자신이 없다. 그러니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더 나은 사람이 아니라 최고가 되자는 마음을 먹어야겠다. | ||
| 4. 책에서 적용할 점 | ||
[적용할 점] - 누구에게도 지지않을 노력을 하자.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51 | 경영과 인생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열심히 일해야 한다. 아스팔트 틈 사이로 어떻게든 싹을 틔우는 잡초처럼 죽을힘을 다해 나아가야 한다. 그것 말고 다른 길은 없다. | |
| P. 55 |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만큼 노력하고 있나요.”,”누구에게도 뒤처지지 않을 만큼 열심히 일하고 있나요”라고 묻기로 했습니다. | |
| P. 56 | 좀 더 진지하게, 보다 열심히 하지 않으면 일도 인생도 제대로 굴러가지 않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노력을 하라’고 강조하는 것입니다. | |
| P. 66 | 의외로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 ‘이 정도면 성공했다. 이 정도면 됐다.’ 싶은 생각에 고삐를 늦춥니다. 중력에 맞서서 여기까지 올라왔으니 이제는 안심해도 된다면 고비를 늦추는 바람에 서서히 미끄러져 내려갑니다. 미끄러져 내려가는 중에도 아직은 충분히 안정적이라고 자신하다가 점점 더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결국 파산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자만심이야말로 성공한 사람을 실패로 이끄는 원흉입니다. | |
3장 강렬한 의지가 있는가 | ||
Key words: #목표 #마음가짐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목표를 가졌다면 최고가 되고 그에 따른 철학을 생각해보자.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78 | 만약 세계 최고의 산을 목표로 삼았다면 어설픈 마음가짐으로 시작해서는 안 됩니다. 그에 맞는 장비, 즉 철학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 |
4장 인격을 힘써 가꿔야 하는 이유 | ||
Key words: #겸허함 #참된리더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시장이든 어떠한 상황이든 변질되지 않는 마음을 가지기 위해 초심을 잘 간직하고 변질되지 않도록 마음을 단련하고 또 단련하고 뾰족하게 만들어가야겠다.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113 | 인격이나 사고방식은 변하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변질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단련된 정신력과 상황, 환경, 조건이 바뀌어도 겸허함을 잃지 않는 변함없는 인격을 갖추어지 못하면 참된 리더가 될 수 없습니다. | |
5장 사람을 키운다는 것 | ||
Key words: #리더의 마음 #성장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운영진을 하면서 반원들에게 가져야 할 마음일지도 모르겠고 내가 앞으로 가려는 에이스반 그리고 튜터님들의 마음인 것 같다. 잘 마음에 새겨보고 이것을 계속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123 | ‘멋지게 성장하길 바라는’ 애정 어린 마음과 배려만 있다면 다소 서툴러도 부하 직원이 납득할 때까지 가르칠 수 있고, 이러한 리더의 마음은 반드시 전달되어 직원 역시 성장하게 된다. | |
| P. 126 | 부하 직원에게 애정이 있으면 아무리 호되게 꾸짖어도 마지막엔 “힘내”라면 다뜻하게 격려할 수 있다. 이러한 진심이 ‘나를 위한 것이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이 사람이 하는 말이라면 억지로라도 들어보자’고 힘을 내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 |
| P. 138 | 진정한 리더는 교육을 통해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발굴’을 통해 발견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직 미숙해 보이는 사람이라도 좋으니 일단 매니저나 리더의 임무를 맡겨 본다. 교대로 시켜 본다. 패자도 충분히 부활할 수 잇다. 그렇게 했을 대 여태껏 알지 못했던 잠재적인 재능을 꽃피우는 사람이 나온다. | |
6장 조직을 살리는 법 | ||
Key words: #조직 #최우선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조직을 최우선을 하면서 내 것을 조금 더 우선순위에 덜 두고 조직의 이익을 앞단에 두고 행동하는 것이 리더라는 것을 알게 되니 내가 걸어야 하는 것은 이런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남보다 더 희생해서 모두가 잘 되기 위한 방향성을 생각해보자 | ||
| 4. 책에서 적용할 점 | ||
[적용할 점] - 리더로서 필수 조건을 갖추려고 노력하자.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147 | 이러한 꿈과 소망이야 말로 ‘비전’인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미션’. 즉 사명입니다. 리더는 비전을 내걸 때 그것을 전제로 한 미션도 확립해야 합니다. | |
| P. 149 | 하지만 하룻밤 곰곰이 고심한 끝에 결국 경영자의 사적인 바람보다 사원이나 그들의 가족을 행복하게 만드는 게 기업 경영의 참된 목적과 비전이며, 가장 중요한 일이라는 것으 마음속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 |
| P. 150 | 이렇게 해서 교세라의 미션은 “전 사원의 행복을 물심양면으로 추구함과 더불어, 인류와 사회의 진보와 발전에 공헌한다”로 정해지게 된 것입니다. 저는 이를 교세라의 경영 이념으로 내걸고, 사원들에게 확실하게 전달하고 공유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 |
| P. 170 | 자기 생각만 하는 사람은 아무도 따르지 않는다. 사장의 자리에 있는 사람은 회사를 대신해 회사의 입장에 서서 말해야 한다. 이른바, 회사를 대변해야 한다. 이는 사장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작은 조직의 리더라도 마찬가지다. 조직을 위해 자신의 손해를 감수해 야 한다. 이것이 리더의 필수 조건이다. | |
| P. 172 | 이는 사장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작은 조직이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이끄는 조직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아무도 따르지 않습니다. 항상 자기만 생각하는 리더는 아무도 다르지 않습니다. 조직을 위해 자신의 손해를 감수하는 용기, 이것은 리더의 필수 조건입니다. 이를 아까워하는 사람은 리더로서 자격이 없습니다. “저 사람은 능력도 있고, 성격도 밝고, 인간성도 좋고 엄격하면서도 다정하다”는 말을 듣게 되기를 원합니다. 그렇게 누가 봐도 “저 사람은 멋지다”는 말을 들을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
7장 새로운 것을 이뤄내는 힘 | ||
Key words: #목표 낙관적 #계획 비관적 #실행 낙관적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매우 낙관적으로 설정하면서 계획을 세울때는 보수적으로 그리고 실행 할때는 낙관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말에 너무 공감이 된다. 이런 개념을 정의 한다는 것이 어려웠는데 딱 들어맞는것 같다. | ||
| 4. 책에서 적용할 점 | ||
[적용할 점] - 목표는 낙관적 설정, 계획은 비관적 검증, 실행은 낙관적으로 한다.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185 | 매우 낙관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울 때는 비관적으로 검증한다. 그리고 마침내 실행하는 단계에 이르면 다시금 미친 듯이 낙관적으로 달려 나간다. 이것이 새로운 일을 성공으로 이끄는 핵심 포인트다. | |
8장 도전이 값진 이유 | ||
Key words: #도전 #겨루기 | ||
| 3. 책에서 깨달은 것 | ||
[깨달은 점] - 내가 무슨 일을 도전한다는 것은 무조건 해내고 말고야 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에 내가 너무 안일하게 도전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앞으로 도전을 할때는 철저히 준비하면서 용기, 인내심, 노력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 ||
| 4. 책에서 적용할 점 | ||
[적용할 점] - 도전은 겨루기다. | ||
| 기억하고 싶은 문구 | ||
| P. 206 | 하지만’도전’이란 격투기처럼 투쟁심을 동반한 겨루기를 뜻합니다. 도전하려면 그 어떠한 난관에도 구하지 않는 요기와 어떤 고생도 마다하지 않는 인내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뒤집어 말하자면, 용기 없는 사람, 인내심이 부족한 사람, 노력을 게을리하는 사람, 이러한 사람은 ‘도전’이라는 말을 허투루 사용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 |
| P. 207 | 즉, 새로운 것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이걸 해내고야 말겠다’는 야만인의 본능에 가까운 탐욕과 투쟁심이 필요합니다. | |
| P. 212 | 도전은 중요하지만, 무모한 도전은 안 된다. 자신의 특기를 살릴 수 없는 일에는 가급적 손을 대지 말라. ‘징검돌은 놓지 않는 것’이 도전의 전제 조건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