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04조 이랑as]

  • 24.02.27

#투자의 원칙과 프로세스, 그리고 습관


열중 2강에서는 유진아빠님의 강의가 이어졌는데요.

투자의 원칙과 프로세스에 대해서 하나하나 짚어보고 실전 투자 사례를 통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어떻게 투자를 해야하는지 다루었습니다.

다 아는 내용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어도 들을 때마다 새로운 부분들이 보이는 것은 정말 신기한데요!

보고 듣고 느낀 것을 subject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저환수원리

- 투자의 기준은 바뀌어도 원칙은 바뀌지 않는다.

예나 지금이나 저환수원리라는 원칙은 바뀌지 않는데요.

사실 처음부터 듣고 외워서 그렇지 이 원칙을 세우기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 것이란 생각을 해봅니다.

[저평가 / 환금성 / 수익성 / 원금보전 / 리스크관리]

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들을 하나 하나 뜯어보고 다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었습니다.


#강남의 기준

- 개인적으로 재밌는 부분이었는데요. 흔히 아는 '서울'의 개념은 행정구역 상 서울입니다.

얼마 전 여자친구에게 서울 내 4급지와 경기도 4급지를 두고 어디가 더 나을 것 같냐고 물었을 때,

서울 내 4급지가 더 나을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결과는 알 수 없고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기의 4급지 위력을 너무 얕보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단지 대 단지로 비교했을 때도 다르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개념,

그와 동시에 새로운 시각도 볼 수 있는 계기였습니다.

어쨌든, 월부에서 말하는 '서울의 경계에 대한 정의'가 새롭고 재밌게 느껴졌습니다.


#교통망 확대는 외부 입지에서 수혜를 받지만 입지는 계속 공고해짐

- 이 부분도 상당히 재밌었는데요. 보통 교통 호재가 있다고 하면 지역은 들썩거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 호재가 들썩이는 근본적인 이유는 결국 그 교통 호재가 상급지, 좋은 입지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상급지로의 이동이 더욱 편해지고 그 입지는 더욱 공고해지는 것이죠.

입지는 힘을 잃지 않는다와 동시에 그 호재 자체도 호재지만 그 호재가 어떤 본질을 갖는지

늘 생각해야겠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리스크는 회피가 아닌 감당하고 대비하는 것

- 리스크가 없는 투자를 하고 싶었습니다. 사실은 지금도 그런데요.

다만 리스크가 없는 투자는 없다는 것도 동시에 '알고는' 있습니다. 투자란 반드시 리스크를 동반하니까요.

리스크 대비 및 극복은 결국 알고(知) 행동(行)하며 극복해야 할 것 같습니다.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는지,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를 안다면 리스크를 감당하고 극복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감당하고 극복하는 것.

너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투자 원칙을 다시금 제대로 새겼습니다.


#경기도 D구 사례를 통한 저평가에 대한 고정관념

- 강의 사례에 D구가 나옵니다. 집 근처이기도 하고 실거주를 고민한 곳이기도 해서

상당히 낯이 익었고 실제로 동료들도 많이 살고 있는 지역입니다.

그동안 봐왔던 D지역은 오르지 않는 곳, 올라도 많이 안 오르는 거나 원점 가까이 돌아가는 지역이었는데요.

사실 타 강의에서도 같은 값이면 더 좋은 기회를 발굴하라는 말도 들었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상대적 저평가이냐, 절대적 저평가이냐를 따지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맞다면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깨달았습니다.

유진아빠님이 임장했을 때에는 절대적으로 싼 가격이었고 상대적으로 눌려있어

타지역을 따라 오르는 지역이었던 것이죠. 이런 선입견을 버리고 투자의 본질을 얻기 위해

앞마당을 넓히고 독서를 통해 사고와 통찰을 길러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실제 사례를 통한 협상 과정(사람을 알아야겠다)

실제 협상 과정을 통해 '저게 되네?'라는 사례를 보여주셨는데요.

부동산은 입지, 물건, 환경 등 여러가지 공부를 하지만 결국은 '사람'이 하는 일이라는 사실도

다시금 느꼈습니다.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할까?, 상대방의 상황이 나에게 어떻게 유리하게 작용할까?

이를 위해 상대방에겐 무얼 줘야할까? 이런 부분들 역시 사람에 대한 이해와 공부가 많이

필요하겠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습관이 우리를 지배한다.

#동기는 시작을 만들고 습관은 성공을 만든다

원씽도, 본깨적도 결국 습관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누구도 환경 밖에 있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아주 소수를 제외하고는요.

환경 안에서 꾸준히 해나가고 그게 습관이 되면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말로 아는 것과 느끼고 체감하는 것은 또 다른 것 같습니다. 그 이후의 행동도 마찬가지구요.

이제는 지행격차를 줄이기 위한 행동을 계속해서 해나가야겠죠.

습관을 만드는 일이 무척이나 힘들다는 것을 알지만, 결국 포기하지 않고

계속 이어나가는 노력을 하다 보면 하나로 꿰어지는 것을 믿고 행동하겠습니다.


댓글


이랑39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