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열반 기초때부터 여러 강사님들의 강의를 들어왔지만, 그 중에서도 이번 방랑미쉘님의 강의에서는 투자 기준이 마치 '눈에 보이듯 선명한' 느낌을 받았다. 그동안 공부한 내용들이 쌓였기 때문이기도 하겠지...? 아무튼,앞으로 해 나갈 임장/임보에 적용해 볼 만한 사항들이 참 많이 보였다. 이번 열중 수강 동안에는 임장/임보 과제는 없지만 지난달 실준 수강을 하며 엉성하게 작성한 광명 임보에 적용해 보면서 업그레이드를 시켜 보아야겠다.
: "평형별 매가, 전세가, 투자금" 장표 (22~3p처럼) -> "매매/전세 평당가" 장표 (8~9p처럼)
=> 지역별 등락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지역별 투자 가능 후보 지역을 고르는 기준이 된다
2-1. (지방) 입주물량 & 인구수 기준으로 투자 가능 지역 고르기 : 31~32p 장표 중 목적에 맞게 따라하기
2-2. (수도권) 전고점 비교(절대적 저평가) & 입주물량으로 투자 가능 지역 고르기
3-1. (지방) 각 지역에서 가치가 있는 "입지+연식"가치의 조합을 43p 장표처럼 정리해 보기
: 기존의 가격 흐름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우선하는 요소를 파악
-> 내가 앞마당을 만드는 시기에 각 단지별로 가치가 가격에 얼마나 반영 되어 있는지 확인
3-2. (수도권) 직장,교통,학군,환경
: 기존의 가격 흐름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우선하는 요소를 파악
-> 내가 앞마당을 만드는 시기에 각 단지별로 가치가 가격에 얼마나 반영 되어 있는지 확인
4. 동일 가격의 아파트와 가치 비교(대상: 동일 생활권 및 주변 지역)로 상대적 저평가 파악
-> 투자 조건 고려하여 1등 뽑기
특히, 각 지역별로 다른 선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상승장/하락장에서의 가격을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싶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