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전세가 흐름은 왜 때문일까요? 세대수도 1000세대 이상이고 24평 기준으로 적지않은 세대수를 가지고 있는데요..... 지역별로 한두개씩 꼭 이런 그래프를 보이는 곳이 있어서요. 한 두달 사이로 전세가의 차이가 많게는 2억씩 차이가 납니다. 제 생각에는 월세수요가 많아서 그런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요.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댓글
안녕하세요 티피오님~ 이렇게 들쭉날쭉 할 때는 주로 거래량이 없을 때 낮은 거래가 찍히거나 아니면 월세거래가 전세로 잘못 입력되일 때인데 이 케이스는 상당히.. 신기하네요. 매매거래도 약 3년간 5건임을 미루어보아 거래가 덜 되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티피오님 :) 들쑥날쑥한 전세 그래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해당 단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명확하진 않습니다만, 2가지 케이스를 남겨보겠습니다. 1. 임대차3법 이후 들쑥날쑥한 그래프 위 그래프에 해당되는 사항은 아닙니다만, 임대차법 시행 이후 갱신권 사용 등의 이슈로 5% 상한까지만 증액이 가능하여 신규거래와 갱신거래의 차이가 심하게 큰 경우가 20~22년 사이에 많이 발생했습니다. 2. 장기전세 등의 영향 서울의 '이펜하우스' 같은 공공임대주택은 일반물량보다 '국민임대' 혹은 '장기전세' 형태의 세대가 훨씬 많습니다. 장기전세의 경우 주변 전세 시세의 80% 이하의 가격으로 2년 단위의 재계약을 통해 최장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합니다. 이런 주택의 경우 일반 물량의 전세가와 장기전세 등의 전세가와의 차이가 상당히 많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