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파트와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삶의 일부로 생각하고 즐기기 시작한
절대 포기하지 않는 제리파파입니다.

최근 유튜브를 보고
큰 충격에 휩싸였는데요.
https://m.youtube.com/watch?v=vYy6QUHVbJo
‘낭만러너’ 라는 유튜브였고,
처음에는 ‘이게 뭔가?’ 싶었는데 보다 보니
30분 길이의 영상을 전부 보게 되었습니다.
무엇이 ‘러닝’ 이라곤 1도 관심이 없는 저를
이토록 몰입해서 영상을 보게 만들었을까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낭만러너 심진석' 이라는 이름이
처음 알려진 것은 2025년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20연속 우승이라는
말도 안되는 기록을 세우고 부터였습니다.
풀코스 마라톤에 도전한 지 겨우 7년 만에
국내 모든 마라톤 대회를 석권한 것인데요.
사람들의 이목은
‘이 사람은 대체 누구인가?’
에 집중되었습니다.
평범한 건설현장 비계공 노동자
169cm 작은 키의 29세 성인 남자
‘낭만러너’ 를 소개할 수 있는 수식어는
이것이 전부였는데요.
그를 마라톤 대회 우승자로 만든 것은
러닝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도 아니었고
최신 스마트워치와 운동화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그가 매일 조금씩 쌓아나간
축적의 시간 때문이었는데요.
30분 길이의 짧은 영상에서는
낭만러너 심진석님이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한 후
일을 하고 하루 일과를 마치고
퇴근하는 과정에 대해서 나옵니다.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나 7시에 출근하고
오후 7시에 퇴근하는 일상을 보내면서
출퇴근길에 4km씩 총 8km를 달리면서
매일을 달리기 훈련하는 시간으로
채워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아침에 뛰는 이유가 뭔가요?’
‘저녁에는 시간이 없어서요’
PD와 낭만러너와의 대화를 들으면서
제가 투자자로서 평소 회사가 바빠서,
육아를 해야 해서, 시간이 부족해서
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들이 생각났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사정이 있고 상황은 다르지만
열악한 상황에서도 내가 원하는 것을 위해
‘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봤는지’
설령 나를 더 힘들게 하는 것일지라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지에 대해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언덕이 나왔는데 왜 더 좋아해요?’
‘힘들지 않아요? 왜 더 빠르게 뛰나요?’
‘언덕에서 뛰어야 그래야 훈련이 돼요’
‘힘들어도 저한테는 훈련이기 때문에’
이 말을 듣고는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이 이 사람을 달리게 만드는 걸까?’
보통 사람은 아침에 일을 가기 전에
단 5분이라도 더 잠을 자기를 바라는데
2시간이나 일찍 일어나서
달리는 것도 신기한데 언덕이 나온다고
이것을 훈련으로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하기 쉽지 않았는데요.
그 부분이 바로 영상 말미에 나옵니다.
‘기분이 어떠세요?’
'오늘 하루도 즐거웠고 행복했고,
안전하게 일 잘 마치고 귀가하고
이렇게 운동도 할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합니다.
‘앞으로의 꿈이 무엇인가요?’
‘해외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고 싶어요’
영상을 보고 댓글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응원하는 글을
남겨주신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하지만 부정적인 글들도 있었습니다.
‘그냥 재능이 있는 사람이었네’
‘원래부터 타고난 거였네’
제가 영상을 보고 느낀 것과
낭만러너 심진석님에 대해
찾아보고 알게 된 것을 종합해봤을 때
단순 재능으로 치부하기에는
세상에 재능을 가진 사람들은 많지만
그것을 활짝 꽃 피우는 사람은
별로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낭만러너 심진석씨의 하루를 보면서
아무리 열악한 상황이어도
(건설업자 비계공으로서)
(12시간 일을 하여 연습 시간이 없는 상황)
뚜렷한 꿈과 올바른 목표를 가지고
(해외 마라톤 대회를 참가하고 싶다는 꿈)
(국내 대회에서 먼저 입상하겠다는 목표)
매일 하루 하루를
그 목표를 위한 훈련으로 채워나가면서
(평일 출퇴근 8km 달리기를 채우는 훈련)
(언덕에서 더 빠르게 뛰는 훈련)
그 과정을 즐겁고 행복하게 여기는 것이
(안전하게 일하고 무사히 귀가한 것)
(매일 출퇴근 길에 운동을 할 수 있는 것)
(매일의 과정을 즐겁고 행복하게 여기는 것)
꿈을 위해 7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원하는 것을 이뤄나갈 수 있었던
그만의 성공 방정식이 아니었을까요?
투자자인 저에게도 굉장히
큰 울림을 주는 영상이었는데요.
모든 분야의 성공방정식이
비슷하다고 한다면
‘투자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요?'
아직 영상을 보지 못하셨다면
꼭 한번 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m.youtube.com/watch?v=vYy6QUHVbJo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