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70조 검정파스타]

  • 24.02.18


열반 기초때부터 여러 강사님들의 강의를 들어왔지만, 그 중에서도 이번 방랑미쉘님의 강의에서는 투자 기준이 마치 '눈에 보이듯 선명한' 느낌을 받았다. 그동안 공부한 내용들이 쌓였기 때문이기도 하겠지...? 아무튼,앞으로 해 나갈 임장/임보에 적용해 볼 만한 사항들이 참 많이 보였다. 이번 열중 수강 동안에는 임장/임보 과제는 없지만 지난달 실준 수강을 하며 엉성하게 작성한 광명 임보에 적용해 보면서 업그레이드를 시켜 보아야겠다.


  1. 누적 통계 살펴보기 (매매, 전세, 평당가) : 앞마당을 하나씩 만들어 갈 때마다 기존 앞마당을 시세트레킹 하게 될 텐데, 그 때 찾아둔 데이터를 축적해서 보면 큰 흐름을 읽기에 편리한 자료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평형별 매가, 전세가, 투자금" 장표 (22~3p처럼) -> "매매/전세 평당가" 장표 (8~9p처럼)

=> 지역별 등락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지역별 투자 가능 후보 지역을 고르는 기준이 된다


2-1. (지방) 입주물량 & 인구수 기준으로 투자 가능 지역 고르기 : 31~32p 장표 중 목적에 맞게 따라하기


2-2. (수도권) 전고점 비교(절대적 저평가) & 입주물량으로 투자 가능 지역 고르기


3-1. (지방) 각 지역에서 가치가 있는 "입지+연식"가치의 조합을 43p 장표처럼 정리해 보기

: 기존의 가격 흐름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우선하는 요소를 파악

-> 내가 앞마당을 만드는 시기에 각 단지별로 가치가 가격에 얼마나 반영 되어 있는지 확인


3-2. (수도권) 직장,교통,학군,환경

: 기존의 가격 흐름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우선하는 요소를 파악

-> 내가 앞마당을 만드는 시기에 각 단지별로 가치가 가격에 얼마나 반영 되어 있는지 확인


4. 동일 가격의 아파트와 가치 비교(대상: 동일 생활권 및 주변 지역)로 상대적 저평가 파악

-> 투자 조건 고려하여 1등 뽑기


특히, 각 지역별로 다른 선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상승장/하락장에서의 가격을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싶었다.


댓글


김슝슝
24. 02. 18. 13:34

파스타님 후기를 읽을때마다 정리가 되는 느낌이에요 1강도 고생하셨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