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02.23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 2.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저자의관점 #나의입장 #적용할것
책을 제대로 보는 것은 저자의 관점에서 읽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것은 의도치 않게 저자의 도를 왜곡하지 않게 되기 위함이고, 평가의 잣대를 휘두르지 않기 위함이다.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내 사고가 확장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의 의도대로 왜곡하지 않고 제대로 읽은 후에는, 다양한 모습으로 찾아오는 깨달음을 철저히 나의 관점에서 느끼고 깨달아야 한다.
그리고 이 깨달음을 기억 속에 스쳐 지나가는 생각으로 남지 않게 하는 것이 바로 적용이다. 깨달은 것에 따라 내가 쉽게 행동에 옮길수 있는 부분을 간단히 정의하고, 가능하면 다른 사람에게도 전달해서 좋은 변화를 불러 일으킨다.
[Chapter 3. 실전! 본깨적 책 읽기]
#마무리5분#인덱스#평가작업#본깨적노트
책을 읽기 전에 연관성, 핵심키워드, 얻고자 하는 것 이렇게 세가지 질문을 통해서 생각을 정리하고 시작한다. 머리로만 하지 말고 손으로 써서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Before Reading 질문을 통해서 책을 읽기 전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나온 점수에 따라 이 책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결정한다.
작가의 관점에서 예상 핵심키워드를 뽑고 읽고 나서 실제 키워드와 또 비교한다. 그리고 왜 이 책을 선택했는지,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리하고 읽으면 우연에 의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에게 도움이 되는 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밑줄, 박스, 동그라미, 하이라이트, 귀접기 등을 통해서 책에 흔적을 만들고 상단과 하단에 본, 깨적 노트를 남긴다. 이렇게 읽는 것이 너무 느려서 하기 힘들게 느껴지겠지만, 책을 내 것으로 만드는 관점에서는 훨씬 빠르다.
다 읽은 후에는 After Reading 질문을 통해서 먼저 생각했던 얻고자 하는 것과 실제로 읽고 얻은 것을 비교해보고, 책을 읽으며 알게 된 읽어야 할 책 목록등을 정리한다. 이 질문지에서 나온 결과 점수에 따라서 책속의 본깨적 노트와 앞으로 그 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정리한다.
그리고 책 속 본깨적 노트에서 그치지 않고, 본깨적 노트에 중요한 대목을 필사하고, 키워드 중심으로 내용을 요약하는 마인드맵도 작성한다.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충분히 깊이 생각해보고 작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것과 다르게 깨.적 부분은 쉽게 발전하지 않는다.
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s
Motivation
Role model
Knowledge
Kaizen 개선
Idea
Action plan
[Chapter 4.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목표적기#독서계획#북바인더
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독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수록 습관을 들이기 쉽다.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책 하나당 실행해야 할 내용 한 가지.
북바인더를 쓰는 습관을 통해서 새는 시간을 찾고 책 읽을 시간을 확보한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읽은 책 별로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리스트 만들고 업데이트하기
2. 조금 더 걸리더라도 본깨적 노트 작성하면서 읽기 (결국은 더 빠르다)
3. 책을 다 읽을 때마다 본깨적 노트를 이용하면서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 가지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89)
준비, 읽기, 마무리에 할애하는 시간은 상황에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체를 100으로 놓았을 때 준비 20, 읽기 70, 마무리 10 정도가 가장 적당하다. 예를 들어 전체 책 읽는 시간을 2시간으로 계획했을 때 적어도 준비에 24분, 마무리에 12분을 투자하는 것이 좋다.
(P.91)
속독의 열쇠는 빨리 읽는 기술이 아니라 배경지식에 있다. 배경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책 읽는 속도는 빨라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