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42조 가인]

  • 24.02.2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는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으로 멀티태스킹이 효율적이라는 현대인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제일 중요한 한 가지 일을 정하고 그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내용을 집필하셨습니다.


[2. 필사 및 느낀점 벤치마킹]

<제1부 거짓말_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제4장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일이 언제나 가장 큰 소리로 나를 부르는 것은 아니다. "

-성공하는 사람들은 다른 이들이 나중에 하려고 하는 일을 먼저 하고, 다른 이들이 먼저 하려는 일은 뒤로, 때로는 무기한으로 미룬다. 이 둘의 차이는 의도가 아니라 방식의 옳고 그름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뚜렷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한다.

-계속해라. 20퍼센트만 남기고, 거기에서 다시 20퍼센트만 남기는 식으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에 이르기까지 계속해라!


제6장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성공은 끊임없이 자신을 훈련시켜야 하는 마라톤 경기가 아니다. 성과를 올리기 위해 언제나 절제된 행동만 하고, 모든 면에서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 질주인 셈이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제7장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의지력을 음식이나 잠처럼 관리해야할 자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서 자주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의지력이 가장 필요한 순간에 의지를 전혀 사용하게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의지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관리해야 할까? 의지력에 대해 생각하고, 주의를 기울여라.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제9장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크게 생각하는 것은 곧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하는 것이다.


<제2부 진실_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제10장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질문을 하면 우리의 비판적 사고가 가동된다. 연구에 따르면 질문을 할 때는 하지 않을 때보다 학습효과와 성과가 최대 150%까지 향상된다고 한다.

-초점탐색 질문은 다음의 세파트로 나뉜다.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 일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각각의 파트에서 고민해야 할 지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제11장 도미노를 세워라

-결과물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순간이면 언제나 그 질문을 던진다. 아침에 잠에서 깨어 새로운 하루를 시작할 때도 그 질문을 쓴다. 일터에 도착할때, 그리고 다시 집에 도착할 때도 그 질문을 던진다. 다른 모든 일들을 쉬워지게 하거나 필요없게 만들 그 단하나의 일이 무엇인가? 여러 도미노 조각이 제대로 줄 지어 서 있음을 확인 할 때까지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던진다.

-습관으로 만들어라. 초점탐색 질문을 습관처럼 던지면 자신이 원하는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질문의 힘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차이를 만들어 낸다.

-잊지 않게 메모하라. 초점탐색 질문을 잊지 않도록 스스로에게 상기 시켜라. 가장 좋은 방법은"나의 단 하나가 끝나기 전까지 다른 모든 일들은 다 필요없다." 라고 책상 앞에 붙여 두는 것이다.


제 12장 삶의 해답으로 가는길

-큰 질문을 먼저 던지고, 그 다음으로 큰 해답을 찾는다. 이처럼 단순한 두 단계가 결과적으로 성공 습관을 가져다 준다.

-탁월한 성과는 큰 해답을 필요로 한다. 크게 성공하는 사람들은 가장 바깥쪽에 있는 성취의 범위를 선택한다.

-새로운 해답은 언제나 새로운 행동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성공으로 가는 길에서 스스로에게 변화가 일어난다고 해도 놀라지 마라. 멈추지도 마라.


<제3부 위대한 결과_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제 15장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최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앞으로 5년 내에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5년의 목표를 바탕으로, '최종 목표-5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올해의 목표를 바탕으로, '최종 목표-5년의 목표-올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번 달에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이 달의 목표를 바탕으로, '최종 목표-5년의 목표-올해의 목표-이번 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번주에 내가 할 수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제 17장 생산성을 훔쳐 가는 네 종류의 도둑들

1.아니오 라고 말하지 못하는것

2.혼란에 대한 두겨움

3.건강에 나쁜 습관들

4.목표 달성을 도와 주지 않는 환경


[3. 나의 생각으로 요약]

멀티 태스킹 보다 한가지 일을 완전히 몰두 하여(카톡, 검색, 주변인의 대화 시도 등을 배제하고) 했을 때 효율성 있는 과제를 빠른시간에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일상생활에 적용해 느껴봤습니다. 또 상황이나 장소에 따라 초점탐색 질문을 반복해서 하는 것을 매일 반복 하면 목적에 가깝게 가기 쉬울 것 같아 틈틈이 떠오르게(?!) 해봐야 겠습니다.

또 큰 목표를 세우는 것은 거창하지 않을까? 현실에 맞는 목표를 세워야지 생각했었는데 좀 더 큰 목표-달성하기 위한 큰 질문-큰 해답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반복해 봐야 겠습니다.





댓글


가인86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