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말과 행동에 힘이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
먀먀둥이입니다.
월부학교 존경하는 🍚밥잘🍚튜터님을 .. 만났습니다 !!!! ㅠㅠㅠ
첫번째 튜터링데이를 복기해보았습니다!
1. 임장보고서와 무릎건강에 대하여
2. 제대로 된 목표를 설정했는지 점검받기
3. 투자금 소진시 1등뽑기에 대하여
4. 3년차 투자자의 성장에 대하여
1. 임장보고서와 무릎건강에 대하여
먼저 스터디카페에서 임장보고서 발표를 했습니다 :)
(쾌적한 스카, 밥집 예약해주신 운영진, 총무 나이님 감사합니다)
튜터님께서 사전임보 발표전, 너나위님의 과거 임보를 보면서 내 임보와의 차이점을 생각해보라고 하셨습니다.
https://cafe.naver.com/wecando7/306094https://cafe.naver.com/wecando7/207084
제가 너나위님의 임장보고서를 보면서 느낀점은,
1. 정말 진심을 다해 정성스럽게 임장보고서를 작성한다는 것(과연 너나위님 답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현장"에서 본 내용을 임장보고서에 담으며 지역의 입지와 가격적정선을 남긴다는 것이였습니다.
진심과 현장
진정한 투자자로 성장하기 위해, 항상 겸손하고 기본을 갖추되, 성장을 위해 의식적 노력을 하는것.. 과연 아시아의 구루 존경하는 너나위님이셨고,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신 밥잘튜터님 감사드립니다.
임장보고서 원씽
"진심과 현장"
데이터가 아니라 현장에서 본 내용을 임장보고서에 정리하여, 단순히 뭐가 더 좋고 뭐가 더 저평가인지에 에너지를 쏟기보다, 여기서 투자를 한다면 어느지역에서 어떤 단지를, 얼마정도면 저평가라고 생각하고 투자를 할지 찾는것 ★
사전임보 발표는 집심마니님-드림텔러님-오렌지하늘반장님께서 해주셨습니다.
우리반원 모두 임장보고서를 잘 썼다고 해주셨고.. 제가 느낀점과 bm list를 남겨보려합니다.
느낀점
임장보고서를 25개째 작성하고 있습니다.
작년 한해는 매달 임장보고서를 300페이지씩 작성했었습니다.
돌이켜보면 정말 힘들었고 어려웠던만큼 투자에 대하여.. 성장에 대하여 진심이였던 사람이였습니다.
편한대로, 하는대로 하는게 아닌지 경계할것
아는것을 안다고 오만하는 자세를 경계할것
항상 실천하려고 하는 삶의 태도인데도.. 어느순간 지금수준에 만족하고 안주하고 있는 제모습을 오늘 반원들의 임장보고서를 보며 발견했습니다.
왜 편한대로 임장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는것인지, 더 지역을 잘파악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하지 않았던것인지, 반장님과 임장하며 A지역과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왜 더 깊게 파고 들어가 이 지역을 파악하려고 하지 않았는지, 원래 하던 장표를 왜 빼고 내편한대로 하고 있었는지.. 머리를 탕 맞은기분이였고 크게 반성했습니다.
이런것들을 의식적으로 노력해서 실제 유의미한 것들만 남기고 투자와 연결시켜야 한다는것을 알았고, 제가 그부분을 못하고 있다는것은 그만큼 실력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쓸만큼 썼고, 알만큼 안다고 생각했던 임장보고서의 성장에 대하여 제가 부족한 부분을 찾았고 앞으로 노력해야할 방향을 알게 해주신 집심마니님, 드림텔러님, 오렌지하늘님 감사합니다.
먀먀둥이 임장보고서 성장 방향
투자에 유의미한것들만 남겨
퀵하게 작성하면서도
그 지역을 제대로 파악하는 능력
(목표 : 사임 70장으로 입지,시세 제대로 파악하기)
BM List
임장보고서 원씽이 되어야할것, 최임에 적어야할것 (진심과 현장) : 데이터가 아니라 현장에서 본 내용을 임장보고서에 정리하여, 단순히 뭐가 더 좋고 뭐가 더 저평가인지에 에너지를 쏟기보다, 여기서 투자를 한다면 어느지역에서 어떤 단지를, 얼마정도면 저평가라고 생각하고 투자를 할지 찾는것 ★
개요
위성지도/지적편집도, 소득, 도시개발계획, 인구 4개 분야로 쓰고 마지막에 요약하기(집심마니님)
구별 소득과 랜드마크가격, 평당가 가격 비교하기
공급
미분양 지도(가격, 위치) 넣고 왜 미분양인지 적기(집심마니님)
분양예정지 직방에서 찾아 이미지 넣기(집심마니님)
뉴스 페이지추가(공급 많았던시기, 미분양이 많았던시기의 분위기 찾아 넣기)(드림텔러님)
그외
임보 페이지마다 소요시간 적기(ex.10분. 내가 들인 시간,노력에 비해 나온 인사이트가 얼마인지 계량화하고 개선할 수 있음) (집심마니님)
이 지역에서 선호하는 요소와 지역이 어디인지 찾기 (너나위님 분당 임장보고서)
다음 임장보고서 원씽, 최임에 적어야할것 : 데이터가 아니라 현장에서 본 내용을 임장보고서에 정리하여, 단순히 뭐가 더 좋고 뭐가 더 저평가인지에 에너지를 쏟기보다, 여기서 투자를 한다면 어느지역에서 어떤 단지를, 얼마정도면 저평가라고 생각하고 투자를 할지 찾는것 ★
각 페이지에 ‘투자연결’ 추가하기 (이 내용과 투자를 어떻게 연결할지)(드림텔러님)
Zoom-In, Zoom-Out 하면서 지역을 넓게 보면서 쓸것(드림텔러님)
시세
임장지의 시세와 앞마당에 비슷하다고 생각했던곳을 찾아서 그래프 비교하기(오하반장님)
시세지도그릴때 매임우선순위 정하고 왜 여기를 매임해보고 싶은지, 왜 여기가 싼지 궁금증을 찾아서 넣고 매임들어가기 !! (오하반장님)
임보의 마무리는 시세지도 ! 분석한 입지와 현재 시세를 붙여서 가격수준이 어떤지보고 매임우선순위를 정하고 매임전임으로 알아가기
감사합니다 :)
2. 제대로 된 목표를 설정했는지 점검받기
출처 입력
감사히도 두학기 연속 월부학교를 수강중입니다.
첫번째학기를 복기해보면 에고와 블라인드스팟으로 슬럼프에 빠졌던 스스로를 메타인지를 통해 깨부시고 성장을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너무 소중하고 감사한 성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두번째학기도 제대로된 목표를 세우고 첫번째학기만큼 폭발적으로 성장하겠다!! 라는 의지가 앞서있었던것 같습니다.
지난학기 튜터님, 반장님께 배운대로 이번학기에도 성장하고 싶은 방향성을 정하고 튜터님께 점검받기 위해 질문들을 준비해갔습니다.
좋은 환경 안에 있어도,
명확한 목표가 없으면 절대 성장할 수 없다.
목표는 등대와 같다.
출처 입력
첫번째 학기 :잘하는 투자자. 투자의 본질을 이해하고 투자기준을 정립하고 그릿을 통해 한계를 돌파하는 투자자.
▼
두번째학기 : 뒷모습만으로 영감을 줄수있는 사람. 어려운 상황에서 더 잘해내는 동료
이를 위한 세부목표(Initiative)로.. 대출/세금 강의 수강, 독서tf 지원을 위한 독서 월4권, 글쓰기 등으로 성장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싶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돌아온 튜터님의 피드백은..
그것도 물론 좋지만, 월부학교는 투자하는 곳이에요.
그런 공부하는 것들은 월부학교가 아니여도 할 수 있어요.
실전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그 시장의 현장감을 느껴야합니다.
그 시장안의 플레이어로 있어야한다는거예요.
먀먀님이 지금 당장 투자를 못한다고 공부를 더 열심히 하겠다가 아니에요.
적어도 월부학교에 왔다면,
실전투자자로 성장하는것이 목표가 되어야합니다.
실전투자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치대비 가격이 싼물건을 찾고
현장에서 물건을 털고 협상을 통해
진짜 1등을 뽑아나가는 '투자실전'의 영역들을
반복해서 학습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밥잘 튜터님
월부학교는 말그대로 국내 최고 투자자 양성 학교입니다.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삽질을 할 뻔했지만 튜터님의 피드백을 수용함으로써 OKR을 다시 수정하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튜터님🍚❤️)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 성장불가.
목표를 세웠음에도 실패하는경우는 두가지가 있다.
1. 목표와 세부계획을 제대로 연결시키지 못할 경우
2. 목표에 맞지 않는 계획을 세웠을 경우
* OKR 수정ver(1/13)
Objective - 3개월 목표 : 실효성을 갖춘 투자자(실력 ! ), 뒷모습만으로 영감을 주는 동료
Initiative - 목표와 맞는 계획(1월) : 매물임장 100회, 동료투자도움 1회로 실전투자
Key Result - 남겨야 할 결과(1월) : 매물임장 100회, 동료투자도움 1회로 실전투자 나눔글 1개 작성
3. 투자금 소진시 1등뽑기에 대하여
출처 입력
지난달 투자를 하면서 투자금이 똑 떨어졌습니다 ㅎㅎ
이런적은 처음이라 앞으로 어떻게 1등을 뽑을까~ 고민하며 혼자서 내린 1등뽑기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투자 & 1등뽑기 기준>
•중소도시 신축 20평대 2~3억대 / 전세가율 80%대 / 투자금 3천~1억대를 찾기(5천만원 수익 목표)
•광역시, 중소도시 준신축 30평대 2~3억대 / 전세가율 80%대 / 투자금 1억이하
•내안에서 싸고 감당가능하다면 투자할것
ㅎㅎㅎ 역시 이번에도 잘못 짚고 있었습니다.
투자는 항상 할 수 있는것이 아니므로 종자돈이 없을때는 의욕이 없어질수 있다.
그런 마음을 경계하기 위해 매달 진짜 실전처럼 모의투자를 해야하고, 그래야 돈이 생겼을때 언제든 제대로 된 투자를 할 수 있는 실력이 생긴다.
이번에도 방향성을 제대로 잡고 갑니다! 튜터님 감사드립니다 :)
우선 n호기 역전세를 먼저 막고,
1년에 모을 수 있는 돈을 기준으로 투자할것
종자돈이 없어도 항상 실전투자처럼 임하여 실력이 는다.
4. 3년차 투자자의 성장에 대하여
출처 입력
21년 11월 월부에 와서 2년이 지났고, 저도 드디어 3년차 투자자가 되었습니다.
(어쩌다 3년차..? ㅎㅎㅎ)
그동안 임장도, 임보도, 건강도, 동료도, 회사도, 가족도, 투자도..
수많은 어려운 순간들이 있었지만 시간은 가네요 ㅎㅎ
이제 3년차 투자자가 되었고 아는건 많아졌는데 이제 뭘 어째야하지? 라는 막연한 생각이 듭니다.
이런 저에게 튜터님은 3년차 투자자는 좌절하게 되는 시기가 온다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동안 0점에서 50점까지 끌어올리기는 쉬웠지만, 50점에서 100점으로 가는것은 더 어렵다.
성장에 대한 목마름이 큰 3년차 투자자는, 결코 예전만큼 쉽게 성장의 기쁨을 쉽게 느낄수 없을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더딘 성장, 갈곳잃은 방향성, 지켜야할 투자물건들, 동료와의 비교, 더 좋은 투자를 해야한다는 압박감
이런것들을 이겨내고 성장하기 위해 더 정교하고 큰 노력을 해야할 시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레잉 튜터님 질의응답 참고 :
1.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 되기(다른사람에게 도움이 될만한것을 주라)
2. 새로운것, 다른시도를 해보는것이 성장의 벽을 넘은 계기였다.
지금 꼭 읽어야할 월부 BEST 글>
경기도보다 싼 서울 5억대 아파트 어디?
https://link.weolbu.com/3QePnIN
--------------
좋은 글을 나눠주신 이웃분에게 덧글은 큰 힘이 됩니다.
서로 감사함을 표하는 월부인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